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지방도 제865호선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전라남도 지방도
865
지방도 제865호선
광양 ~ 토지선
지방도 제865호선
총연장 55.41km
기점 전라남도 광양시 광양읍 초남리
주요
경유지
전라남도 광양시
전라남도 순천시
전라남도 구례군
종점 전라남도 구례군 토지면 내동리
주요
교차도로
남해고속도로
국도 제2호선
국도 제19호선
국가지원지방도 제58호선
지방도 제840호선
지방도 제861호선
지방도 제863호선

지방도 제865호선전라남도 광양시 광양읍 초남리에서 구례군 토지면 내동리 피아골을 잇는 전라남도의 지방도이다.

1984년에는 노선명이 '하포 ~ 토지선'이었으며 1995년 12월 8일 '초남 ~ 토지선'으로 변경했다. 2003년 3월 27일 다시 '광양 ~ 토지선'으로 변경했다.

연혁

[편집]
  • 1984년 9월 18일 : 도로 확포장공사를 위해 광양군 골약면 황길리 ~ 구례군 토지면 내동리 55.801km 구간 도로구역 변경[1]
  • 1985년 12월 23일 : 기점을 '광양군 골약면 황길리', 종점을 '구례군 토지면 내동리'로 명시하고 도로개량이 완료된 광양군 봉강면 조령리 6.1km 구간 도로예정지 해제[2]
  • 1986년 3월 18일 : 도로 확포장공사를 위해 구례군 토지면 외곡리 ~ 내동리 7.47km 구간 도로구역 변경[3]
  • 1987년 1월 22일 : 광양군 광양읍 죽산리 ~ 봉강면 봉당리 6.1km 구간과 구례군 토지면 외곡리 ~ 내동리 7.5km 구간 도로예정지 해제[4]
  • 1988년 1월 4일 : 1988년 11월까지 도로 확포장 공사를 위해 광양군 봉강면 봉당리 ~ 조령리 7.953km 구간 도로구역 결정[5]
  • 1989년 1월 6일 : 담양군 고서면 원강리 ~ 동운리 2.9km 구간 도로예정지 해제[6]
  • 1989년 5월 13일 : 1989년 12월까지 광양군 광양읍 용강리 ~ 초남리 3.18km 구간과 진도군 임회면 석교리 ~ 지산면 인지리 3.42km 구간, 구례군 문척면 월전리 ~ 간전면 금정리 4.08km 확포장공사 계획을 공고[7]
  • 1990년 1월 13일 : 광양군 광양읍 용강리 ~ 봉강면 조녕리 17.556km 구간과 구례군 간전면 간문리 ~ 토지면 내동리 12.107km 구간 도로예정지 해제[8]
  • 1990년 4월 16일 : 1991년 3월까지 광양 ~ 황길간 도로(광양군 광양읍 초남리 ~ 동광양시 황금동) 2.84km 구간 확포장공사 계획을 공고[9]
  • 1991년 1월 10일 : 광양군 광양읍 초남리 ~ 동광양시 황금동 2.84km 구간 도로예정지 해제[10]
  • 1995년 12월 8일 : 기점을 기존 동광양시 황길동에서 '광양군 광양읍 초남리'로 단축함. 이에 따라 노선명을 '하포 ~ 토지선'에서 '초남 ~ 토지선'으로 변경하고 총 연장 55.2km가 됨.[11]
  • 1998년 3월 14일 : 2006년 12월까지 구례 ~ 광양간 도로(구례군 간전면 효곡리 ~ 광양시 봉강면 조령리) 확포장공사를 위해 14.25km 구간 도로구역 변경[12][13]
  • 2000년 2월 11일 : 2006년 1월까지 초남 ~ 석정간 도로(광양시 광양읍 용강리 ~ 초남리) 확포장공사를 위해 3.94km 구간 도로구역 변경[14]
  • 2001년 3월 27일 : 2001년 9월까지 구례수해복구(구례군 토지면 외곡리) 공사를 위해 140m 구간 도로구역 변경[15]
  • 2003년 3월 27일 : 기존 지방도 노선을 폐지하고 새로 지정. 이 때 노선명을 '초남 ~ 토지선'에서 '광양 ~ 토지선'으로 변경하고 총 연장이 55.41km가 됨.[16]
  • 2005년 7월 5일 : 2009년 12월까지 간전지구(구례군 간전면 수평리, 구례군 광의면 방광리) 개량공사를 위해 3.303km 구간 도로구역 변경[17]
  • 2007년 4월 20일 : 2011년 12월까지 광양 봉광지구(광양시 봉강면 부저리 ~ 구서리) 개량공사를 위해 2.35km 구간을 1.97km로 도로구역 변경[18]
  • 2008년 4월 18일 : 2010년 12월까지 광양 봉강지구(광양시 봉강면 부저리 ~ 구서리) 개량공사를 위해 1.97km 구간 도로구역 변경[19]
  • 2008년 10월 2일 : 구례 ~ 광양간 도로 확포장공사 기간을 2009년 12월까지로 연기[20]
  • 2009년 11월 20일 : 구례 ~ 광양간 도로(구례군 간전면 삼산리 ~ 광양시 봉강면 조령리) 17.9km 구간 확장 개통[21]
  • 2010년 7월 13일 : 2011년 2월까지 구례 평도지구(구례군 토지면 내동리 ~ 외곡리) 개량공사를 위해 600m 구간 도로구역 변경[22]
  • 2011년 9월 20일 : 광양 봉강지구 개량공사 기간을 2011년 12월까지로 연기[23]
  • 2012년 7월 7일 : 광양 봉강지구(광양시 봉강면 부저리 ~ 구서리) 1.65km 구간 개통[24], 기존 2.3km 구간 폐지[25]
  • 2015년 9월 3일 : 2020년 9월까지 광양 ~ 봉강간 도로(광양시 봉강면 석사리) 확포장공사를 위해 회전교차로 구간 도로구역 변경[26], 봉강 위험도로(광양시 광양읍 구산리 ~ 봉강면 부저리) 개량공사를 위해 2.98km 구간 도로구역 변경[27]
  • 2020년 12월 15일 : 봉강 위험도로(광양시 광양읍 구산리 ~ 봉강면 부저리) 2.99km 구간 개량 개통, 기존 광양시 봉강면 지곡리 ~ 봉당리 총 260m 구간 폐지[28]

주요 경유지

[편집]
  • 광양시
    • 광양읍 초남공단 - 초남역 - 현월 교차로 - 가장골 교차로 - 양동 교차로 - 외동 교차로 - 광양경찰서 - 경찰서앞 교차로 - 광양 나들목 - 인동 나들목 - 우시장사거리 - 시계탑사거리 - 옥성중앙로사거리 - 여고앞사거리 - (회전 교차로) - 광양만권경제자유구역청 - 구산리
    • 봉강면 지곡리 - 봉당리 - 부저리 - 구서리 - 조령리 - 신촌 교차로 - 신룡리 - 봉강터널(1,890m)
  • 순천시
    • 서면 봉강터널(1,890m) - 심원 교차로 - 황전터널(800m)
    • 황전면 황전터널(800m) - 황전 교차로 - 덕림리
  • 구례군
    • 간전면 금산리 - 효곡 교차로 - 효곡저수지 - 효곡리 - 수내 교차로 - 수내리 - 간문리 - 간문초등학교 - 대평마을 교차로 - 섬진강어류생태관 - 간전교
    • 토지면 간전교 - 동방천삼거리 - 구례동중학교 - 송정리 - 외곡삼거리 - 외곡리 - 내동보건진료소 - 연곡사 - 피아골

도로명

[편집]

중복 구간

[편집]

각주

[편집]
  1. 전라남도고시 제132호, 1984년 9월 18일.
  2. 전라남도공고 제343호, 1985년 12월 23일. 전라남도 도보 제1690호.
  3. 전라남도고시 제47호, 1986년 3월 18일. 전라남도 도보 제1703호.
  4. 전라남도공고 제7호, 1987년 1월 22일. 전라남도 도보 제1747호.
  5. 전라남도고시 제5호, 전라남도공고 제3호, 1988년 1월 4일. 전라남도 도보 제1797호.
  6. 전라남도공고 제1호, 1989년 1월 6일. 전라남도 도보 제1849호.
  7. 전라남도공고 제72호, 1989년 5월 13일. 전라남도 도보 제1867호.
  8. 전라남도공고 제5호, 1990년 1월 13일. 전라남도 도보 제1902호.
  9. 전라남도공고 제60호, 1990년 4월 16일. 전라남도 도보 제1915호.
  10. 전라남도공고 제2호, 1991년 1월 10일. 전라남도 도보 제1953호.
  11. 전라남도공고 제1995-220호, 1995년 12월 8일. 전라남도 도보 제2212호.
  12. 전라남도고시 제1998-31호, 1998년 3월 14일.
  13. 전라남도공고 제1998-48호, 전라남도공고 제1998-49호, 1998년 3월 14일.
  14. 전라남도고시 제2000-15호, 전라남도공고 제2000-38호, 전라남도공고 제2000-39호, 2000년 2월 11일.
  15. 전라남도공고 제2001-77호, 전라남도공고 제2001-78호, 전라남도고시 제2001-26호, 2001년 3월 27일.
  16. 전라남도공고 제2003-111호, 2003년 3월 27일.
  17. 전라남도공고 제2005-352호, 전라남도고시 제2005-103호, 2005년 7월 5일.
  18. 전라남도고시 제2007-41호, 전라남도공고 제2007-249호, 2007년 4월 20일.
  19. 전라남도고시 제2008-71호, 전라남도공고 제2008-246호, 2008년 4월 18일.
  20. 전라남도공고 제2008-626호, 전라남도고시 제2008-216호, 2008년 10월 2일.
  21. 전라남도공고 제2009-800호, 2009년 11월 20일.
  22. 전라남도공고 제2010-464호, 전라남도고시 제2010-208호, 2010년 7월 13일.
  23. 전라남도고시 제2011-321호, 2011년 9월 20일.
  24. 전라남도공고 제2012-421호, 2012년 7월 5일.
  25. 전라남도공고 제2012-422호, 2012년 7월 5일.
  26. 전라남도고시 제2015-264호, 2015년 9월 3일.
  27. 전라남도고시 제2015-265호, 2015년 9월 3일.
  28. 전라남도공고 제2020-1264호, 2020년 12월 17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