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남대학교
![]() ![]() | |
표어 | 경천애인(敬天愛人) |
---|---|
종류 | 사립 대학 |
설립 | 1946년 8월 1일 |
종교 | 개신교 |
총장 | 윤신일 |
설립자 | 우원(友園) 이호빈 |
학교법인 | 강남학원 |
학부생 수 | 12,571명 (2020년) |
대학원생 수 | 748명 (2020년) |
교직원 수 | 전임교원:241명 (2017) |
국가 | 대한민국 |
위치 | 경기도 용인시 기흥구 강남로 40 |
규모 | 5대학, 4대학원 |
상징물 | 백합, 양 |
웹사이트 | 강남대학교 홈페이지 |
![]() |
강남대학교(江南大學校, Kangnam University)는 대한민국 경기도 용인시 기흥구에 위치한 사립 대학으로, 1946년 개교하였다. 대한민국의 대학으로는 최초로 지금의 사회복지학과인 사회사업학과, 실버산업학과, 부동산학과가 설치된 학교로, 미래복지융합연구소, 경기도 중장년 행복캠퍼스, 하남시 사회적경제지원센터, 용인시 사회적경제센터, 동탄장애아동재활센터, 군포시립도담어린이집, 하남시 건강가정 다문화가족지원센터 등을 운영하고 있다. '복지와 ICT융합을 선도하여 세상을 이롭게 하는 대학'을 비젼으로 경천애인을 실천하는 KNU참인재를 양성하는 교육프로그램을 개발·운영하고 있다.
역사[편집]
강남대학교는 1946년 설립된 중앙신학원을 모태로 둔 학교로, 대한민국의 대학 중 역사가 상당한 대학에 속한다. 강남대학교 설립 당시는 일제강점기 해방 직후로, 학교 설립과 개교에 있어 열악한 상황이었다. 최초의 대한민국의 종합대학인 고려대학교, 서울대학교, 연세대학교, 이화여자대학교 등이 개교했으며, 강원권에서 강릉사범학교(현 강릉원주대학교), 영남권에서 국민대학관(현 경남대학교)과 부산대학(현 부산대학교)이 설립되었으며, 호남권에서 광주야간대학원(현 조선대학교) 등이 같은 해에 설립되었다.
1946년 8월 1일에 서울 YMCA 본부에 설립한 중앙신학원이 설립되었다. 당시 초대 이사장은 금연(錦淵) 정일형이었다. 이후 1953년에 사회사업학과를 대한민국 최초로 신설하고, 1974년 서울특별시 강남구로 이전했다. 즉, 학교 설립 당초부터 강남에 있었던 것은 아니다. 이후 1976년에 4년제 학력 인정 학교인 강남사회복지학교로 교명을 변경한다. 4년 후인 1980년, 대학으로 승격을 위해 경기도 용인시로 교사를 다시 옮긴다. 1975년 4년제 대학 동등 학력 인정 대학으로 지정된 이후, 종합대학 개념이 법적으로 폐지된 1992년, 정식으로 일반대학으로 개편되었다.
1953년 사회사업학과, 1981년 부동산학과, 1991년 노인복지학과, 2017년 데이터사이언스학과를 대한민국 최초로 각각 신설하였다. 2005년 세계 최초로 카자흐스탄학전공을 신설한 바 있다.
창학 이념[편집]
강남대학교는 '하늘을 공경하고 사람을 사랑한다'는 뜻을 가진 경천애인(敬天愛人)을 교훈으로 하고 있으며, 이를 실천하는 사람들을 교육하기 위한 교육의 터전을 만들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이를 통해 진리를 탐구하고 인격을 연마하며 민족과 인류의 번영을 위하여 봉사하는 인재를 양성하는 것을 교육목표로 삼고 있다.[1]
교육편제[편집]
학부[편집]
강남대학교의 학부 졸업 소요학점 140 학점이다. 열린교육 체제의 구현을 위하여 국내·외 대학간 학점교류, 학점 은행제 및 시간제 학생 등록제를 실시하고 평생교육원을 활성화하고 있다. 국내·외 대학간 학점교류제 실시하고 있고, 사회봉사학점제와 강남인증제 등을 실시하고 있다.
2017년 기준, 강남대학교는 복지융합대학, 경영관리대학, 글로벌인재대학, ICT건설복지융합대학, 사범대학 등 5개의 단과대학을 운영하고 있다.
대학원[편집]
강남대학교는 일반대학원 1개원, 교육대학원, 융합복합대학원, 국제대학원 등 특수대학원 3개원을 운영중이다. 본래 전문대학원으로 사회복지전문대학원을 운영하였으나, 2017년 폐교되었다.
Welfare-Tech 이수제[편집]
강남대학교는 사회복지학 등 졸업생에게 Welfare-Tech 이수제(복지기술 이수제)를 실시하고 있다. 사회복지학과 학생들은 졸업 이후 제4차 산업혁명과 관련된 VR과 코딩을 배워 취업이나 창업에 강점을 가질 수 있도록 관련 학문을 이수하게 하는 제도이다. 복지기술의 정의는 고령화 및 저출산 등의 사회적 변화로 급증하는 복지 수요를 충족시키기 위해 일상생활의 영역에 ICT기술을 접목시켜 생활의 편의를 돕는 복지서비스 라고 할 수 있다.
강남대학교는 대한민국 최초로 사회복지학과를 편제한 교육기관 중 하나로, 현재 복지기술 이수제와 관련된 "Wel-tech(복지기술) 사업단"을 출범시킨 바 있다.[2] 복지기술이라는 분야는 서구권 국가에서 선도하고 있는 분야이지만, 대한민국내에서 본격적인 도입 목소리만 있을 뿐, 걸음마 단계로, 강남대학교가 선도하고있다.[3] 2018년 10월에는 강남대학교 웰-테크(Wel-Tech) 사업단과 노르딕센터, 덴마크 대사관의 공동주관으로 'Nordic-Korean Welfare Technology' 국제 세미나를 개최한 바 있다.[4]
국제학술교류[편집]
위상[편집]
대외 평가[편집]
강남대학교는 대한민국 최초의 사회복지학 편제 대학으로 위상이 높다. 학문 특성화와 관련 사업단 출범 등, 사회복지 분야에서 활발한 연구 활동을 보여 주고 있다. 특히, 복지와 기술의 융합 학문은 현재 대한민국 대학 중 몇없는 선도 대학으로 평가 받고 있다.[3]
국책 사업[편집]
다음은 강남대학교가 수행한 각종 국책 사업 목록이다.
- 2008년 과학기술부, 수도권 대학 특성화 사업 연차 평가 5년 연속 수도권대학특성화사업 선정
- 2009년 과학기술부, 입학사정관제 신규 지원대학 선정
- 2009년 과학기술부, 교육역량강화사업 지원대학 선정
- 2009년 과학기술부, 제 2차 평생학습중심대학 선정
- 2010년 과학기술부, 교육역량강화사업 지원대학 선정
- 2010년 과학기술부, 입학사정관제 지원대학 선정
- 2011년 과학기술부, 교육역량강화사업 3년 연속지원대학 선정.
- 2011년 과학기술부, 입학사정관제 3년 연속 지원대학 선정.
- 2012년 경기도, 경기청년뉴딜대학사업선정 (7년 연속)
- 2013년 교육부, 대학중심의 평생 학습활성화 지원사업 지원 대학 선정
- 2014년 고교교육정상화 지원사업 지원대학 선정
- 2015년 특수교육원, 장애대학생 교육복지 최우수 대학 선정
- 2016년 교육부, 한국연구재단 수도권 대학 특성화 사업 [CK-ll (university for creative korea] Wel-tech 사업단 선정. 약 30억 지원.
- 2018년 교육부, 고교교육 기여대학 지원사업 선정. 7억 6300만원 지원
- 2018년 교육부, 청해진 대학 사업 선정 리눅스와 자바 프로그램 개발자 과정을 진행, 해외취업 연계 프로그램. 2억 지원
- 2018년 교육부, 멕시코-쿠바 한인후손 초청 직업연수 위탁사업 선정
- 2018년 교육부, 해외 단기 교육봉사 프로그램 운영 사업 선정
- 2018년 교육부, 해외취업연수사업 선정
- 2018년 고교교육정상화 지원사업 지원대학 선정
학교 단체[편집]
강남대학교 총학생회[편집]
이 문단은 비어 있습니다. 내용을 추가해 주세요. |
동아리[편집]
캠퍼스 풍경[편집]
강남대학교 캠퍼스는 경기도 용인시 기흥구 구갈동에 있으며, 과거에는 서울 강남구 대치동에 있었다. 넓이는 198,178m²로 일반 대학임을 고려할 때 작은 규모에 속한다.[5] 서울특별시 내 위치하여 부지가 좁은 서강대학교와 단과대학인 춘천교육대학교와 비슷한 수준이다. 다만 기반 시설 등은 잘 갖추어져 있는 편이어서, 학교 인근에 강남대역이 위치하며, 용인시에는 기흥구 경희대학교, 루터대학교, 칼빈대학교, 수지구 단국대학교, 처인구 한국외국어대학교, 명지대학교, 용인대학교 등 교육 시설이 다수 위치한다.
도서관[편집]
이 문단은 비어 있습니다. 내용을 추가해 주세요. |
부속 특수학교[편집]
2011년 3월 2일 개교한 용인강남학교는 강남대학교 부속 특수학교다. 강남대학교 캠퍼스 내부에 위치하고 있다.
저명한 동문[편집]
각주[편집]
![]() |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 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 |
- ↑ “강남대학교 창학이념”. 《강남대학교》. 경기.
- ↑ “[2019수시입학정보] 강남대학교”. 《대학저널》 (서울: 대학저널). 2018년 7월 23일. 2019년 8월 28일에 확인함.
- ↑ 가 나 김하연 (2019년 5월 23일). “강남대, 2019 보건의료기술연구개발사업 선정”. 《베리타스 알파》 (서울). 2019년 8월 28일에 확인함.
- ↑ 김용호 (2018년 11월 1일). “강남대, Nordic-Korean Welfare Technology 국제 세미나 개최”. 《이뉴스투데이》 (서울). 2019년 8월 28일에 확인함.
- ↑ 이에 대하여 교육부 대학 공시 정보 사이트인 대학 알리미, 혹은 대한민국의 대학 캠퍼스 면적 현황 문서를 참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