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양군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1914년 이후의 역사에 대해서는 부천군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1914년 이후의 역사에 대해서는 수원군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남양군(南陽郡)은 경기도의 옛 행정구역으로, 지금의 화성시 서부(남양읍 등)와 안산시 대부동, 인천광역시 옹진군 영흥면 일대이다. 1914년 행정구역 개편으로 수원군과 합쳐졌고, 섬 지역인 대부면과 영흥면은 부천군으로 흡수되었다.
영제(寧堤), 과포(戈浦)는 남양의 별호이다.
유래[편집]
당은군(唐恩郡), 당성군(唐城郡)으로 불렸다. 백제, 신라가 중국을 오가던 당항성(黨項城)이 이곳에 있었다. 당항성은 백제와 신라가 중국과의 교역(조공)에서 우위를 점하기 위해서 치열한 각축전을 벌이던 곳이었다. 우정읍과 장안면 일대는 삼귀(三歸) 또는 삼괴(三槐)로 불려왔고, 고려 때에는 쌍부현(雙阜縣)이라고 하였다.
역사[편집]
《대동여지도》
- 삼한시대 마한의 원양국(爰襄國), 나중의 쌍부현 지역은 상외국(桑外國)으로 추정된다.
- 삼국시대 초기 백제의 영역에 속하여 당성(唐城)으로 불리기 시작하였다.
- 장수왕 이후에 일시 고구려에 점령되었다.
- 백제 성왕 때 잠시 백제 영토로 회복되었다가, 신라의 진흥왕이 빼앗아 신라로 편입하였다. 이후 당항성으로 불렸다.
- 757년 경덕왕 16년 : 행정제도 개편으로 당은군(唐恩郡)으로 개칭된 후 거성현(車城縣)과 진위현의 2현을 영현으로 관할하였다.[1]
- 829년 흥덕왕 4년 : 당성진(唐城鎭)이 설치되었다.
- 고려시대에 쌍부현(雙阜縣)이 등장했다.
- 1018년 현종9년 : 수주(수원)에 속군(屬郡)으로 편입되었다.나중에 다시 인주(인천)에 편입되었다.
- 1172년 명종2년 : 감무가 설치되었다.
- 1271년 원종12년 : 몽골이 대부도를 침탈하자 섬 주민들이 봉기해 섬멸하였다.
- 1290년 충렬왕 16년 : 홍다구의 고향이라 하여 익주(益州)로 승격되고 지익주사(知益州事)가 파견되었다. 이후 강녕도호부(江寧都護府),ㆍ익주목(益州牧)이 설치되었다.
- 1310년 충선왕 2년 : 전국의 목이 혁파되며 다시 남양부가 되었다.
- 1413년 태종 13년 : 남양도호부로 재승격되었다.
- 1644년 인조 22년 : 현으로 강등되었다. 이후 1653년 효종 4년 도호부로 복구, 다시 1661년 현종 2년에 강상죄 사건으로 현으로 강등, 1674년 다시 도호부로 복구되는 혼란을 겪었다.
- 1895년 음력 윤5월 1일 : 23부제로 행정구역이 개편되면서 군으로 편제되어 인천부 남양군으로 재편되었다.[2]
- 1896년 8월 4일 : 경기도 남양군으로 개편되었다.[3]
- 1914년 4월 1일 : 대부면, 영흥면은 부천군에 편입되고, 나머지 지역은 수원군과 통합되었다.[4]


행정 구역[편집]
- 음덕리면(陰德里面) - 상동, 중동, 하동, 북동, 고서미동, 서미동(鼠尾洞), 서미동(瑞尾洞), 석문동, 산양동, 신양동
- 화척지면(禾尺只面) - 외동, 중동, 내동, 장전동, 산화동, 수충동, 양철리, 분지동, 서호동, 문기동, 시리동, 송림동, 원막동, 천곡동
- 둔지곶면(屯知串面) - 장곶동, 덕방동, 안의동, 거석동, 무송동, 신정동, 활초동, 온석동
- 분향리면(分鄕里面) - 상동, 신동, 하동, 안길리, 구밀동, 문언동, 석천동
- 쌍수리면(雙守里面) - 송정동, 중리동, 석교동
- 마도면(麻道面) - 송치동, 쌍봉동, 상원동, 청산동, 해문동, 백곡동, 금당동, 고모동, 슬항동
- 송산면(松山面) - 고잔동, 포막동, 중송동, 천등동, 독지동, 마산동, 화량동, 거지동
- 수산면(水山面) - 삼존동, 봉가동, 사강동, 육교동, 북일동
- 세곶면(細串面) - 대각동, 원정동, 고잔동, 우음도, 고포동, 용수동, 대정동, 복정동, 천등동, 신동
- 서여제면(西如堤面) - 칠곡동, 전곡동, 상림동, 대안리, 광평동, 장외동, 송교동
- 신리면(新里面) - 홍법동, 사곶동, 용두동, 궁평동, 백미동, 매화동, 제부동
- 어지곶면(於知串面) - 포촌동, 유지동, 대전동, 신남동, 존의동, 건로동, 백로동, 동학동, 백학동, 검다동, 일수동, 구포동, 연화동, 이화동, 도파동
- 저팔리면(楮八里面) - 자양동, 신안동, 청령동, 요곡동, 상기동, 하기동, 하저동
- 팔탄면(八灘面) - 안산동, 상사천동, 하사천동, 독곡동, 전대동, 언창동, 발안동, 가재동, 율리동, 노상동, 입암동, 노하동, 덕우리, 장지동, 진월동
- 장안면(長安面) - 일동, 이동, 삼동, 사동, 오동, 육동
- 초장면(草長面) - 일동, 이동, 개원동, 삼동, 율전동, 사동, 오동, 육동, 칠동, 진학동
- 우정면(雨井面) - 일동, 이동, 삼동, 사동, 오동, 육동, 칠동, 팔동
- 압정면(鴨汀面) - 일동, 이동, 삼동, 사동, 오동, 육동, 칠동, 팔동, 구동, 국화도
- 대부면(大阜面) - 선감동, 풍도, 영전동, 용곶동, 진현동, 상동, 하동
- 영흥면(靈興面) - 선재리, 내리, 외리, 자월리, 대이작리, 소이작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