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일장신대학교
표어 | 진리의 탐구, 자유의 구현, 사랑의 실천 |
---|---|
종류 | 사립 |
설립 | 1922년 6월 2일 |
종교 | 대한예수교장로회(통합) |
총장 | 채은하 |
설립자 | 서서평(Elisabeth J. Shepping) |
학교법인 | 한일신학 |
학부생 수 | 1,035명(2022년)[1] |
대학원생 수 | 305명(2022년)[1] |
교직원 수 | |
국가 | 대한민국 |
위치 | 전라북도 완주군 상관면 왜목로 726-15 |
규모 | 1대학, 6대학원 |
웹사이트 | 한알장신대학교 홈페이지 |
![]() |
한일장신대학교(韓一長神大學校, Hanil University and Presbyterian Theological Seminary)는 전라북도 완주군에 있는 대한민국의 사립 대학이다. 대한예수교장로회(통합) 계열로, 장로교계 신학 대학이다.
역사[편집]
한일장신대학교의 역사는 일제강점기에서부터 시작한다. 1922년 6월 2일 미국 남장로교회 선교부에서 파견한 선교사 엘리자베스 조해너 셰핑(Elizabeth Johanna Shepping, 한국 이름 서서평)이 광주에 여성들을 위한 전도부인(Bible woman) 양성학교인 이일성경학교[2]를 세웠고, 1923년 9월 4일에는 매티 잉골드 테이트(Mattie Ingold Tate) 선교사가 전주에 여성성경학교를 세웠다.[3] 그 뒤 여성성경학교는 전주한예정성경학교로 이름을 바꾸고 중화산동으로 자리를 옮겼으나 1940년에 신사참배 강요의 거부로 광주와 전주의 성경학교가 폐교되며 문을 닫았다.[4] 1947년 9월 전주한예정성경학교가 다시 문을 열였으며, 1948년 9월에는 이일성경학교가 다시 문을 열였다.[3]
1952년 전주한예정성경학교는 전주고등성경학교로 인가를 받았고, 1956년에는 전주한예정성서신학원으로 이름을 바꾸고 전라북도 교육위원회로부터 고등학교령에 의한 각종학교로 허가를 받았다.[4] 1961년 4월 1일 전주한예정성서신학원과 이일성경학교가 합병됐고, 각 학교 이름의 첫 글짜를 따서 한일신학원으로 이름을 바꾸었다.[4] 1967년 7월 전라북도 교육위원회로부터 한일여자신학교로 변경 인가를 받았으며,[4] 1973년 11월 14일에는 대학령에 의한 각종학교로 인가를 받았고,[3] 1978년 9월에는 대한예수교장로회(통합) 총회에서 지방 신학교로 인준을 받았다.[4]
1980년 2월 21일 대한민국 문교부로부터 4년제 학칭 변경 인가를 받았고, 1982년에는 한일신학교로 이름을 바꾸고 남녀공학 신입생을 모집했으며, 1984년 11월 16일 문교부가 한일신학교를 4년제 대학 학력 인정 학교로 인정했다.[3] 1994년 12월 교육부로부터 4년제 정규 대학으로 승인을 받았으며,[4] 1995년 3월 1일에 한일신학대학교로 학교 이름을 바꾸었고 1996년 11월 4일에 대학원 설립 승인을 받았다.[3] 1998년 9월 대한예수교장로회(통합) 총회에서 총회직영신학대학으로 허락받고 이름을 오늘날의 한일장신대학교로 바꾸었다.[3]
교육편제[편집]
학부[편집]
한일장신대학교는 단과대학과 학부 체계를 설정하지 않고 신학과, 사회복지학과, 실용음악학과, 심리상담학과, 간호학과, 운동처방재활학과 등 6개 확글 설치하고 학사 학위 과정을 교수하고 있다.
대학원[편집]
한일장신대학교의 대학원은 일반 1개원, 특수 5개원으로 구성한다. 일반대학원은 석사 3학과, 박사 2학과 과정을 지원하고 있다.[5] 한편, 특수대학원으로 NGO정책대학원, 사회복지대학원, 신학대학원, 심리치료대학원, 아태국제신학대학원을 설치하고 있다.
학생 활동[편집]
운동부[편집]
한일장신대학교는 야구부와 양궁부를 운영하고 있다. 야구부는 2003년 처음 창단했다가 2013년에 해체되었지만 2018년 3월 6일에 폐교된 서남대학교의 야구부를 인수해 재창단했다.[6]
캠퍼스 풍경[편집]
한일장신대학교는 전라북도의 사립 대학으로, 신리에 캠퍼스가 위치한다. 캠퍼스 내 9동의 건축물이 위치하고 있다.[7] 캠퍼스 북부, 왜목로를 통해 캠퍼스 접근이 가능하며, 북부에서 이어진 길이 캠퍼스 전체와 내부를 사각형 형태로 둘러싸고 있는 형태이다.
학교 동문[편집]
각주[편집]
- ↑ 가 나 다 라 “한일장신대학교 대학정보공시”. 《대학알리미》. 2022.
- ↑ 김종표 (2017년 9월 6일). “한일장신대, 개교 95주년 기념식·명예박사 학위 수여식”. 전북일보. 2018년 5월 10일에 확인함.
- ↑ 가 나 다 라 마 바 “한일장신대학교 연혁”. 2019년 4월 16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8년 5월 10일에 확인함.
- ↑ 가 나 다 라 마 바 “한일장신대학교 역사”. 2018년 5월 10일에 확인함.[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 ↑ “일반대학원: 학과소개”. 《한일장신대학교》. 완주. 2022년 12월 4일에 확인함.
- ↑ 임충식 (2018년 3월 6일). “한일장신대 야구부 재창단…‘폐교‘ 서남대 야구팀 인수”. 뉴스1. 2018년 5월 10일에 확인함.
- ↑ “캠퍼스지도”. 《한일장신대학교》. 완주. 2022년 12월 4일에 확인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