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천리층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건천리층
층서 범위: 백악기 상파뉴절
가천역 동쪽 경부선 철도 및 천을로 23길 도로 절개사면에 드러난 건천리층 암회색 셰일의 노두
유형퇴적암
상위 단위경상 누층군
하층대구층, 채약산 분암층
지역대구광역시 수성구 고산동
경상북도 경주시 건천읍, 산내면
두께2,000 m (영천-경주)
800 m (대구광역시)
암질
셰일, 실트스톤, 사암, 이암
나머지석회암
위치
이름 유래경주시 건천읍 건천리
명명자다테이와 이와오 (1929)
좌표북위 35° 51′ 02.5″ 동경 128° 42′ 24.4″ / 북위 35.850694° 동경 128.706778°  / 35.850694; 128.706778
나라대한민국의 기 대한민국

건천리층(Ksst, Kks; Kyeongsang supergroup Hayang group Geoncheonri formation, Kansenri formation, 乾川里層 (かんせんりそう))은 중생대 백악기 경상 누층군 하양층군의 퇴적암 지층이다. 건천리층은 채약산 분암층 상위의 지층으로, 대개 흑색과 암회색의 셰일 및 실트스톤으로 구성된다. 경주시 건천읍을 중심으로 분포하며 두께는 대구-경산 지역에서 약 800 m이다. 건천리층의 고지자기를 측정한 결과 정자극기의 방향으로 자화되어 있으며, 건천리층은 백악기상파뉴절(Campanian; 70.6–83.5 Ma) 중기-말기에 약 400만년간 퇴적된 지층일 것으로 추정된다.[1] 탄소동위원소 분석 결과 건천리층이 퇴적될 당시 경상 분지는 반건조-아습윤 (강수량 400~700 mm)의 기후를 나타내며 건천리층의 δ13CTPM 값은 타 지역의 전호(forearc) 지역보다 높은데 이는 그 당시 경상 분지의 기후가 전호 지역보다 더 건조했고 이러한 건조 기후는 이자나기판의 섭입으로 화산 활동이 활발해져 대륙과 전호 사이에 일종의 방어막(barrier; uplift of the accretionary complex)이 형성되어 경상 분지가 바람그늘(rain-shadow) 사면에 들어간 것에 기인한 것으로 보인다.[2]

지역별 지질[편집]

경주시, 영천시[편집]

  • 모량 지질도폭(1971)에 의하면 경주시 건천읍 화천리, 모량리산내면 감산리, 내일리, 의곡리에 분포하고 있다. 본 층에 대하여 다테이와 이와오(立岩巖, 1929)는 채약산 분암층을 정합적으로 피복하고, 주사산 안산암에 의해 관입당하고 있다고 설명하고 있다. 본 층의 주향과 경사는 곳에 따라 다르다. 건천읍 화천리의 모량 단층을 중심으로 그 동쪽의 벽도산 부근에서는 북서 15°및 남서 22°, 본 층의 남부 529 m 고지 부근에서는 북동 70°및 남동 12°로서 다소 변한다. 모량 단층 서쪽에서는 일반적으로 주향이 북서 15~45°및 경사는 남서 8~15°이다.
  • 영천시 대창면 용호리 14에 위치한 영지사(대창면 영지길 471) 입구에는 아래 사진과 같이 공룡 발자국의 화석이 드러나 있다. 주차장과 간단한 표지판이 있으며 화석은 이구아노돈 계통의 공룡으로 12개 정도 드러나 있다.
  • 하부 건천리층에서 다량의 Charophyte 화석이 산출되었으며 이들은 4속 6종으로 분류되었다. 이 화석에 의해 건천리층의 지질시대는 백악기 압트절(Aptian) 내지 알비절(Albian)에 해당할 것으로 보인다.[3]
  • 건천-아화 지역에 분포하는 건천리층으로부터 총 18속 32종의 포자화분화석이 보고되었다. 화석군의 특징으로 보아 건천리층의 지질시대는 백악기 압트절(Aptian) 내지 알비절(Albian)에 대비되고 CorollinaEphedripites 포자화분 화석군이 지시하는 건천리층 퇴적 당시의 기후는 온난 건조했던 것으로 추정된다.[4]
  • 장기홍(1989)은 경주시 서면 운대리 지역에서 윤조화석 Obtusochara cylindrica, Obtusochara sp., Mesochara sp.을 발견하였다.[5]

대구광역시[편집]

대구광역시 내에서 대구층 상위에 놓인 건천리층은 북동 주향에 남동쪽으로 16~20° 정도 기울어 있으며 수성구 고산3동의 고산(95.3 m) 주변과 가천역 남쪽의 우산(123.9 m)-천을산(156 m)-제5군수지원사령부 일대에 소규모 분포한다. 아래 사진과 같이 가천역과 우산 부근에서 이 지층의 노두를 잘 볼 수 있으나 대부분 지층의 원래 색(암회색)을 알아볼 수 없을 정도로 심하게 풍화되어 있다. 이 지층은 주로 암회색의 셰일, 사암, 이암으로 구성되며 연흔과 건열 구조가 발달하고 박층의 암회색 석회암이 협재된다. 지층의 두께는 약 800 m이다.[6]

경산시[편집]

  • 경산 지질도폭(1971)에서의 자인층이 건천리층에 해당한다. 이에 대해서는 자인층 문서를 참조할 것.
  • 경산시지방도 제919호선 북쪽 사면에서 거북이 Kirgizemys의 껍질 파편 화석이 발견되었다. 이는 한반도의 중생대 퇴적층에서 보고된 최초의 거북이 화석이다.[7]


도폭 구성 암석 산출 화석 두께 (m)
대구도폭 암회색의 셰일, 사암, 이암, 암회색 석회암 협재 - 800
영천도폭 -
경주도폭 포자화분 화석 (건천-아화 지역)
모량도폭 흑색 셰일, 녹회색 셰일, 혼펠스 -

같이 보기[편집]

각주[편집]

  1. 김광호; 김두수 (1991년 2월). “대구-경주 일대에 분포된 채약산층 건천리층 및 주사산층의 지자기층서 (Magnetostratigraphy of the Chaeyaksan, Konchonri, and Jusasan Formations Distributed in Taegu-Kyongju Area)”. 《대한지질학회27 (1): 40-51. 
  2. Sung Kyung Hong; Yong Il Lee; Sangheon Yi (2012년 6월). “Carbon isotopic composition of terrestrial plant matter in the Upper Cretaceous Geoncheonri Formation, Gyeongsang Basin, Korea: Implications for Late Cretaceous palaeoclimate on the East Asian continental margin”. 《Cretaceous Research》 35: 169-177. doi:10.1016/j.cretres.2011.12.006. 
  3. 최성자 (1987년 12월). “Study on the Lower Cretaceous Charophytes from the Upper Gyeongsang supergruop (상부 경상누층군 산 백악기 윤조화석 연구)”. 《한국고생물학회》 3 (2): 79-92. 
  4. 최덕근 (1989년 12월). “Paleopal Ynology of the Geoncheonri formation (Lower Cretaceous), Geoncheon-Ahwa Area, Korea (건천리층 (하부 백악계)에서 산출되는 포자화분화석)”. 《한국고생물학회》 5 (1): 1-27. 
  5. 장기홍 (1989년 5월). “대구-진주 지역 백악계 생층서학적 비교 연구 (Comparative Cretaceous Biostratigraphy of Daegu and Jinju Areas)”. 경북대학교. 
  6. “朝鮮地質圖 第4輯 - 慶州, 永川, 大邱 及 倭館圖幅”. 조선총독부지질조사소. 1928년. 
  7. Yuong-Nam Lee (한국지질자원연구원); J. Howard Hutchison (캘리포니아 대학교); 장기홍 (경북대학교) (2009년 10월). “Kirgizemys (macrobaenid) turtle from the Geoncheonri Formation of South Korea”. 《대한지질학회 2009 추계지질과학연합학술발표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