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노돈트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코노돈트
코노돈트 복원도
코노돈트 복원도
생물 분류ℹ️
계: 동물계
문: 척삭동물문
(미분류): 유두동물
아문: 척추동물아문
강: 코노돈트강 (Conodonta)
Eichenberg, 1930[1]
  • 본문 참조

코노돈트(Conodonts) 또는 추치류(錐齒類)는 멸종척추동물이다. 뱀장어를 닮았으며, 코노돈트강(Conodonta)으로 분류한다. 캄브리아기, 그 중 2기에 처음 등장하였으나 몇 차례의 큰 자연재해로 인해 트라이아스기에 멸종했다. 코노돈트는 표준 화석의 일종으로 간주된다.

하위 분류[편집]

  • Paraconodonta
    • Amphigeisiniformes
    • Westergaardodiniformes
  • Euconodonta
    • Caviodonti
      • Proconodontiformes
    • Conodonti
      • Protopanderodontida
      • Panderodontida
      • Prioniodinida
      • Ozarkodinida

계통 분류[편집]

2019년 미야시타(Miyashita) 등의 연구 결과에 의한 척추동물의 계통 분류는 다음과 같다.[2]

결갑류

Pipiscius

Euconodonta

원구류

익갑류

† 텔로돈트류

† 피투리아스피스강

† 갈레아스피스강

† 골갑류

유악류

한국[편집]

영월군 북면 마차리에서는 조선 누층군 상에서 많은 수의 코노돈트 화석이 산출되었다. 코노돈트가 산출된 곳 중 하나인 마차리 단면은 영월군 북면 마차리 마을에서 동쪽으로 1km가량 떨어진 하상(stream bed)에 드러나 있다. 노출 구간은 대체로 조선 누층군 마차리층의 하부이며, 그 아래는 페름기 사동층(미탄층)충상 단층으로 접하고, 그 위는 와곡층이 정합으로 덮고 있다. 이 지역의 마차리층은 주로 층상 석회암, 렌즈상~단괴상 석회암, 괴상 석회암, 흑색 셰일과 함단괴 석회암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소규모의 단층과 습곡이 반복적으로 관찰된다. 이 단면에서 마차리층의 두께는 41.2 m이다.[3]

  • Hertzina? bisulcata Mueller (마차리층, 북면 오만동 북서편 노두)
  • P. tenuis (Mueller) (마차리층, 북면 오만동 북서편 노두)
  • Serratognathus bilobatus Lee (상동면 상동)
  • D. orphanus Merrill (요봉층, 요봉지역(성황당 부근)의 개울가)
  • D. edentulus von Bitter (금천층, 구강동 서진탄광 도로변)
  • Hindeodus minutus (Ellison) (상동면 구강동 도로변, 페름기 밤치층, 밤치재 부근 국도변)
  • Idiognathotoides opimus (Igo & Koike) (요봉층 하부, 북면 학전동 구채석장)
  • Streptognathodus spp. (만항층 상부, 상동면 구강동 도로변)
  • Gondolella laevis Kossenko (상동면 구강동 도로변)
  • G. Bella Stauffer & Plummer (상동면 구강동 도로변)
  • Idiognathodus ellisoni Clark & Behnken (밤치층, 요봉 성황당 부근 및 밤치재 부근 국도변)
  • Streptognathodus elegantulus Stauffer & Plummer (요봉 성황당 부근 및 밤치재 부근 국도변)
  • S. elongatus Gunnell (요봉 성황당 부근 및 밤치재 부근 국도변)
  • S. wabaunsensis Gunnell (밤치재 부근 국도변)
  • S. barskovi Kozur (요봉 성황당 부근 및 밤치재 부근 국도변)
  • Diplognathodus moori (von Bitter) (요봉 성황동 부근)
  • D. expansus (Perlmutter) (밤치재 부근 국도변)
  • D. triangularis Ding & Wan (요봉 계곡 입구)

각주[편집]

  1. Conodonten aus dem Culm des Harzes. W Eichenberg, Paläontologische Zeitschrift, 1930, page 177-182, doi 10.1007/BF03044446
  2. Miyashita, Tetsuto (2019). “Hagfish from the Cretaceous Tethys Sea and a reconciliation of the morphological–molecular conflict in early vertebrate phylogeny”. 《Proceedings of the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of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116 (6): 2146–2151. doi:10.1073/pnas.1814794116. PMC 6369785. PMID 30670644. 
  3. “강원도 영월의 마차리 단면(마차리층)에서 산출된 캄브리아기의 전기 푸롱통(Furongian Series) 코노돈트 화석군”. 한국고생물학회. 2012년 12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