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백산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다른 뜻에 대해서는 소백산 (동음이의) 문서를 참조하십시오.

소백산 | |
---|---|
小白山 | |
![]() 비로봉에서 바라본 소백산 (2020년 10월) | |
높이 | 1,440 m |
목록 | 대한민국의 국립공원 |
위치 | |
소백산맥과 소백산의 위치 | |
위치 | ![]() 경상북도 영주시, 충청북도 단양군 |
산맥 | 소백산맥, 백두대간 |
좌표 | 북위 36° 57′ 36″ 동경 128° 29′ 05″ / 북위 36.9601319° 동경 128.4848356° 좌표: 북위 36° 57′ 36″ 동경 128° 29′ 05″ / 북위 36.9601319° 동경 128.4848356° |
소백산(小白山)은 대한민국 충청북도 단양군과 경상북도 영주시에 걸쳐 있는 산으로 일찍부터 태백산과 함께 신령시 되온 산이다. 삼재(화재 수재 풍재)가 들지 않은 산이라 하여 풍수의 명당으로 꼽혀 조선시대 병란과 기근을 피할 수 있는 십승지지(十勝之地)의 하나로 거론되기도 했다. 1987년에 국립공원으로 지정 되었다.
산의 지리와 동식물[편집]
소백산은 백두대간에 속하는 산이다. 소백산의 비로봉, 연화봉 등을 지나는 주능선은 백두대간을 따라 형성되어 있다. 소백산 근방 지역은 주로 편마암으로 되어 있다.
충청북도 단양군과 경상북도 영주시 및 봉화군에 걸쳐 있는 소백산국립공원은 1987년 12월 14일 건설부 고시 제645호를 통해 18번째 대한민국의 국립공원으로 지정되었다.[1] 전체 면적은 322.383km2로 경상북도 지역에 173.56km2, 충청북도 지역에 148.823km2가 분포되어 있다.[2]
소백산의 주봉인 비로봉의 주변에는 초지와 주목 군락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소백산의 상부 지역에는 왜솜다리가 서식하고 있다.
봉우리[편집]
위의 사진은 비로봉에서 연화봉 방면을 바라본 것이다.
- 비로봉(1,439m)
- 국망봉(1,421m)
- 제1연화봉(1,394m)
- 신선봉(1,389m)
- 연화봉(1,383m)
- 제2연화봉(1,357m)
- 도솔봉(1,314m)
- 형제봉(1,177m)
- 묘적봉(1,148m)
폭포[편집]
- 희방폭포
계곡[편집]
- 천동계곡
탐방 코스[편집]
초암사 코스[편집]
삼가동 코스[편집]
희방사 코스[편집]
죽령 코스[편집]
- 죽방탐방지원센터 - 제2연화봉 - 연화봉
- 거리 : 7km
- 소요 시간 : 2시간 40분
어의곡 코스[편집]
- 어의곡탐방지원센터 - 어의곡삼거리 - 비로봉
- 거리 : 4.6km
- 소요 시간 : 2시간 30분
천동계곡 코스[편집]
- 천동탐방지원센터 - 천동쉼터 - 천동삼거리 - 비로봉
- 거리 : 6.8km
- 소요 시간 : 3시간
도솔봉 코스[편집]
사진[편집]
같이 보기[편집]
각주[편집]
- ↑ 건설부장관 (1987년 12월 14일). “건설부고시제645호(소백산국립공원지정고시)”. 《국가기록원》. (대한민국 관보 제10810호 8, 9). 8-9쪽. 2018년 5월 7일에 확인함.
- ↑ “소백산 국립공원”. 2007년 8월 24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7년 10월 27일에 확인함.
- ↑ “소백산국립공원 홈페이지”.
- ↑ “한국천문연구원 소백산천문대”.
- ↑ 소백산 국립공원 - 코스별난이도
외부 링크[편집]
![]() |
이 글은 한국의 지리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