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단층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한반도단층.png

한반도중생대 이전까지 안정된 지각이었으나, 중생대에 발생한 격렬한 지각 운동으로 다수의 단층들이 생성되었다.[1] 대표적인 예로 양산 단층계, 추가령 단층계, 공주 단층계, 광주 단층계 등이 있으며 이외에도 전국 곳곳에 길이 100km 내외의 단층들이 흩어져 있다. 그 밀도가 가장 높은 곳은 삼척시, 평창군 일대이다.[2]

개요[편집]

대한민국에는 오래전에 형성된 한반도 수많은 단층들이 분포하며 그 수는 약 450개로 추정된다.[3] 이들 중 일부는 중생대에 발생한 격렬한 지구조운동으로 생성되었다.[4] 한반도 단층의 대표적인 예로 양산 단층대와 추가령 단층대, 울산 단층, 공주-금왕 단층대, 광주/전주 단층 등이 있으며 이외에도 전국 곳곳에 길이 100km 내외의 단층들이 흩어져 있다. 북한에도 다수의 단층이 존재하지만[5] 그곳의 단층에 대해서는 알려진 것이 거의 없으므로 여기서는 대한민국의 단층에 대해 서술하겠다.

한국의 단층과 지진과의 연관성[편집]

한반도가 속한 유라시아판은 남부에서는 인도판이 밀어붙이고, 동부에서는 태평양판필리핀판섭입하면서 이들 판의 운동에 의해 압축력(壓縮力)을 받고 있다. 그리고 그 압축력이 한반도에까지 영향을 미쳐 내부에 존재하는 중생대형성단층들에서 지진이 발생하게 된다.[6][7][8][9][10][11][12][13]

여러 연구들을 통해 중생대에 형성된 한반도의 단층들에서 지진이 발생함이 알려져 있다. 따라서 단층이 많은 지역에는 지진도 많다고 생각할 수 있으나, 국토지리학회지는 2018년에 <공간통계기법을 활용한 한반도 지진발생의 공간적 연구> 논문에서 단층밀도가 높지만, 지진밀도가 낮게 나타나는 지역도 여러 곳에서 관찰된다는 점을 근거로, 지진 밀도와 단층선의 밀도는 상관관계가 높다고 할 수 없으며, 특히 한반도의 경우 지진 발생과 단층선의 발달과는 별다른 연관이 없다고 주장하기도 하였다. 실제로, 경주시평양시와 같이 지진 밀도가 높은 곳에서는 단층선의 밀도가 높은 곳도 있지만, 단층밀도는 높은데 지진의 발생 횟수(지진밀도)는 낮은 곳도 있다.[14]

단층밀도가 높지만, 지진밀도가 낮게 나타나는 지역은 실제로 대한민국에 몇 군데 존재한다. 극단적인 예로 강원도 인제군에는 대규모 단층인 금왕 단층인제 단층 이외에 필례 단층, 한계령 단층, 저항령 단층, 미시령 단층, 서화 단층, 천도 단층등 11개에 달하는 단층이 좁은 지역에 밀집 분포하고 있지만, 1978년부터 2020년까지 인제군에는 고작 2회의 소규모 지진만이 발생하였을 뿐이다.[15] 해당 논문에서 예시로 든 곳은 연천군도 있는데, 이곳은 추가령 단층이 지나가고 지질도 상으로 수많은 단층이 관찰된다.[16] 기상청의 <국내지진 목록>에 따르면 1978년부터 2021년 현재까지 발생한 지진은 총 30회이며, 그게 낮은 수치인지는 모르겠지만 아무튼 논문에서는 지진발생의 밀도가 낮다고 말하고 있다.[17] 논문에서는 언급되지 않았지만 진천군 또한 이 경우에 해당하는데, 진천군은 서부지역에 남-북 주향의 단층[18]이 4개 정도 지나고 동부지역에서는 대규모 단층인 금왕 단층공주 단층이 만나는 등[16] 지역의 크기를 고려해 보면 단층 밀도가 높은 곳이지만, 1978년부터 2021년 현재까지 진천군에는 3회의 소규모 지진만이 발생하였을 뿐이다.[19]

단층밀도가 높고 지진밀도가 매우 높은 지역도 있다. 대표적인 예로, 영남 지괴 내의 상주시가 있다. 상주시 일대에는 대규모 단층인 안동 단층, 낙동 단층, 신령 단층, 영동 단층, 그리고 북장사 단층, 인평 단층, 용유리 단층, 밤원 단층과 같은 소규모 단층이 아주 많이 분포한다. 상주시에는 알려진 단층만 해도 10개에 달한다. 기상청의 국내지진 목록에 따르면, 1978년부터 2020년까지 상주시에서는 73회[20]의 지진이 발생했으며, 인근의 지역보다도 월등히 높은 수치이다. 심지어 1978년에는 규모 5.0의 속리산 지진이 발생하기도 했다.

단층밀도가 높고 지진밀도가 대체로 높은 지역도 있다. 경상북도 의성군군위군의 경우 가음 단층대가 통째로 지나 6개 정도의 단층들이 밀집되어 있으며, 1978년부터 2021년 12월 현재까지 지진 발생 횟수는 각각 31회[21]와 20회[22]에 이른다. 상주시와 비교해 보면 높다고는 할 수 없지만 단층 밀도가 더 낮은 영천시(15회[23]) 보다는 높은 수치이다.

그러나, 단층밀도가 높은 지역에서 지진 밀도가 낮다 할지라도 안심할 수는 없다. 2016년 경주 지진은 단층 밀도가 높은 경주시에서 발생했으며, 단층이 있는 지역에서는 대규모 지진이 발생할 가능성도 얼마든지 있다.

단층 연구의 필요성[편집]

...지진은 지각 내 발달되어 있는 단층을 따라 서서히 누적된 판구조 운동에 따른 응력 에너지가 한순간 단층(전단)운동에 의해 갑자기 방출되는 현상이다. 따라서 단층운동은 지진을 일으키는 근본 원인에 해당한다. 대부분의 중·대규모 지진들은 기존에 발달하고 있는 대규모 단층시스템(대단층계)를 따라 발생하므로, 중·장기적인 지진 대비책 마련을 위해서는 현재 한반도에 발달된 대단층계의 분포와 발달특성을 파악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 한국지질자원연구원, <국토 대단층계(양산단층 중부지역) 위험요소 평가연구>[24]

단층 목록[편집]

아래에 제시된 단층들의 이름은 대한지리학회, 대한지질학회 등의 학술지에 수록된 논문 또는 한국지질자원연구원이 사용하는 명칭을 그대로 사용하였다.[25][26] 단층의 이름은 가나다순으로 정렬되어 있으며 각 단층의 세부적인 특성에 대해서는 해당 문서를 참조할 것.

이름[29] 구간 지질 지역 연장(km) 성향 주향[30] 변위/절단된 지층 수평 변위량 비고
가사리 단층 정선군 신동읍~강릉시 강동면 옥천 습곡대 64 이상 스러스트 북동-남서 고생대 조선 누층군
가야동 단층 설악산~양양군 경기 지괴 17 주향 이동 서북서-동남동 고원생대 대청봉 화강암
고원생대 경기변성암복합체
중생대 쥐라기 가리봉 화강암
중생대 백악기 백담층군
중생대 백악기 설악산 화강암
300 m (경기변성암복합체과 가리봉 화강암
320 m (가리봉 화강암과 백담층군)
240 m (가리봉 화강암과 설악산 화강암)
140 m (대청봉 화강암과 설악산 화강암)
가음 단층 경상북도 의성군~포항시 경상 분지 동부 40 이상 주향 이동 서북서-동남동 중생대 백악기 경상 누층군
백악기 화강암
가음 단층대 소속
광주 단층 전라남도 진안군 진안 분지~해남군 해역 옥천 습곡대 남서부 180 주향 이동 북동-남서 광주광역시 통과
검성동 단층 경상북도 울진군 북면 영남 지괴 4 남-북
경강 단층 강원도 화천군~경기도 광주시 경기 지괴 175 스러스트 북북동-남남서 선캄브리아기 지층
계룡산 단층 세종특별자치시 전의면~충청남도 논산시 옥천 습곡대 서부 - - 북-남
고척 단층 경기도 광주시 도척면~이천시 모가면 경기 지괴 18 - 북서-남동
공주 단층 음성군 음성 분지~공주시 공주 분지 경기 지괴/옥천 습곡대 경계 110 주향 이동 북동-남서 공주 단층대 소속
구이 단층 전라북도 완주군 상관면~구이면 옥천 습곡대 남서부 5~10 역단층 북동-남서
근덕 단층 경상북도 봉화군~강원도 삼척시 옥천 습곡대 동부 - 주향 이동 북북동-남남서
금왕 단층 강원도 고성군~음성 분지 경기 지괴 170 주향 이동 북동-남서 선캄브리아기 편마암
중생대 쥐라기백악기 화강암
2.5 km (흑운모 화강암과 편마암)
250 m (오색화강암과 설악산화강암)
공주 단층대 소속
금천 단층 경상북도 의성군 의성읍~청송군 현서면 경상 분지 35 이상 주향 이동 서북서-동남동 중생대 백악기 경상 누층군
(하양층군과 유천층군)
190 m (후평동층점곡층)
170/600 m (춘산층과 섬록암)
가음 단층대 소속
낙동 단층 경상북도 예천군 지보면~김천시 감문면 경상 분지 서부 50 주향 이동 북북동-남남서 선캄브리아기 편마암
중생대 쥐라기 화강암
중생대 백악기 신동층군
800 m (편마암과 화강암)
400 m (낙동층 금당리층원과 만경산층원)
330 m (낙동층하산동층)
남병산 단층 평창군 남병산 옥천 습곡대 7.6 정단층 동-서 고생대 조선 누층군
고생대 평안 누층군
단곡 단층 강원도 정선군 임계면~정선군 남면 옥천 습곡대 30 주향 이동 북북동-남남서 고생대 조선 누층군 500 m/1.6 km (동점 규암층) 21만 년 전 최후 활동
당골 단층 강원도 횡성군 방림면~충청북도 제천시 송학면 경기 지괴 20 수직 북서-남동 선구조 형성
당진 단층 충청남도 당진시 석문면~보령시 천북면 경기 지괴 50 수직 이동 북북동-남남서
동래 단층 경상북도 경주시~부산광역시 동래구 해역 경상 분지 남동부 - - 북북동-남남서 부산광역시 동래구 통과
마분동 단층 경상북도 북면 부구리 영남 지괴 3 주향 이동 북서-남동 한울원자력발전소 부근
마읍천 단층 강원도 삼척시 가곡면~근덕면 상맹방리 옥천 습곡대 동부 25 이상 주향 이동? 북북동-남남서 선캄브리아기 편마암 울진원전에서 25 km
마차리 단층 강원도 평창군 평창읍~영월군 영월읍 옥천 습곡대 30 이상 스러스트 단층 남-북 고생대 조선 누층군 영월 스러스트 시스템의 일부
모량 단층 경상북도 경주시~경상남도 김해시 북부 경상 분지 남동부 60~110 주향 이동 북북동-남남서 중생대 백악기 건천리층
백악기 유천층군
백악기 화강암
900 m (건천리층유천층군 안산암)
약 1 km (흑운모화강암)
양산 단층대 소속
무안 단층 전라북도 함평군~무안군 해역 옥천 습곡대 남서부 - - 북북동-남남서
문경 단층 경상북도 문경시 마성면 일대 옥천 습곡대 12 역단층 북서-남서 고생대 오르도비스기 부곡리층 문경시#단층 문서 참조
미시령 단층 강원도 속초시~인제군 북면 용대리 경기 지괴 북동부 19 좌수향 주향 이동 동-서 고원생대 경기변성암복합체
중생대 백악기 석영장석반암 등
160 m (석영장석반암과 속초화강암)
300 m (작은감투봉층)
미시령 통과
민둔산 단층 정선군 정선읍 광하리-민둔산 옥천 습곡대 9.5 스러스트 북동-남서 고생대 조선 누층군
고생대 평안 누층군
밤원 단층 경상북도 상주시 은척면~내서면 영남 지괴/옥천 습곡대 경계 13 - 남-북 -
방림 단층 강원도 평창군 대화면~원주시 신림면 옥천 습곡대 40 이상 스러스트 남-북 고생대 조선 누층군 영월 스러스트 시스템의 일부
북장사 단층 경상북도 상주시 영남 지괴/옥천 습곡대 경계 14 - 북동-남서 중생대 백악기 알칼리화강암
백악기 석영반암
-
백전리 단층 영월군 상동읍~삼척시 하장면 옥천 습곡대 36 - 북북동-남남서 고생대 조선 누층군
고생대 평안 누층군
산계 단층 강릉시 옥계면 산계리~왕산면 목계리 옥천 습곡대 13 정단층 북서-남동 고생대 조선 누층군
고생대 평안 누층군
가사리, 임곡, 호명 단층 절단
서화 단층 금강산~인제군 북면 월학리 경기 지괴 - 주향 이동 남-북
설론 단층 영월군 영월읍 흥월리-정선군 남면 광탄리 옥천 습곡대 36 스러스트 북동-남서 고생대 조선 누층군
고생대 평안 누층군
중생대 대동 누층군
수렴 단층 경상북도 경주시 양남면 수렴리 일대 경상 분지 동부 0.4 역단층
순창 단층 전라북도 무주군~전라남도 해남군 해역 옥천 습곡대 남서부 100 - 북북동-남남서
신갈 단층 경기도 연천군~평택시 경기 지괴 130 주향 이동 북-남 서울특별시 통과
신령 단층 경상북도 영천시 신녕면~상주시 공성면 경상 분지 70 주향 이동 서북서-동남동 중생대 백악기 경상 누층군
신동층군과 하양층군
800 m (낙동층하산동층)
800 m (동명층일직층)
450 m (일직층구미동층원
320 m (구미동층원구계동층원)
700 m (점곡층점곡층)
가음 단층대 소속
십자가 단층 충청남도 부여군 세도면~석성면~탄천면 옥천 습곡대 북서부 25 정단층 북동-남서 부여 분지의 경계단층
안동 단층 경상북도 상주시~청송군 경상 분지/영남 지괴 경계 - 역단층 동-서 중생대 백악기 경상 누층군
영동 단층 충청북도 영동군 일대 영남 지괴/옥천 습곡대 경계 - 주향 이동 북동-남서
왕숙천 단층 강원도 철원군~경기도 남양주시 경기 지괴 65 주향 이동 북북동-남남서 선캄브리아기 흑운모편마암
중생대 쥐라기 흑운모화강암
800 m (편마암화강암) 추가령 단층대 소속
양산 단층 경상북도 영덕군~부산광역시 해역 경상 분지 남동부 170 이상 주향 이동 북북동-남남서 중생대 백악기 경상 누층군
백악기 화강암
21~35 km 부산광역시 서부 통과
울릉 단층 동해 일대 울릉 분지 170 이상 정단층 남-북
울산 단층 경상북도 경주시~울산광역시 태화강 하구 경상 분지 남동부 40 주향 이동 북북서-남남동
오십천 단층 강원도 태백시 통리~삼척시 도계읍 옥천 습곡대 동부 60 주향 이동 북북동-남남서
오천 단층 경상북도 포항시~경주시 경상 분지 동남부 23 역단층 북동-남서 제3기 단층[31]
옥갑산 단층 정선군 정선읍 용탄리~여량면 구절리 옥천 습곡대 22 스러스트 북동-남서 고생대 조선 누층군
고생대 평안 누층군
옥동 단층 정선군 신동읍~경상북도 함창읍 옥천 습곡대 100 정단층? 북동-남서
의당 단층 공주 분지~천안시 목천읍 경기 지괴 22 - 북북동-남남서 공주 단층대 소속
용유리 단층 충청북도 괴산군 청천면?~경상북도 상주시 화남면 영남 지괴/옥천 습곡대 경계 23? - 북서-남동 -
예미 단층 정선군 남면 문곡리~신동읍 방제리 옥천 습곡대 스러스트 북동-남서 고생대 조선 누층군
예산 단층 충청남도 아산시 인주면~보령시 청라면 경기 지괴 서부 60 - 북북서-남남동 불분명
원천 단층 경기도 수원시 영통구 이의동~수원시 영통구 원천동~화성시 안녕동 경기 지괴 20 수직 단층 북동-남서 수원시의 원천리천(川)을 따라감
읍천 단층 경상북도 경주시 양남면 읍천리 일대 경상 분지 남동부 1.5 역단층 북동-남서[32] 제4기 단층[33]
인락원 단층 평창군 진부면 마평리-정선군 정선읍 회동리 옥천 습곡대 16 정단층 남-북 고생대 조선 누층군
고생대 평안 누층군
인제 단층 강원도 인제군~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경기 지괴 150 이상 주향 이동 북동-남서
일광 단층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해역~울산광역시 경상 분지 남동부 25 주향 이동 북북동-남남서 부산광역시 동부 통과
임곡 단층 정선군 임계면 임계리~강릉시 강동면 안인진리 옥천 습곡대 25 수직 단층 북북동-남남서 고생대 만항층 2.9 (만항층)
장대 단층 김해시 장유면~의령군 대의면 경상 분지 남부 - 주향 이동 서북서-남남동
장전리 단층 정선군 사북읍~삼척시 하장면 중봉리 옥천 습곡대 22 북북동-남남서
저항령 단층 강원도 속초시 물치항~인제군 북면 저항령 경기 지괴 북동부 18 - 동-서 중생대 백악기 반암 설악산 저항령 통과
전주 단층 전라북도 진안군~전라남도 신안군 해역 옥천 습곡대 남서부 170 주향 이동 북동-남서
정읍 단층 전라북도 정읍시~고창군 옥천 습곡대 남서부 100 (추정) - 북북동-남남서
죽령 단층 경상북도 영주시~충청북도 단양군 영남 지괴/옥천 습곡대 경계 23 주향 이동 서북서-동남동 선캄브리아기 편마암
고생대 조선 누층군
1~1.2 km (미그마타이트질 편마암)
1.5 km (조선 누층군 장산규암층)
죽령 통과
중평 단층 경상북도 안동시 임동면 일대 경상 분지 북부 8 역단층 북서-남동 중생대 백악기 경상 누층군
진부령 단층 강원도 고성군~인제군 북면 용대리 경기 지괴 북동부 40 - 남-북 진부령 통과
척산 단층 정선군 신동읍 방제리~태백시 화전동 옥천 습곡대 22 - 서북서-동남동 고생대 조선 누층군
고생대 평안 누층군
천도 단층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해금강~강원도 인제군 북면 월학리 경기 지괴 북동부 - 우수향 주향 이동 북북동-남남서
철암 단층 태백시 철암동~봉화군 석포면 대현리 옥천 습곡대 10 북동-남서 고생대 조선 누층군
고생대 평안 누층군
추가령 단층 강원도 원산시~서울특별시 경기 지괴 160 - 북-남 추가령 구조곡
태곡 단층 경상북도 안동시 예안면~봉화군 재산면 경상 분지 북부 32 수직 단층 북북동-남남서 중생대 쥐라기~백악기 경상 누층군 670 m (경상 누층군 가송동층)
평창 단층 강원도 평창군 대화면~영월군 남면 옥천 습곡대 20 이상 스러스트 단층 남-북 고생대 조선 누층군 영월 트러스트 시스템의 일부
평해 단층 경상북도 영덕군~울진군 해역 경상 분지 북동부 - - 북북동-남남서 양산 단층의 연장[34]
호명 단층 정선군 사북읍 사북리~강릉시 옥계면 산계리 옥천 습곡대 44 북북동-남남서 고생대 조선 누층군
홍성 단층 충청남도 당진시 송악면~보령시 주포면 경기 지괴 서부 불명 불명 북북동-남남서 불명 불명
화암 단층 정선군 화암면 화암리~남면 유평리 옥천 습곡대 6 스러스트 북북동-남남서 고생대 조선 누층군
후포 단층 동해 해역 후포 분지 - - 북-남

기타[편집]

같이 보기[편집]

각주[편집]

  1. “우리나라 지진발생 현황과 내진설계를 위한 지반조사 - 한반도 지진환경과 지진재해도 이해 및 현장 전단파속도 결정 ->”. 한국지반공학회. 2020년 9월. 한반도는 중생대 이전에는 단지 조륙 운동(造陸運動)만 발생한 안정한 지각이었으나, 중생대에 한반도에 격렬한 지구조 운동이 발생하여 주로 북북동-남남서 방향의 다수 단층들을 생성하였고 신생대에는 중부의 추가령 지구대를 생성하였다. 
  2. “한반도의 지반운동 (Ⅱ) : 한반도 지진분포의 지형학적 해석”. 한국지리학회. 2007년 12월. 
  3. “국내 활성단층 450개 넘어…한반도는 '단층의 나라'. News1. 2016년 9월 23일. 
  4. 이기화 (2010년). “한반도의 지진활동과 지각구조”. 중생대에 한반도에 격렬한 지구조운동(송림변동, 대보 조산운동, 불국사변동)이 발생하여 반도의 지각을 교란하여 주로 NNE-SSW 방향의 다수의 단층들을 생성하였다. 
  5. http://nationalatlas.ngii.go.kr/pages/page_109.php 한반도 지질도를 참고
  6. “우리나라 지진발생 현황과 내진설계를 위한 지반조사 - 한반도 지진환경과 지진재해도 이해 및 현장 전단파속도 결정 ->”. 한국지반공학회. 2020년 9월. ...남쪽에서는 인도판유라시아판을 북동 방향으로 밀면서 충돌하고 있고, 동쪽에서는 태평양판필리핀판유라시아판 하부로 섭입하면서 압축력을 작용시키고 있다. 이러한 이유로 유라시아판 내부에 위치한 한반도에는 압축응력 조건의 응력장이 형성되며, 한반도에 전달되어 내부에 존재하는 단층들에서 응력이 해소되는 지진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유라시아판 내부에 위치한 한반도에서 발생하는 지진들은 주로 중생대의 격렬한 지각변동으로 생성된 단층이나 주요 지질구조의 경계에서 발생하고 있다. 
  7. 이민정 (2014). “최근 북한 및 서해 북부 지역에서 발생한 지진의 지진원 특성”. 이기화(2010)는 한반도의 지진들은 주로 중생대에 한반도에서 발생한 격렬한 지각변동으로 생성된 단층 및 깨진 지질구조의 경계에서 발생하고...한반도에서 발생하는 지진은 판 내부 지진에 해당한다고 하였다. 
  8. 임규리 (2008년). “우리나라 지진활동의 특성 분석”. Lee(2006)에 의하면 대부분의 지진들이 중생대의 지각변동들의 영향을 적게 받은 북동부를 제외하고는 반도내의 주요 단층이나 지체구조의 경계를 따라서 발생하였음이 발견되었다. 중생대의 지각변동으로 한반도 남부지역과 북서부지역의 지각이 심하게 파쇄 되었고, 이 때 생성된 단층들의 일부가 현재까지 지진을 발생시켜 온 것으로 추정된다. 한반도의 지진활동은 주로 히말라야 산맥에서 유라시아판과 인도 판이 충돌할 때 발생하는 응력에 기인하는 것으로 여겨진다. 
  9. “지진 관측자료를 기반으로 한 한반도 지진 발생 확률 예측”. 사이언스온. 2017년. 계기지진 분석 결과 한반도에서 일어나는 대규모 지진은 대부분 중생대 지각변동에 의해 생성된 NNE-SSW 주향 활성단층이 역단층 매커니즘에 의해 깨어지는 과정에서 발생하는데, 그 때 활성단층에 가해지는 힘은 유라시아 판이 태평양 판, 필리핀 판과 그리고 인도 판과 충돌할 때 발생하는 E-W 혹은 ENE-WSW 방향의 압력에 기인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10. “국내 지진활동 및 지각구조 연구동향”. 대한자원환경지질학회. 2006년. 그 결과 대부분의 지진들이 중생대의 지각변동들의 영향을 가장 적게 받은 북동부를 제외하고는 반도내의 주요 단층이나 지체구조의 경계를 따라서 발생하였음이 발견되었다. 중생대의 지각변동으로 한반도 남부지역과 북서부지역의 지각이 심하게 파쇄되었고 이 때 생성된 단층들의 일부가 현재까지 지진을 발생시켜온 것으로 추정된다. 
  11. 이기화 (2010년). “한반도의 지진활동과 지각구조”. 한반도의 지진들은 주로 중생대에 반도에서 발생한 격렬한 지각변동으로 생성된 단층 및 깨어진 주요 지질구조의 경계에서 발생한다 
  12. 최서원, 장원철 (2017년). “지진 관측자료를 기반으로 한 한반도 지진 발생 확률 예측”. 계기지진 분석 결과 한반도에서 일어나는 대규모 지진은 대부분 중생대 지각변동에 의해 생성된 NNE-SSW 주향 활성단층이 역단층 매커니즘에 의해 깨어지는 과정에서 발생하는데, 그 때 활성단층에 가해지는 힘은 유라시아 판태평양 판, 필리핀해판과 그리고 인도판과 충돌할 때 발생하는 E-W 혹은 ENE-WSW 방향의 압력에 기인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Lee, 2010; Jun과 Jeon, 2010; Shimazaki, 1984). 
  13. 이기화 (1998년). “한반도의 역사지진자료”. 그 결과 대부분의 지진들이 중생대의 지각변동들의 영향을 가장 적게 받은 북동부를 제외하고는 반도내의 주요 단층이나 지체구조의 경계를 따라 발생하였음이 발견되었다. 중생대의 지각변동으로 한반도 남부지역과 북서부지역의 지각이 심하게 파쇄되었고 이때 생성된 단층들의 일부가 현재까지 지진을 발생시켜 온 것으로 추정된다. 
  14. “공간통계기법을 활용한 한반도 지진발생의 공간적 연구”. 국토지리학회. 2018년. 
  15. 기상청 <국내지진 목록>, "인제" 검색 결과
  16. “5만 지질도”. 한국지질자원연구원. 
  17. 기상청, <국내지진 목록>, "연천" 검색 결과
  18. “鎭川 地質圖幅說明書 (진천 지질도폭설명서)”. 한국지질자원연구원. 1908년. 
  19. 기상청 <국내지진 목록>, "진천" 검색 결과
  20. 기상청 <국내지진 목록>, "상주" 검색 결과
  21. 기상청 <국내지진 목록>, "경북 의성" 검색 결과
  22. 기상청 <국내지진 목록>, "경북 군위" 검색 결과
  23. 기상청 <국내지진 목록>, "경북 영천" 검색 결과
  24. “국토 대단층계(양산단층 중부지역) 위험요소 평가연구” (PDF). 한국지질자원연구원. 2020년. 
  25. “<활성단층지도 및 지진위험지도 제작> #1”. 한국지질자원연구원. 2012. 
  26. “<활성단층지도 및 지진위험지도 제작> #2”. 한국지질자원연구원. 2012. 
  27. “활성단층지도 및 지진위험지도 제작 (#1)”.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추가령 단층, 왕숙천단층, 광주단층, 전주단층, 정읍단층, 의당단층, 공주단층, 십자가단층 등이 활성단층임을 규명 
  28. “활성단층지도 및 지진위험지도 제작 (#2)”. 한국지질자원연구원. 
  29. 가나다순
  30. 진북을 기준으로 단층의 방향이 향하는 곳의 방위
  31. http://theme.archives.go.kr/viewer/common/archWebViewer.do?bsid=200041136988&gubun=search <원전부지 인근지역의 신기단층조사연구(최종보고서)> 과학기술부, 2006 59페이지 인용
  32. “수렴단층과 읍천단층의 제4기 활동 및 지진 안정성”. 
  33. “제4기 읍천 1단층의 특성”. 대한자원환경지질학회. 2003년. 
  34. http://www.ndmi.go.kr/common/download.jsp?PAGE_ID=P0000002177 <활성단층지도 및 지진위험지도 제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