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서울대학교
남서울대학교 대학본부 | |
표어 | 사랑, 창의, 봉사 |
---|---|
건학이념 | 진리가 너희를 자유케 하리라 (요 8:32) |
종류 | 사립 |
설립 | 1993년 12월 21일 |
종교 | 장로교 |
총장 | 윤승용 |
설립자 | 이재식 공정자 |
학교법인 | 성암학원 |
학부생 수 | 13,456명 (2022년)[1] |
교직원 수 | |
국가 | 대한민국 |
위치 | 충청남도 천안시 서북구 성환읍 대학로 91 |
규모 | 5대학, 3대학원 |
상징물 | 느티나무, 영산홍, 백마 |
웹사이트 | 남서울대학교 홈페이지 |
남서울대학교(南서울大學校, Namseoul University)는 대한민국 충청남도 천안시에 소재한 사립 대학이다.
1993년 설립된 남서울산업대학교가 모태로, 1998년 남서울대학교로 교명을 변경하여 현재에 이른다. 1993년 설립 당시 산업대학이었지만, 2012년 일반대학으로 전환하여 2022년 기준, 5개 단과대학, 일반대학원과 2개의 특수대학원으로 구성되어 있다.
연혁[편집]
남서울대학교는 1993년에 남서울산업대학교로 설립되었다. 4년제로 교육과정이 편제된 산업대학 형태로 설치되었으며, 1998년 남서울대학교로 교명을 변경하고, 2012년 일반대학으로 전환되었다.
1990년대[편집]
1993년 12월 21일에 학교법인 성암학원에 의해 남서울산업대학교로 설립인가가 되었다.[2] 전자계산학과, 전자공학과, 정보통신공학과, 산업디자인학과, 유통학과, 경영학과, 영어과, 일본어과 등 8개 학과에 840명이 편제되었다.
1995년 3월 1일에 건축학과와 환경조형학과, 스포츠경영학과, 중국학과가 신규 편제되었으며, 1996년 3월 1일에는 멀티미디어학과, 산업공학과, 광고홍보학과가 신설되고, 1997년 3월 1일에는 지리정보공학과에서 처음으로 학생을 모집하기 시작했다.
1998년 애니메이션학과, 호텔관광경영학과, 세무회계학과, 아동복지학과가 신설되었으며, 5월 1일에 남서울대학교로 교명이 변경되었다.[2]
1999년 3월 1일에는 운동건강관리학과, 국제통상학과, 보건행정학과가 신설되어 학교가 점점 양적으로 팽창해 나갔다.
2000년대[편집]
2001년 3월 2일에는 특수대학원인 디지털정보대학원을 개원했다.[3]
2003년 3월 1일에는 관광경영학과, 치위생학과가 설립되었고, 2006년 2월 6일에는 필리핀에 국제교류협력센터를 개소하였으며, 3월 1일에는 사회복지학과와 물리치료학과가 신설되었다.
2007년 3월 1일에 부동산학과가 신설되었으며, 3월 3일에 특수대학원의 일종인 아동행동치료대학원을 개원하였다.[3]
2008년 1월 3일에는 인도에 국제교류협력센터를 개소하였으며, 3월 1일에 건축공학과, 노인복지학과, 간호학과, 임상병리학과를 신설하고 건축학과를 5년제로 학제개편하였으며, 4월 18일에는 서울 대학로에 아트센터를 개관하였다.
2010년대[편집]
2011년 6월 27일에 산업대학에서 일반대학 전환을 인가 받았다.[4] 같은 해 12월 12일, 학군단 설치를 인가 받았다.
2018년 실시된 교육부 대학기본역량진단 평가 결과에서 역량강화대학에 선정되었다.[5]
2019년 2주기 대학기관평가 인증을 획득하여 2023년까지 5년간 인증을 유지하게 됐다.
2021년 실시된 교육부 대학기본역량진단 평가 결과에서 일반재정지원대학에 선정되었다.[6]
교육편제[편집]
남서울대학교는 '진리가 너희를 자유케 하리라'는 요한복음의 구절을 바탕으로, 개신교적 정신을 강조하는 한편, 사회인, 전문인, 세계인을 인재상으로 설정하여 교육을 실시하고 있다.
학부[편집]
남서울대학교의 학부 과정은 미래융합대학, 공과대학, 창조문화예술대학, 글로벌상경대학, 보건의료복지대학 등 5대학, 39학과가 설치되어 있다.[7]
대학원[편집]
남서울대학교의 대학원 과정은 3개 대학원이 설치되어 있으며, 일반 1개원, 특수 2개원으로 구성한다. 일반대학원의 경우 석사 과정 15과정, 박사 과정 20과정을 제공하고 있다. 특수대학원으로 복지경영대학원과 국제대학원을 설치하고 있다.
교육 방침상의 특징[편집]
국제 교류[편집]
남서울대학교는 2009년 기준으로 칼슨뉴만 대학교, 도쿄가쿠게이 대학 등 13개국 45개 대학과 학술 교류협정을 맺고 교류하고 있다.
학생 활동[편집]
남서울대학교 총학생회[편집]
기간 | 2016년 22대 |
2017년 23대 |
2018년 24대 |
2019년 25대 |
2021년 27대 |
---|---|---|---|---|---|
조직명 | 공감 | 울림 | 소원 | 꽃길 | 소담 |
학생회장 | 장웅희 | 박상준 | 유근천 | 남동현 | 장성연 |
부학생회장 | 한솔 | 황지현 | 오세연 | 노명진 | 임지영 |
남서울대학교 총동아리연합회[편집]
2018년 기준, 남서울대학교의 총동아리연합회 소속 중앙동아리로 29개가 설치되어 있다.[8]
학내 언론[편집]
교내 언론 기관으로는 방송국(NSBS)과 신문사(남서울학보)가 있다. NSBS는 1994년 임시 개국하여, 1995년에 정식 개국한 이래, NSBS 남서울 가요제와 방송제를 주관하고 있으며, 남서울학보는 1996년 11월 6일 창간호를 시작으로 현재까지 연간 6회 8면을 발행하고 있다.
캠퍼스 풍경[편집]
남서울대학교는 충청남도 소재 사립대학으로 천안시 서북구에 캠퍼스가 소재하며, 약 46만m2의 교지가 있다. 캠퍼스 주변에 등산로 등 산지가 있고, 근처 매주저수지가 위치하고 있다. 다만, 시외·고속버스 정류장인 남서울정류소가 캠퍼스 내 위치하고, 수도권 전철 1호선 성환역이 인근에 있어 교통은 편리한 편이다.
저명한 동문[편집]
각주[편집]
- ↑ 가 나 다 남서울대학교 교무처. “남서울 소개: 일반현황”. 《남서울대학교》. 충남. 2022년 8월 18일에 확인함.
- ↑ 가 나 남서울대학교 연혁 1993~2000
- ↑ 가 나 남서울대학교 연혁 2001~2005
- ↑ 남서울대학교 연혁 2011~
- ↑ 2018 대학기본역량진단평가 결과(일반대학), 연합뉴스, 2018년 8월 23일 작성.
- ↑ “충청일보”. 《남서울대 2021년 대학기본역량진단 일반재정지원 대학 최종 선정》. 2021년 9월 5일.
- ↑ “대학안내: 학과 소개”. 《남서울대학교 입학안내》. 충남. 2022년 8월 18일에 확인함.
- ↑ 남서울대학교 대학생활_동아리정보
외부 링크[편집]
- 남서울대학교 - 공식 웹사이트
- 남서울대학교 - 페이스북
- 남서울대학교 총학생회 카페(남대문)
- 남서울대학교 제25대 총학생회 - 페이스북
- 성암기념중앙도서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