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8년 포항 지진 (浦項地震) 은 대한민국 표준시 기준 2018년 2월 11일 오전 5시 3분경 경상북도 포항시 북구 북서쪽 5km 지역에서 발생한 지진이다. 2017년 포항 지진 의 여진이다. 지진 직후 담장이 무너지는 등 피해 신고가 속출했으며,[ 1] 지진이 발생하고 7분이 지나서야 재난문자가 발송되어, 정부의 늑장 대처가 논란이 되었다.[ 2]
43명이 부상을 당하고 포항역 등 354곳에서 시설물 피해가 발생했다.[ 4] 지진 공포가 확산하면서 흥해 실내체육관에 대피한 이재민은 400명을 넘어섰다.[ 5]
경북 포항 시내 학교 47곳과 도서관 등 교육기관 4곳에서 피해가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 대흥초등학교 와 포항여자중학교 등에서 미장이 탈락해거나 벽체 균열이 일어났고, 영일공공도서관 등에서도 천장 타일 일부가 내려앉았다.[ 6]
포항시 보경사 의 법당 내부에 균열이 발생하는 등 문화재가 일부 훼손되었다.[ 7]
사유시설 피해 80건
2월 16일 기준으로 이번 지진 시설피해 신고는 날이 갈수록 늘어나 1천 438건이다.
1월 2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 30명 이상 사망한 지진
· ‡ 이 해 사망자가 가장 많은 지진
· 지진 규모는
모멘트 규모 · 지진 발생일시는
UTC
고려 시기 이전 (- 1392)
(고구려 졸본 (2 · M?) )
위례성 인근 (13 · M?)
위례성 인근 (27 · M6.3)
광주 (89 · M6.3)
경주 (100 · M6.3)
경주 (123 · M6.3)
경주 (304 · M6.3)
평양 (502 · M6.3)
경주 (510 · M6.3)
경주 (664 · M6.3)
경주 (779 · M6.7)
경주 (780 · M6.3)
개성 (1036 · M5.7)
개성 (1385 · M6.3)
조선 시기 (1392-1905)
순천 (1455 · M6.4)
한성 (1518 · M6.7)
백천 해역 (1518 · M6.7)
경산 (1553 · M6.3)
백두산 인근 (1597 · M8<)
수원 (1613 · M6.3)
합천 (1643 · M6.4~6.7)
울산 해역 (1643 · M6.7)
황해 해역 (1649 · M6.5)
순창 (1664 · M6.3)
황해도 청단 (1668 · M6.4)
김제 해역 (1670 · M6.3)
양양 해역 (1681 · M7.5)
홍성 (1700 · M6.5)
개성 (1714 · M6.7)
함흥 (1727 · M5.7)
부령 (1810 · M?)
대한제국 중부 (1899 · M6.4)
근대적 관측 시기 (1905-1977년) 정밀 관측 시기 (1978년-현재) 한국에 영향을 준 지진해일
암석
선캄브리아기 고생대 조선 누층군
태백층군
지층 삼엽충 생층서대
묘봉층
Redlichia
Elrathia
Mapania
Bailiella
세송층
Stephanocare
Neodrepanura
Prochuangia
Chuangia
Kaolishania
화절층
Asioptychaspis subglobosa
동점층
두무골층
Asaphellus
Protopliomerops
Kayseraspis
직운산층
코노돈트 생층서대
화절층
Proconodontus
Eoconodontus notchpeakensis
Cambrooistodus minutus
Cordylodus proavus
Fryxellodontus inornatus-Monocostodus sevierensis-Semiacontiodus lavadamensis
두무골층
Chosonodina herfurthi-Rossodus manitouensis
Glyptoconus quadraplicatus
Paracordylodus gracilis
Triangulodus dumugol
막골층
Triangulodus changshanensis-Aurilobodus leptosomatus
직운산층
Eoplacognathus suecicus-Eoplacognathus jigunsanensis
영월층군
지층 삼엽충 생층서대
삼방산층
Metagraulos sampoensis
Megagraulos semicircularis
마차리층
Tonkinella
Lejopyge armata
Glyptagnotus stolidotus
Glyptagnostus reticulatus
Proceratopyge tenuis
Hancrania brevilimbata
Eugonocare longifrons
Eochuangia hana
Agnostotes orientalis
Pseudoyuepingia asaphoides
와곡층
Fatocephalus hunjiangensis
문곡층
Yosimuraspis
Kainella
Shumardia
영흥층
필석 생층서대
문곡층
Adelograptus
Callograptus-Dendrograptus
Psigraptus
평창층군 용탄층군
문경층군 평남분지 주요 화석
바실리엘라
직운산층
Basiliella sp.
Basiliella kawasakii
Basiliella typicalis
Basiliella choii
돌레로바실리쿠스
직운산층
Dolerobasilicus yokusensis (Kobayashi)
지질구조
지역별 지질 지질유산
지하자원
기타
고생대 평안 누층군 고생대 옥천 누층군
충주·제천 문경 보은·옥천 대전 이남 지역별 지질 지질유산
중생대 경상 누층군
신동층군 하양층군
유천층군 불분명·기타 지역별 지질
지질 유산
경북
경북동해안 국가지질공원 청송지질공원
암석
지질유산
퇴적암 류화성암 류
주왕산 기암단애
주방천 페퍼라이트
주왕산 연화굴
주왕산 용추협곡
주왕산 용연폭포
주왕산 급수대 주상절리
주왕산 절골협곡
주산지
청송 얼음골
법수도석
병암 화강암 단애
나실 마그마 혼합대
면봉산 칼데라
수락리 주상절리
파천 구상 화강암
청송 구과상 유문암
노루용추 계곡
달기약수
의성지질공원 영양소분지 의성소분지
대구 경남
부산 울산 기타
경상 분지 내 단층
지하자원
신생대 북한
신생대 관입암류 중생대 관입암류 고생대 관입암류 원생대 관입암류 시생대 관입암류
주요 지질 구조
주요 지진
고려 시기 이전 (- 1392)
(고구려 졸본 (2 · M?) )
위례성 인근 (13 · M?)
위례성 인근 (27 · M6.3)
광주 (89 · M6.3)
경주 (100 · M6.3)
경주 (123 · M6.3)
경주 (304 · M6.3)
평양 (502 · M6.3)
경주 (510 · M6.3)
경주 (664 · M6.3)
경주 (779 · M6.7)
경주 (780 · M6.3)
개성 (1036 · M5.7)
개성 (1385 · M6.3)
조선 시기 (1392-1905)
순천 (1455 · M6.4)
한성 (1518 · M6.7)
백천 해역 (1518 · M6.7)
경산 (1553 · M6.3)
백두산 인근 (1597 · M8<)
수원 (1613 · M6.3)
합천 (1643 · M6.4~6.7)
울산 해역 (1643 · M6.7)
황해 해역 (1649 · M6.5)
순창 (1664 · M6.3)
황해도 청단 (1668 · M6.4)
김제 해역 (1670 · M6.3)
양양 해역 (1681 · M7.5)
홍성 (1700 · M6.5)
개성 (1714 · M6.7)
함흥 (1727 · M5.7)
부령 (1810 · M?)
대한제국 중부 (1899 · M6.4)
근대적 관측 시기 (1905-1977년) 정밀 관측 시기 (1978년-현재) 한국에 영향을 준 지진해일
지역별 지질 지질 명소
한국의 지질유산
수도권
강원도
강원고생대국가지질공원
범위 : 영월군 서부, 정선군 중남부, 태백시 전역, 평창군 남동부
암석
지질유산
지역별 지질 관련 문서
충청북도
암석
중생대 고생대 원생대
소백산변성암복합체
흑운모 화강암질 편마암
페그마타이트질미그마타이트
시대 미상
지질유산
대 ·충 ·세
대구 ·경북
암석
지질유산
퇴적암 류화성암 류
주왕산 기암단애
주방천 페퍼라이트
주왕산 연화굴
주왕산 용추협곡
주왕산 용연폭포
주왕산 급수대 주상절리
주왕산 절골협곡
주산지
청송 얼음골
법수도석
병암 화강암 단애
나실 마그마 혼합대
면봉산 칼데라
수락리 주상절리
파천 구상 화강암
청송 구과상 유문암
노루용추 계곡
달기약수
부울경
전북
광주 ·전남
제주도
대한민국 국가지질공원 한국의 산맥 관련 기관 옛날 지질지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