지방도 제734호선
보이기
전북특별자치도 지방도 | |
---|---|
734 ![]() | |
대산 ~ 심원선 대마 ~ 북이선 | |
지방도 제734호선 | |
총연장 | 112.57km[1] |
기점 |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입암면 |
주요 경유지 |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전북특별자치도 고창군 전라남도 영광군 전북특별자치도 고창군 전라남도 영광군 전라남도 장성군 광주광역시 전라남도 장성군 |
종점 | 전라남도 장성군 북이면 |
주요 교차도로 |
국도 제1호선 국도 제22호선 국도 제23호선 국도 제24호선 국가지원지방도 제15호선 국가지원지방도 제49호선 지방도 제708호선 지방도 제733호선 지방도 제747호선 지방도 제796호선 지방도 제898호선 |
지방도 제734호선은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입암면 천원사거리에서 전라남도 장성군 북이면 사가삼거리를 잇는 전북특별자치도의 지방도이다. 2008년 도로현황조서 기준으로 지방도 제816호선 전라남도 전 구간을 편입하였다.
연혁
[편집]- 2007년 1월 5일 : 무장 ~ 아산간 도로(고창군 무장면 강남면 ~ 아산면 성산리) 3.107km 구간 개통[2]
- 2008년 10월 27일 : 2012년 12월까지 무안 청계지구(무안군 청계면 복길리) 개량공사를 위해 500m 구간 도로구역 변경, 2012년 12월까지 영광 대마지구(영광군 대마면 복평리 ~ 성산리) 개량공사를 위해 360m구간 도로구역 변경[3]
- 2010년 7월 13일 : 2011년 4월까지 구 지방도 제816호선 장성 화산지구(장성군 삼계면 화산리 ~ 부성리) 개량공사를 위해 710m 구간 도로구역 변경[4]
- 2011년 7월 13일 : 장성 화산지구 개량공사 기간을 2012년 7월까지로 연기[5]
- 2012년 11월 20일 : 2020년 12월까지 영광 깃재터널(영광군 대마면 성산리 ~ 장성군 삼계면 부성리) 개설공사를 위해 3.95km 구간 도로구역 변경[6]
- 2023년 11월 10일 : 고창 중산지구(고창군 대산면 중산리) 1.193km 구간 개량 개통[7]
주요 경유지
[편집]본래 노선
[편집]본래 노선 기점은 고창군 대산면이나 아래 편입된 노선과 연계를 위해 거꾸로 적는다.
- 고창군
- 성내면 밤고개 - (미개통 구간 : 신대리 - 대흥리)
- 흥덕면 (미개통 구간 제하리 - 송암리 - 흥덕리) - 야동 교차로 - 석교 교차로(선운산 나들목) - 덕흥 교차로 - 봉선교
- 부안면 봉선교 - 덕흥 교차로 - 부안삼거리 - 부안면사무소 - 중흥리 - 수남리 - 검산리 - 수동리 - 수앙리 - 상암리 - 봉암초등학교 - 봉암리 - 송현리 - 선운리삼거리 - 선운리 - 용선교
- 심원면 용선교 - 용선삼거리
- 아산면 삼인교 - 삼인 교차로 - 반암 교차로 - 인천강교 - 선운사터널 (576m) - 탑정교
- 부안면 탑정교 - 용산1 교차로 - 용산2 교차로 - 용산1교 - 소굴치
- 아산면 소굴치 - 골프존카운티선운 - 운곡저수지 - 원평 교차로 - (미포장 구간 용계교 - 인천교 - 계산리 - 학전리 - 성산리) - 성산리
- 무장면 송현리 - (국가지원지방도 제15호선과 교차)
- 아산면 성산리 - 죽산삼거리
- 무장면 강남교 - 강남리 - 강남사거리 - 송림사거리 - 고라리 - 옥산리 - 덕림리
- 대산면 중산리 - 석교 - 중산교 - 고창기상대 - 매산리 - 교회오거리
구 지방도 제816호선 노선
[편집]중복 구간
[편집]- 정읍시 입암면 천원사거리 ~ 밤고개 : 지방도 제708호선과 중복
- 고창군 흥덕면 흥덕리 : 국도 제23호선과 중복
- 고창군 흥덕면 야동 교차로 ~ 부안면 덕흥 교차로 : 국도 제22호선과 중복
- 고창군 심원면 용선삼거리 ~ 부안면 용산1 교차로 : 국도 제22호선과 중복
- 고창군 아산면 성산리 : 지방도 제733호선과 중복
- 광주광역시 광산구 월산2교 남단 ~ 오산 교차로 : 국가지원지방도 제49호선과 중복
- 장성군 북일면 신흥리 ~ 북일면신흥리 교차로 : 지방도 제898호선과 중복
도로명
[편집]전북특별자치도
[편집]- 정읍시 입암면 천원사거리 ~ 밤고개 : 밤고개로
- 고창군 흥덕면 야동 교차로 ~ 부안면 덕흥 교차로 : 선운대로
- 고창군 부안면 덕흥 교차로 ~ 부안삼거리 : 복분자로
- 고창군 부안면 부안삼거리 ~ 심원면 용선삼거리 : 인촌로
- 고창군 심원면 용선삼거리 ~ 부안면 용산1 교차로 : 선운대로
- 고창군 부안면 용산2 교차로 ~ 아산면 원평 교차로 : 운곡로
- 고창군 아산면 원평 교차로 ~ 성산리 : 사신원로
- 고창군 아산면 성산리 : 희어재로
- 고창군 아산면 성산리 ~ 죽산삼거리 : 송현로
- 고창군 아산면 죽산삼거리 ~ 무장면 송림사거리 : 감나무등로
- 고창군 무장면 송림사거리 ~ 대산면 교회오거리 : 칠거리로
전라남도·광주광역시
[편집]- 영광군 대마면 장보사거리 ~ 광주광역시 광산구 월산2교 남단 : 영장로
- 광주광역시 광산구 월산2교 남단 ~ 오산 교차로 : 빛가람장성로
- 광주광역시 광산구 오산 교차로 ~ 임동교 동단 : 임곡상촌길
- 광주광역시 광산구 임동교 동단 ~ 광산동 : 고봉로
- 장성군 황룡면 옥정리 ~ 장성읍 장성대교 동단 : 강변로
- 장성군 장성읍 장성대교 동단 ~ 장안리 : 장재길
- 장성군 장성읍 장안리 ~ 북이면 사가삼거리 : 봉암로
각주
[편집]- ↑ 전라북도 구간(대산 ~ 심원선 63.27km) + 전라남도 및 광주광역시 구간(대마 ~ 북이선 49.3km)
- ↑ 전라북도 공고 제2007-9호, 2007년 1월 5일.
- ↑ 전라남도공고 제2008-674호, 전라남도고시 제2008-244호, 2008년 10월 27일.
- ↑ 전라남도공고 제2010-467호, 전라남도고시 제2010-214호, 2010년 7월 13일.
- ↑ 전라남도고시 제2011-216호, 2011년 7월 13일.
- ↑ 전라남도고시 제2012-395호, 2012년 11월 20일.
- ↑ 전라북도공고 제2023-1751호, 2023년 11월 10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