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좌표 : 북위 35° 10′ 34″ 동경 126° 54′ 21″ / 북위 35.17611° 동경 126.90583° / 35.17611; 126.90583
전남대학교 (全南大學校, Chonnam National University )는 광주광역시 , 전라남도 여수시 및 화순군 에 있는 대한민국 의 종합대학으로 1952년에 발족하였다. 광주, 여수, 화순에 캠퍼스가 있고 본 캠퍼스는 광주광역시 용봉동에 위치하고 있다. 2017년 현재 16개의 단과대학(광주 13, 여수 3), 1개의 독립적인 학부, 1개의 일반대학원, 각 5개의 전문대학원과 특수대학원을 갖추고 있다. 대한민국 교육부 소속으로 총장은 장관급 예우를 받는다.
1909년 6월 10일 : 광주농업학교 설립
1920년 6월 : 목포상업학교 설립
1944년 3월 31일 : 광주의학전문학교 설립
1950년 5월 : 광주초급농과대학, 도립 목포초급상과대학 설립 인가, 대학원(의학과) 인가
1951년 8월 : 대성의숙(사립대성대학) 설립 인가
1951년 9월 16일 : 국립 전남대학교 건립 기성회 결성
1952년 1월 1일 : 공과대학, 도립 광주농과대학, 사립 대성대학, 도립 목포상과대학, 도립 광주의과대학 등 5개 대학을 통합, 국립 전남대학교로 발족
1954년 : 법과대학 신설
1958년 4월 19일 : 목포상과대학이 광주로 이전
1961년 9월 9일 : 국립대학 정비 단행으로 농과대학, 상과대학이 폐지되어 전북대학교 농과대학, 상과대학으로 흡수, 전북대학교의 공과대학, 법과대학이 폐지되어 전남대학교로 편입, 광주사범대학(2년제)을 전남대학교 병설 교육대학으로 개편
1962년 1월 16일 : 의과대학 부속 간호 고등학교를 간호학교(3년제 초급대학)로 승격
1963년 3월 1일 : 병설 교육대학을 광주교육대학 으로 분립
1972년 3월 1일 : 농과대학에 원예학과, 의과대학에 간호학과 각각 신설
1973년 2월 23일 : 실험대학 (사범대학, 상과대학) 인가
1973년 3월 1일 :의과대학 부속 간호학교를 의과대학 부속 간호전문학교로 승격 인가
1973년 10월 18일 : 지역 대학 특성화 학과에 공과대학 요업공학과(현재 재료공학부) , 화학공학과(현재 화학공학부) , 농과대학 농학과[식량작 중심](현재 식물생명공학부 응용식물학 전공) , 식품가공학과(현재 농식품생명화학부 식품공학 전공) 선정
1974년 3월 1일 : 실험대학 (공과대학, 농과대학, 문리과대학) 추가 인가
1974년 12월 9일 : 실험대학 (법과대학) 추가 인가
1977년 4월 4일 : 특성화 공과대학으로 화학공학과(현재 화학공학부) , 화학기계공학과(현재 기계공학부) , 계측제어공학과(현재 전기공학과) , 공업재료공학과(현재 신소재공학부) 선정, 요업공학과, 섬유화학공학과, 화학공업경영학과, 화학공업교육과 폐지
1979년 1월 1일 : 의과대학 부설 간호전문학교를 의과대학 부속 간호전문대학(3년제)으로 개편
1980년 2월 26일 : 문리과대학을 인문사회과학대학과 자연과학대학으로 분리 개편
1981년 2월 28일 : 치과대학 신설, 상과대학을 경영대학으로 명칭 변경
1982년 2월 26일 : 약학대학 (약학과, 제약학과), 예술대학(음악학과, 미술학과, 국악과) 신설
1986년 2월 28일 : 의과대학 부속 간호전문학교 폐교
1987년 2월 26일 : 인문사회과학대학을 인문과학대학, 사회과학대학으로 개편
1988년 2월 26일 : 농과대학 수의학과를 수의과대학으로 승격 개편
1994년 8월 22일 : 국책 지원 공과대학에 자동차 분야 선정
1998년 3월 1일 : 수의과대학 수의학과를 6년제로 변경, 자연과학대학에 수의예과 신설
2002년 12월 14일 : 의학전문대학원 설치 인가
2005년 3월 1일 : 의과대학 간호학과 를 간호대학 으로 승격, 신설, 치과대학 을 폐지하고, 치의학전문대학원 신설
2006년 3월 1일 : 전남대학교와 여수대학교 통합, 기존의 전남대학교는 전남대학교 광주캠퍼스, 여수대학교는 전남대학교 여수캠퍼스로 전환, 통합 전남대학교 출범
2008년 2월 24일 : 법학전문대학원 설치 예비 인가
2009년 3월 1일 : 법학계열(법학과, 행정학과)에서 법학과를 폐지하고, 행정학과는 모집단위를 분리하여 사회과학대학 소속으로 변경
2009년 3월 2일 : 의학전문대학원 제1회 입학
2010년 3월 1일 : 자연과학대학 의예과 , 수의예과 를 의과대학 의예과 , 수의과대학 수의예과 로 소속을 변경
2015년 3월 1일 : 의학전문대학원 폐지, 의과대학 체제로 회귀
역대 총장 [ 편집 ]
1대: 최상채
2대: 최상채
3대: 박하욱
4대: 김준보
5대: 박하욱
6대: 유기춘
7대: 유기춘
8대: 민준식
9대: 민준식
10대: 오항기
11대: 정득규
12대: 김영인
13대: 오병문
14대: 최한선
15대: 노성만
16대: 정석종
17대: 강정채
18대: 김윤수
19대: 지병문
20대: 정병석 (2018년 현재)
캠퍼스 [ 편집 ]
광주광역시 북구 에 본캠퍼스인 용봉캠퍼스 , 동구 에 의과대학과 간호대학으로 구성된 학동캠퍼스 가 있다. 또한 전라남도 여수 에는 둔덕동캠퍼스 와 국동캠퍼스 가 있으며, 전라남도 화순 에는 화순전남대병원이 위치한 화순캠퍼스 가 있다.
개설 학과 [ 편집 ]
용봉동캠퍼스: 500-757 광주광역시 북구 용봉로 77 (용봉동)
학동캠퍼스: 501-746 광주광역시 동구 서남동길 26 (학동)
둔덕동캠퍼스: 550-749 전남 여수시 대학로 50 (둔덕동)
국동캠퍼스: 550-807 전라남도 여수시 구봉로 291 (국동)
화순캠퍼스: 519-809 전라남도 화순군 화순읍 일심리 160번지
같이 보기 [ 편집 ]
외부 링크 [ 편집 ]
대한민국 교육부 본부 소속 국립대학
종합대학
원격대학
교육대학
전문대학
해사고등학교
예술고등학교
특수학교
각종 학교
산하 공공기관 소관기관 직원
강릉원주대학교 총장, 강원대학교 총장, 경남과학기술대학교 총장, 경북대학교 총장, 경상대학교 총장, 공주대학교 총장, 군산대학교 총장, 목포대학교 총장, 부경대학교 총장, 부산대학교 총장,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총장, 순천대학교 총장, 안동대학교 총장, 전남대학교 총장, 전북대학교 총장, 제주대학교 총장, 창원대학교 총장, 충남대학교 총장, 충북대학교 총장, 한국교원대학교 총장, 한국교통대학교 총장,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총장 및 한국해양대학교 총장은 장관급 예우(특1호봉)를 받는다
금오공과대학교 총장, 목포해양대학교 총장, 한경대학교 총장, 한국체육대학교 총장, 한밭대학교 총장 및 10개 교육대학의 총장은 차관급 예우(특2호봉)를 받으며, 한국복지대학교 총장은 1급 상당(특3호봉) 예우를 받는다.
국립국악고등학교 및 국악학교, 국립전통예술고등학교 및 전통예술학교의 설립·운영 권한을 문화체육관광부 가 교육부로부터 위탁받아 운영중이다.[1]
국사편찬위원회 위원장은 차관급 정무직공무원으로 보한다.
서울대학교(SNU) 및 인천대학교(INU)는 국립대학법인이다.
한국과학창의재단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소속이나 과학기술기본법 제30조에 의거 교육부 장관이 지정하는 각종 사업을 시행한다.
세종충남대학교병원[2] 을 2019년 10월 세종특별자치시 에, 군산전북대학교병원[3] 을 2022년 1월 전라북도 군산시 에 설립 추진 중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