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양종합운동장
![]() | |
전체 이름 | 안양종합운동장 주경기장 |
---|---|
원어 이름 | Anyang Stadium |
소재지 | ![]() |
좌표 | 북위 37° 24′ 19″ 동경 126° 56′ 47″ / 북위 37.405397° 동경 126.946446° |
기공 | 1983년 7월 1일[1] |
건설 기간 | 2년 11개월 |
개장 | 1986년 6월 30일[2][3][4][5][1] |
소유 | 안양시청[2] |
운영 | 안양도시공사[2][6] |
건설 비용 | 111억 5백만 원[2][1] |
표면 | 천연잔디 (필드), 우레탄 (트랙) |
규모 | 필드: 105 × 75 m 트랙: 400 m × 8레인 |
좌석 | 17,143석[2][7] |
수용 인원 | 25,000명[2][7] |
개최 대회 | K리그1 K리그2 (2013년 ~ 현재) |
홈 경기장 | 유공 코끼리 축구단 (1987년 ~ 1990년) 안양 LG 치타스 FC (1996년 ~ 2003년) FC 안양 (2013년 ~ 현재) |
![]() |
안양종합운동장(安養綜合運動場, Anyang Stadium)은 대한민국 경기도 안양시에 있는 스포츠 시설이다. 1986년 6월 30일에 개장했으며, 주경기장은 천연잔디 필드와 우레탄 트랙이 갖춰진 경기장이다. 그 외 다목적 체육관, 빙상장, 보조경기장, 테니스장, 씨름장, 수영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주경기장[편집]
관중석 17,143석(수용인원 25,000명) 규모로 다목적경기장인 주 경기장은 공인 1종 경기장이며, 평소엔 주로 축구 경기장으로 사용된다. 과거 K리그 안양 LG 치타스가 2004년 연고지를 서울로 옮기기 전까지 홈구장으로 사용하였던 곳이며, 1997년 5월 야간조명이 설치됐는데 이 과정에서 당시 안양종합운동장 주경기장을 홈구장으로 사용한 안양 LG 치타스가 같은 달 22일 울산 현대 호랑이와 처음으로[8] 홈경기를 치렀고 이 시즌부터 LG는 본격적으로 안양을 홈거지로 삼았으며[9] 전년도에는 동대문운동장에서 대부분 홈경기를 치르기도 했다. 2013년 FC 안양이 창단하면서 홈구장으로 사용하고 있다.
실내체육관[편집]
안양체육관은 KBL 안양 KGC인삼공사의 홈구장으로 사용중이다
빙상장[편집]
빙상장은 아시아리그 아이스하키 HL 안양의 홈구장으로 사용중이다.
그 외 시설[편집]
종합운동장에는 보조경기장, 테니스장, 씨름장, 수영장이 포함되어 있다. 경기장 외벽에 있는 암벽등반시설은 무료로 이용 가능하다.
주 경기장[편집]
좌석수 17,143석(수용인원 25,000명)이며, 공인 1급 경기장이다.
각주[편집]
- ↑ 가 나 다 “안양종합운동장 연혁”. 안양도시공사.
- ↑ 가 나 다 라 마 바 《2020년 전국 공공체육시설 현황 (2019년말 기준)》. 대한민국 문화체육관광부. 2021.
- ↑ 《2019년 전국 공공체육시설 현황 (2018년말 기준)》. 대한민국 문화체육관광부. 2020.
- ↑ 《전국 공공체육 시설 현황 (2017년말 기준)》. 대한민국 문화체육관광부. 2019. 10쪽.
- ↑ 〈안양종합운동장〉. 《두피디아》. 두산.
- ↑ “안양종합운동장”. 안양도시공사.
- ↑ 가 나 “안양종합운동장 일반현황”. 안양도시공사.
- ↑ “프로스펙스컵축구- LG, 올 15경기 無勝”. 연합뉴스. 1997년 5월 22일.
- ↑ “프로축구 LG 안양에 "새둥지"”. 동아일보. 1996년 4월 27일.
참고 문헌[편집]
- 〈안양종합운동장〉. 《두피디아》. 두산.
- 《전국 공공체육 시설 현황 (2017년말 기준)》. 대한민국 문화체육관광부. 2019.
- 《2019년 전국 공공체육시설 현황 (2018년말 기준)》. 대한민국 문화체육관광부. 2020.
- 《2020년 전국 공공체육시설 현황 (2019년말 기준)》. 대한민국 문화체육관광부. 20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