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제 단층

인제 단층의 위치[1]
인제 단층은 대한민국 강원도 고성군 가진리에서 시작해 인제군 인제읍과 남면, 홍천군 홍천읍, 양평군 등을 지나 용인시 부근까지 이어지는 한반도 경기 지괴 내 북동-남서 방향의 주향 이동성 단층이다. 추가령 단층대의 남부, 금왕 단층의 북동부에 위치하며, 용인시 처인구 고림동 부근에서 추가령 단층대의 신갈 단층과 만난다. 생성 시기는 중생대로 추정된다.[1]
통과 지역[편집]
단층과 관련된 선상구조를 추적하면 강원도 고성군 가진리에서 인제군 북면 용대리, 한계리, 원통리, 인제읍, 남면 신남리를 거쳐 홍천군 두촌면 자은리, 역내리, 철정리, 화촌면 구룡포리와 송정리, 홍천읍 남면, 양평군 청운면 용두리, 단월면, 광주시 곤지암읍 수양리를 지나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에 이른다.[2][3] 언급한 지역들 중 양평군 단월면부터 홍천군, 인제군 원통리까지의 구간은 국도 제44호선과 선형이 일치한다.
노두[편집]
단층의 노두가 강원도 홍천군 두촌면 천현리 동부와 자은리 북부, 인제군 한계리 한계교에서 관찰된다.[4]
위치 | 좌표 | 성향 | 주향[5] | 비고 |
---|---|---|---|---|
강원도 홍천군 두촌면 천현리 | N37°51'47.99", E128°01'51.63" | 좌수향 | 경수길 경수교 인근 | |
강원도 홍천군 두촌면 자은리 | N37°52'59.32", E128°01'23.07" | 우수향 | 하상 노두 | |
강원도 인제군 북면 한계리 | N38°08'21.31", E128°15'04.29" | 좌수향+역단층 | 국도 제44호선 한계교 아래 하상 |
같이 보기[편집]
각주[편집]
- ↑ 가 나 “인제단층의 중생대 이 후 재활동 연대”. 대한자원환경지질학회. 2015년.
- ↑ “인제단층의 중생대 이 후 재활동 연대”. 대한자원환경지질학회. 2015년.
단층과 관련된 선상구조를 추적하면, 강원도 고성군 가진리에서부터 인제군 북면 및 남면, 홍천군, 양평군, 경기도 광주시, 용인시 처인구까지 이르는 단층이며, 용인시 고림동 부근에서 남북방향의 추가령 단층대에 의해 잘리거나 합류하게 된다
- ↑ “활성단층지도 및 지진위험지도 제작, 446페이지 인용”. 한국지질자원연구원.
- ↑ “활성단층지도 및 지진위험지도 제작, 449페이지 인용”. 한국지질자원연구원.
- ↑ 진북을 기준으로 단층의 방향이 향하는 곳의 방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