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대공원
보이기
仁川大公園 | |
![]() 인천대공원 남문(인천대공원역 앞) | |
나라 | 대한민국 |
---|---|
좌표 | 북위 37° 27′ 33″ 동경 126° 45′ 02″ / 북위 37.459267° 동경 126.750511° |
면적 | 2,665,000m2 |
개원 | 1996년 |
방문객 | 연간 dir 400만 명 |
![]() | |
웹사이트 | |
인천대공원 인천시설관리공단 |
전체 명칭 | 인천대공원 인조잔디구장 |
---|---|
원어 명칭 | Incheon Grand Park |
위치 | 대한민국 인천광역시 남동구 무네미로 236 (장수동 산164번지) |
좌표 | 북위 37° 27′ 24″ 동경 126° 45′ 05″ / 북위 37.456706° 동경 126.751478° |
개장 | 2009년[1][2] |
소유 | 인천광역시청[1] |
운영 | 인천시설공단[1][3] |
표면 | 인조잔디 |
규모 | 필드: 107 × 70 m |
![]() |
인천대공원(仁川大公園, Incheon Grand Park)은 대한민국 인천광역시에 있는 공원 및 스포츠 시설이다. 1992년에 조성되었으며,[4] 인천에서 가장 큰 근린공원이고 연간 400만 명이 방문한다.[5]
개요
[편집]수목원, 조각정원, 썰매장, 숲체험원, 캠핑장, 풋살장, 농구장, 축구장, 궁도장, 반려견 놀이터, 자전거광장, 목재문화체험장, 인라인스케이트장, 어린이놀이터 등의 시설이 있다.[4]
2008년에 입장료를 징수했다가 주민들의 반대로 2010년에 입장료를 폐지했다.[6]
2025년 인천대공원의 오래된 정문을 정리하고, 입구에 횡단보도 및 통행이 편리하도록 개선되었다. 기존 공원안내소/의료실은 그대로 위치하였다.
주요시설
[편집]- 동물원: 2001년 개원
- 환경미래관: 2007년에 개관, 환경 오염의 심각성과 이를 극복할 수 있는 방안 알림[7]
- 수목원: 2008년 개원[5] 나무백가지원, 침엽수원, 활엽수원, 소나무원, 목재문화체험관
- 진달래피는개울숲 : 산림치유센터
- 조각원
- 연못휴게소
- 어울큰마당
- 향토식물원
- 계류연못원
- 모란작약원
- 허브원
- 자연생태원
- 암석원
- 도시가로수원
- 론볼경기장
- 수석공원
- 시민의숲
- 소래산버섯농장
- 습지원
- 억세원
- 어린이동물원
출입구 및 주차장
[편집]- 정문 주차장 방문 시 정문 측 주차장의 경우 2곳가 존재한다. 남동구 무네미로로 들어오는 정문측 상단과 하단의 큰 주차장이 존재한다.
- 남문 및 주차 벚꽃 개화 시기에는 수인로의 양방향에 세워두거나 인천대공원역의 주차장을 이용한다. 보통은 인천대공원역을 통해서 도보로 방문한다. 늦은 오후인경우 LED조명이 남문 정문부터 켜진다.
- 후문주차장 남동구 만의골로 측면으로 입장하는 후문의 경우에도 주차장이 존재하지만 협소하여 수도권제1순환고속도로가 지나가는 아래의 공영주차장에 주차해야 한다.
도보 또는 산책 및 운동을 하기 위해 방문하는 경우 정문주차장을 선택하는 경우가 많고, 캠핑 및 텐트를 치는 방문객인 경우 후문을 택한다. 잠시 들리는 경우라면 남문 주차장을 이용하여 아이들과 함께 어린이 동물원(남문과 가까운 시설)을 방문하는 경우가 있다.
사진
[편집]-
2025년 인천대공원 주차장측(정문)
-
인천대공원 정문 정리 이후 횡단보도
-
인천대공원 중앙 조형물
-
인천대공원 주차장
-
과거 타워
-
정문(2024년까지, 2025년 철거)
-
남문 전경
-
남문 버스정류소
-
남문 벚꽃(야간)
-
남문 인천대공원역(야경)
-
어울광장
-
어울광장 콘서트장
-
캠핑장
-
어울광장 여름사진
-
어울광장 캠핑쉼터
-
어울광장 놀이터
공원 내 시설물
[편집]-
환경미래관
-
환경미래관 뒤에 있는 정원
-
인천대공원 조형물
-
인천대공원 벚꽃나무
-
인천대공원 반지 조형물
-
인천대공원 포토존
대중 문화
[편집]각주
[편집]- ↑ 가 나 다 《2023 전국 공공체육시설 현황 (2022년 12월말 기준)》. 대한민국 문화체육관광부. 2024.
- ↑ 문종권 (2022년 7월 18일). “인천대공원 축구장, 8월부터 재개방...'인조잔디 교체'”. 미디어인천신문.
- ↑ “인천대공원 주요 시설 안내”. 인천시설공단.
- ↑ 가 나 신준범 (2024년 5월 3일). “[힐링로드 인천] 인천대공원 안에 산만 3개… 넓고 깊은 ‘자연 풀코스’”. 《월간산》.
- ↑ 가 나 박숙현; 구창덕 (2018). “도시숲을 활용한 산림치유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요구 분석- 인천대공원 방문객을 대상으로 -”. 《한국산림휴양학회지》 22 (1): 13. doi:10.34272/forest.2018.22.1.002.
- ↑ “[인천/경기]“인천대공원 입장료 혼선 주민감사 청구””. 《동아일보》. 2009년 10월 7일.
- ↑ 김재현 (2014년 5월 26일). “자연과 인간을 이어주는 환경교육의 현장 ‘인천환경미래관’”. 《인천인》.
- ↑ 서지은 (2010년 4월 29일). “유세윤, UV 후속곡 '인천대공원' 코믹화보 인기”. 《데일리경제》.
참고 문헌
[편집]- 《2023 전국 공공체육시설 현황 (2022년 12월말 기준)》. 대한민국 문화체육관광부. 20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