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의 분할
경기도의 분할(京畿道의 分割)은 대한민국에서 인구가 제일 많은 광역행정구역인 경기도를 여러 도로 분할하는 것이다. 현재 경기북부와 경기남부를 각각 경기북도와 경기남도로 분할할 것이 제안되고 있다. 경기북부와 경기남부의 인구는 각각 대한민국의 어느 다른 도 보다 많으며, 경기남부의 인구는 서울특별시보다 조금 많고 경기북부의 인구가 부산광역시보다 조금 많다.
역사[편집]
조선시대에는 양평군(정확히는 양근군과 지평군)을 포함하고 오늘날의 강화군(교동군 포함)을 제외한 남부지역을 경기좌도로, 북부(강화군, 교동군 포함)를 경기우도로 나누어 관할하기도 하였다. 그러나 13도제가 시행될 때 분도가 되지 않았다.
서울 광화문 근처인 의정부 옛터(세종로 76-2[1])에 있던 경기도청이 1967년 6월 23일[2] 수원시로 옮기면서, 같은 해 7월 1일에 현재의 경기도청 북부청사의 전신인 경기도청 북부출장소가 의정부시에 설치되었다.[3][4]
2000년 2월 25일에 경기도청 북부출장소가 경기도청 제2청사로 승격하였고,[5] 2016년 3월 25일에 경기남·북부 지역의 치안 업무를 수행하는 경기도남부경찰청과 경기도북부경찰청이 분리 출범하였다.
남북 분할 주장[편집]


1991년부터 본격적으로 제기되기 시작했다.[6] 1992년 대선에서는 주요 후보였던 김영삼과 김대중이 모두 대선 공약으로 내걸었다.[7][8]
2011년에는 경기북부에 독립된 지방경찰청을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경찰청법 개정안이 2건 발의되어[9] 같은 해 12월에 국회 본회의에서 의결되었으며,[10] 2016년 3월 25일에 경기도북부지방경찰청이 신설되어, 경기도 수원시에 위치한 기존의 경기지방경찰청이 경기도남부지방경찰청으로 개칭하였다.[11][12]
2017년 5월에는 경기도를 경기남도와 경기북도로 분할하는 법률안이 국회의원 12명의 서명으로 발의되었다.[13][14]
2023년 비전 수립과 공론화 과정을 거쳐 2025년까지 특별법 제정과 보완을 완료한 후 2026년까지 출범을 준비하여 2026년 7월 1일에 출범할 계획이다.[15]
4개 도 분할 주장[편집]
1988년에는 경기도를 경기동도, 경기서도, 경기남도, 경기북도 등의 4개도로 분할할 것이 제안되기도 하였다.[16]
같이 보기[편집]
각주[편집]
- ↑ 철거 확정된 옛 경기도청 건물, "문화재로 보존하자" 높은 소리 동아일보, 1989.10.10.
- ↑ 경기도청 이전, 23일 수원으로 매일경제, 1967.6.14.
- ↑ 의정부시에 북부출장소 동아일보, 1967.6.24.
- ↑ <경인일보 창간70기획 그때> 경인일보가 기록한 시·군 변천사 Archived 2018년 9월 22일 - 웨이백 머신 2015.10.7.
- ↑ 경기도 제2청사시대 개막 경기일보, 2000.2.25.
- ↑ 경기 남-북 분도(分道) 본격 논의 동아일보, 1991.9.23.
- ↑ “大選 첫 휴일 遊說 격돌 지역개발 公約 집중제시”. 《동아일보》. 1992년 11월 22일. 1면. 2022년 8월 31일에 확인함.
- ↑ “김성원 의원, 경기북도 분도(分道) 법안 대표발의”. 《News1》. 2017년 5월 21일. 2022년 8월 31일에 확인함.
- ↑ 인구 300만명 경기북부, 지방경찰청이 없다 경향신문, 2011.1.25.
- ↑ 경찰법 일부개정법률안(대안) 국회 의안정보시스템, 2017년 6월 2일 확인.
- ↑ 경찰청과 그 소속기관 직제 (시행 2016.3.25.) 국가법령정보센터, 2017년 6월 2일 확인.
- ↑ 김포 빠진 경기북부경찰청, '안보치안' 우려 경기신문, 2016.3.9.
- ↑ 경기북도 설치 등에 관한 법률안 국회 의안정보시스템, 2017년 6월 2일 확인.
- ↑ '경기 분도론' 다시 부상…내년 지방선거 전 '빛' 볼까 연합뉴스, 2017.5.22.
- ↑ "경기북도 2026년 7월 출범"...경기도 청사진 내놨다 한국일보, 2023.3.21.
- ↑ “行改委 행정개편 토론내용”. 《동아일보》. 1988년 7월 4일. 13면. 2022년 8월 31일에 확인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