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도 제861호선
전라남도 지방도 | |
---|---|
861 ![]() | |
옥곡 ~ 산내선 옥곡 ~ 고달선 | |
지방도 제861호선 | |
총연장 | 전남 : 84.85km 전북 : 16.8km |
기점 | 전남: 전라남도 광양시 옥곡면 신금리 전북: 전북특별자치도 남원시 산내면 |
주요 경유지 |
전라남도 광양시 전라남도 구례군 전라남도 곡성군 전북특별자치도 남원시 |
종점 | 전남: 전라남도 곡성군 고달면 전북: 전북특별자치도 남원시 산내면 |
주요 교차도로 |
남해고속도로 순천완주고속도로 국도 제2호선 국도 제17호선 국도 제19호선 국가지원지방도 제58호선 국가지원지방도 제60호선 지방도 제863호선 지방도 제865호선 |
지방도 제861호선은 전라남도 광양시 옥곡면 옥곡시외버스터미널과 곡성군 고달면 면사무소앞 회전교차로를 잇는 전라남도의 지방도이다. 전북특별자치도 남원시 산내면 달궁삼거리부터 대정삼거리를 잇는 잔여 구간이 존재한다.
옥곡 나들목과 접속하고 있어 남해고속도로를 이용할 수 있다. 그리고 광양시에서 구례군 사이 구간은 섬진강을 끼고 도로가 나 있어 이 구간 또한 드라이브 코스 및 자전거 라이딩 코스로 자주 이용된다. 또한 구례군에서 남도대교를 이용해 화개장터로 유명한 경상남도 하동군 화개면으로 바로 갈 수 있다.
1983년에는 노선명이 '하포 ~ 광의선'이었다가 1984년 노선이 다시 연장되면서 '하포 ~ 산동선'으로 변경되었다. 이후 1995년 12월 8일
2020년 11월 12일 노선 지정이 변경되면서 전라남도 구례군 광의면 지천리 ~ 곡성군 고달면 목동리 구간이 신규 지정되었으며, 기존 구간은 노선 지정이 해제되면서 전라북도 구간이 연계되지 않게 되었다.[1]
기존 지정 노선은 지리산국립공원을 남북으로 관통하고 있는 노고단로 구간을 지나 전북특별자치도 남원시로 이어졌으며, 오대산국립공원을 관통하던 지방도 제446호선과 달리 차량 통행이 가능하다. 이 도로는 지리산국립공원 내 노고단, 성삼재, 달궁계곡, 뱀사골계곡 입구를 연결하고 있어 지리산을 찾는 많은 관광객들이 이용하는 도로이며, 겨울에는 설경이 아름다워 이것을 구경하기 위한 드라이브 코스로도 자주 이용한다. 이 덕분에 2006년 건설교통부는 이 지방도의 노고단로 구간을 '한국의 아름다운 길 100선' 우수상으로 선정했다.[2]
연혁
[편집]- 1983년 7월 11일 : 광양제철공장 건설로 인해 물동량 증가에 대비하여 기점을 광양군 골약면 황길리 ~ 종점을 구례군 광의면 방광리로 하여 총 연장 76.1km 노선으로 변경. 이와 함께 광양군 골약면 황길리 ~ 성황리 4.2km 구간과 광양군 옥곡면 광영리 ~ 신금리 7.1km 구간 개통[3]
- 1984년 4월 20일 : 종점을 구례군 광의면 방광리에서 산동면 좌사리로 연장함. 이에 따라 노선명이 '하포 ~ 광의선'에서 '하포 ~ 산동선'으로 변경되고 총 연장이 76.1km에서 90.049km로 변경됨. 이와 함께 구례군 광의면 방광리 ~ 산동면 좌사리 14.58km 구간 개통[4]
- 1985년 4월 2일 : 1988년 12월까지 반선 ~ 천은사간 도로(구례군 광의면 수월리 ~ 산동면 좌산리) 구간 확포장공사 계획을 공고[5]
- 1985년 12월 23일 : 기점을 '광양군 골약면 황길리', 종점을 '구례군 산동면 좌사리'로 명시하고 도로개량이 완료된 광양군 골약면 성황리 600m 구간과 광양군 옥곡면 전금리 ~ 신금리 1.6km 구간, 구례군 구례읍 봉남리 1.6km 구간 도로예정지 해제[6]
- 1987년 1월 22일 : 광양군 골약면 성황리 ~ 옥곡면 광영리 2.2km 구간 도로예정지 해제[7]
- 1987년 2월 11일 : 1988년 12월까지 반선 ~ 천은사간 도로(구례군 구례읍 백연리 ~ 광의면 방광리) 확포장공사를 위해 4.2km 구간 도로구역 변경[8]
- 1987년 7월 27일 : 1988년 5월까지 옥곡 ~ 금호간 도로(광양군 옥곡면 신금리 ~ 광영리) 3.73km 구간 확포장공사 계획을 공고[9][10]
- 1988년 1월 4일 : 구례군 용방면 사림리 ~ 구례군 산동면 좌사리 21.48km 구간 도로예정지 해제[11]
- 1988년 2월 10일 : 1988년 8월까지 광양군 다압면 신원리 ~ 고사리 2.19km 구간과 1988년 9월까지 구례군 문척면 월전리 ~ 간전면 효곡리 3.74km 구간, 장성군 삼계면 내계리 ~ 사창리 2.28km 구간 확포장공사 계획을 공고[12]
- 1988년 9월 27일 : 1988년 12월까지 구례군 간전면 간문리 ~ 효곡리 1.12km 구간과 광양군 옥곡면 신금리 ~ 골약면 광영리 3.59km 구간 확포장공사 계획을 공고[13]
- 1989년 1월 6일 : 구례군 문척면 월전리 ~ 산동면 좌사리 24.48km 구간과 광양군 다압면 고사리 270m 구간, 광양군 옥곡면 신금리 135m 구간 도로예정지 해제[14]
- 1989년 5월 13일 : 1989년 12월까지 광양군 옥곡면 신금리 ~ 동광양시 광영동 5.22km 구간과 광양군 다압면 신원리 ~ 고사리 4.0km 구간 확포장공사 계획을 공고[15]
- 1990년 1월 13일 : 동광양시 골약동 ~ 광양군 옥곡면 광영리 6.55km 구간과 광양군 옥곡면 신금리 ~ 다압면 하천리 9.27km, 구례군 간전면 양전리 ~ 산동면 좌사리 27.28km 구간 도로예정지 해제[16]
- 1990년 4월 16일 : 1991년 3월까지 다압 도로(광양군 다압면 도사리 ~ 고사리) 3.633km 구간과 문척 ~ 간전간 도로(구례군 문척면 금정리 ~ 월전리) 3.184km 구간 확포장공사 계획을 공고[17]
- 1991년 1월 10일 : 광양군 다압면 도사리 3.633km 구간과 구례군 문척면 금정리 ~ 월전리 3.184km 구간 도로예정지 해제[18]
- 1991년 4월 12일 : 1993년 3월까지 다압 ~ 간전간 도로(광양군 다압면 고사리 ~ 하천리) 9.68km 구간 확포장공사 계획을 공고[19]
- 1992년 1월 27일 : 광양군 다압면 고사리 ~ 하천리 9.68km 구간 도로예정지 해제[20]
- 1992년 5월 4일 : 간전 ~ 다압간 도로(구례군 간전면 하천리 ~ 양천리) 8.893km 구간 확포장공사 계획을 공고[21]
- 1995년 8월 21일 : 1997년까지 문척교(구례군 구례읍 봉동리 ~ 문척면 월전리) 개설공사를 위해 1.7km 구간을 1.953km로 도로구역 변경[22]
- 1995년 12월 8일 : 기점을 기존 동광양시 황길동에서 '광양시 옥곡면 신금리'로 단축함. 이에 따라 노선명을 '하포 ~ 산동선'에서 '옥곡 ~ 산내선'으로 변경하고 전라남도 구간 총 연장 76.7km가 됨.[23]
- 1996년 2월 21일 : 1997년 12월까지 옥곡 ~ 광영간 도로(광양시 옥곡면 신금리 ~ 광영동) 확포장공사를 위해 3.2km 구간을 3.17km로 도로구역 변경, 1997년 12월까지 광의교(구례군 용방면 사림리) 개설공사를 위해 159m 구간 도로구역 변경[24]
- 1997년 9월 13일 : 1998년 2월까지 신아지구(광양시 진월면 신아리) 개량공사를 위해 520m 구간을 400m로 도로구역 변경[25]
- 1999년 1월 20일 : 2000년까지 진월 ~ 광영간 도로(광양시 진월면 망덕리 ~ 선소리) 확포장공사를 위해 2.2km 구간 도로구역 변경[26]
- 1999년 3월 20일 : 1999년 11월까지 지천지구(구례군 광의면 지천리) 개량공사를 위해 300m 구간 도로구역 변경[27]
- 2000년 6월 13일 : 2003년 6월까지 장동교(광양시 옥곡면 신금리) 개축공사를 위해 460m 구간 도로구역 변경[28]
- 2002년 9월 13일 : 2003년 2월까지 방광 굴곡도로(구례군 광의면 방광리) 개량공사를 위해 80m 구간 도로구역 변경[29]
- 2003년 3월 27일 : 기존 지방도 노선을 폐지하고 새로 지정. 이 때 노선명을 '옥곡 ~ 산내선'에서 '옥곡 ~ 산동선'으로 변경하고 총 연장이 84.85km가 됨.[30]
- 2005년 7월 5일 : 2008년 12월까지 도사지구(광양시 다압면 도사리) 개량공사를 위해 588m 구간 도로구역 변경, 2009년 12월까지 간전지구(구례군 간전면 수평리, 구례군 광의면 방광리) 개량공사를 위해 3.303km 구간 도로구역 변경[31]
- 2005년 11월 18일 : 진월 ~ 광영간 도로 공사기간을 2006년 12월까지 연장[32]
- 2011년 3월 18일 : 2015년 4월까지 진월 ~ 광영간 도로(광양시 광영동 ~ 진월면 망덕리) 확포장공사를 위해 2.76km 구간 도로구역 변경[33]
- 2015년 2월 5일 : 진월 ~ 광영간 도로 공사기간을 2016년 9월까지로 연기[34]
- 2015년 9월 10일 : 진월 ~ 광영간 도로 공사기간을 2019년 12월까지로 연기[35]
- 2015년 12월 10일 : 2016년 이후 월금교(구례군 문척면 월전리 ~ 금전리) 개축공사를 위해 560m 구간 도로구역 변경[36]
- 2016년 3월 31일 : 2018년 3월까지 광양 다압지구(광양시 다압면 금천리) 개량공사를 위해 500m 구간 도로구역 변경[37]
- 2020년 11월 12일 : 기존 구례군 광의면 지천리 광의사거리 ~ 산동면 좌시리 달궁삼거리 19.9km 구간을 폐지하고 구례군 광의면 지천리 ~ 곡성군 고달면 목동리 구간으로 노선 변경 및 연장함. 이에 따라 노선명이 '옥곡 ~ 산동선'에서 '옥곡 ~ 고달선'으로 변경되고, 총 연장이 84.8km에서 90.2km으로 연장됨.[1]
주요 경유지
[편집]- 광양시
- 구례군
- 간전면 하천교 - 남도대교 남단 - 운천리 - 간전면운천리 교차로 - 운천교 - 양천리 - 양천교 - 대평마을 교차로 - 간문교 - 간전농공단지 - 간문리
- 문척면 금정리 - 오봉교 - 월금교 - 문척초등학교 - 문척면사무소 - 월전리 - 문척교
- 구례읍 문척교 - 문척 교차로 - 구례군청 - 구례중앙초등학교 - 구례고등학교 - 구례경찰서 - 봉북리 - 백연교 - 돌틈삼거리 - 구례공설운동장 - 백련리
- 용방면 사림리 - 광의교
- 광의면 광의교 - 광의사거리 - 서시2교
- 용방면 서시2교 - 용방 교차로 - 신도교 - 구례화엄사 나들목 - 쑤악재(생태통로)
- 산동면 쑤악재(생태통로) - 이평교 - 이평리 - 산동 교차로 - (시랑마을) - 시상리 - (생태통로) - 하무2교 - 하무1교 - (생태통로) - 고산터널 (405m)
- 곡성군
- 고달면 고산터널 (405m) - 목동교 - 굴넘어고개 - (안개마을) - 면사무소앞 회전교차로
폐지 구간
[편집]아래 구간은 2020년 11월 12일부터 폐지되었다.
중복 구간
[편집]도로명
[편집]- 전라남도
- 광양시 옥곡면 옥곡시외버스터미널 ~ 장동교삼거리 : 큰골1길
- 광양시 옥곡면 장동교삼거리 ~ 광영동 : 강변로
- 광양시 진월면 태안대교 북단 ~ 진월초등학교 : 망덕길
- 광양시 진월면 진월초등학교 ~ 다압면 하천교 : 섬진강매화로
- 광양시 다압면 신원삼거리 ~ 도사리 : 신원길
- 구례군 간전면 하천교 ~ 대평마을 교차로 : 남도대교로
- 구례군 간전면 대평마을 교차로 ~ 구례읍 구례군청 : 수달생태로
- 구례군 구례읍 구례군청 ~ 돌틈삼거리 : 봉성로
- 구례군 구례읍 돌틈삼거리 ~ 용방면 사림리 : 용방로
- 구례군 용방면 사림리 ~ 광의면 광의사거리 : 매천로
- 구례군 광의면 광의사거리 ~ 산동면 (시랑마을) : 산업로
- 구례군 산동면 (시랑마을) ~ 곡성군 고달면 : 고산로
- 전북특별자치도
각주
[편집]- ↑ 가 나 전라남도고시 제2020-476호, 2020년 11월 12일.
- ↑ [광주] '가장 아름다운 길' 담양 메타세쿼이어 길, SBS, 2006년 5월 22일 보도.
- ↑ 전라남도공고 제235호, 전라남도공고 제236호.1983년 7월 11일.
- ↑ 전라남도공고 제122호, 전라남도공고 제123호, 1984년 4월 20일. 전라남도 도보 제1603호.
- ↑ 전라남도공고 제109호, 1985년 4월 2일. 전라남도 도보 제1653호.
- ↑ 전라남도공고 제343호, 1985년 12월 23일. 전라남도 도보 제1690호.
- ↑ 전라남도공고 제7호, 1987년 1월 22일. 전라남도 도보 제1747호.
- ↑ 전라남도고시 제18호, 전라남도공고 제19호, 1987년 2월 11일. 전라남도 도보 제1750호.
- ↑ 전라남도공고 제104호, 1987년 7월 27일. 전라남도 도보 제1773호.
- ↑ 전라남도고시 제136호, 1987년 8월 3일. 전라남도 도보 제1775호.
- ↑ 전라남도공고 제4호, 1988년 1월 4일. 전라남도 도보 제1797호.
- ↑ 전라남도공고 제19호, 1988년 2월 10일. 전라남도 도보 제1802호.
- ↑ 전라남도고시 제156호, 전라남도공고 제125호, 1988년 9월 27일. 전라남도 도보 제1834호.
- ↑ 전라남도공고 제1호, 1989년 1월 6일. 전라남도 도보 제1849호.
- ↑ 전라남도공고 제72호, 1989년 5월 13일. 전라남도 도보 제1867호.
- ↑ 전라남도공고 제5호, 1990년 1월 13일. 전라남도 도보 제1902호.
- ↑ 전라남도공고 제60호, 1990년 4월 16일. 전라남도 도보 제1915호.
- ↑ 전라남도공고 제2호, 1991년 1월 10일. 전라남도 도보 제1953호.
- ↑ 전라남도공고 제51호, 1991년 4월 12일. 전라남도 도보 제1966호.
- ↑ 전라남도공고 제1992-13호, 1992년 1월 27일. 전라남도 도보 제2008호.
- ↑ 전라남도공고 제1992-88호, 1992년 5월 4일. 전라남도 도보 제2023호.
- ↑ 전라남도고시 제1995-194호, 전라남도공고 제1995-158호, 1995년 8월 21일. 전라남도 도보 제2194호.
- ↑ 전라남도공고 제1995-220호, 1995년 12월 8일. 전라남도 도보 제2212호.
- ↑ 전라남도고시 제1996-19호, 전라남도공고 제1996-21호, 전라남도공고 제1996-22호, 1996년 2월 21일. 전라남도 도보 제2222호.
- ↑ 전라남도고시 제1997-250호, 전라남도공고 제1997-170호, 전라남도공고 제1997-171호, 1997년 9월 13일.
- ↑ 전라남도고시 제1999-4호, 전라남도공고 제1999-6호, 전라남도공고 제1999-7호, 1999년 1월 20일.
- ↑ 전라남도고시 제1999-37호, 전라남도공고 제1999-57호, 전라남도공고 제1999-58호, 1999년 3월 20일.
- ↑ 전라남도공고 제2000-171호, 전라남도공고 제2000-172호, 전라남도고시 제2000-113호, 2000년 6월 13일.
- ↑ 전라남도공고 제2002-230호, 전라남도공고 제2002-231호, 전라남도고시 제2002-181호, 2002년 9월 13일.
- ↑ 전라남도공고 제2003-111호, 2003년 3월 27일.
- ↑ 전라남도공고 제2005-352호, 전라남도고시 제2005-103호, 2005년 7월 5일.
- ↑ 전라남도고시 제2005-185호, 2005년 11월 18일.
- ↑ 전라남도공고 제2011-148호, 전라남도고시 제2011-58호, 2011년 3월 18일.
- ↑ 전라남도고시 제2015-28호, 2015년 2월 5일.
- ↑ 전라남도고시 제2015-277호, 2015년 9월 10일.
- ↑ 전라남도고시 제2015-367호, 2015년 12월 10일.
- ↑ w전라남도고시 제2016-104호, 전라남도공고 제2016-308호, 2016년 3월 31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