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L 안양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HL 안양(HL Anyang Ice Hockey Club)은 1994년에 창단한 대한민국의 프로 아이스하키팀이다. 현재 아시아 지역의 통합 프로리그, 아시아리그 아이스하키에 참가하고 있으며 안양시를 연고로 하여 안양종합운동장 빙상장을 홈구장으로 사용한다.

역사[편집]

아시아리그 아이스하키 이전 (1994~2003)[편집]

HL 안양은 1994년 12월 만도 위니아로 창단하여 초대단장은 변정수, 초대감독은 김세일로 시작하였다. 2000년 2월 제5회 한국아이스하키리그 챔피언 결정전에서 우승하였을 뿐만 아니라 같은해 9월 제20회 유한철배 전국아이스하키대회 및 10월에 열린 제55회 전국종합아이스하키선수권대회에서 우승하는 등 국내에서 상위권을 차지한 바 있다.

아시아리그 아이스하키 이후[편집]

2009년 1월 25일 하이원과의 경기에서 승리한 후 안양 한라의 단체 사진

아시아리그 출범 이후 구단은 국내선수들과 함께 핀란드체코 출신의 외국인 선수들을 영입하면서 상위도약을 꾀했으나 외국인 선수들의 부진한 플레이로 인한 내부 갈등과 오타카 베보다 감독의 불신으로 인해 플레이오프에서 번번이 시리즈에서 패하면서 시즌을 접었다. 2008년 여름 구단주 정몽원은 김세일 초대단장을 경질시켰고 세시즌 감독직을 맡았던 오타카 베보다 역시 사임했다. 구단주는 2008년 여름 심의식을 사령탑으로 임명했고 동시에 구단의 총괄 매니저 양승준 팀장은 SBS스포츠 아이스하키 해설을 맡고 있는 김형일 NHL 전문가를 영입하면서 북미 출신 외국인선수 스카우트에 주력을 두었다. 안양 한라는 2008년 여름 캐나다 선수 브락 라던스키, 수비수 브래드 패스트, 존 아를 차례로 영입하면서 동시에 대학 스타 박우상과 김기성과 각각 계약했으며 송동환이 군에서 복귀하면서 2008-09 시즌 사상 첫 정규리그 1위를 차지했다. 플레이오프에서는 닛폰제지 크레인스를 상대로 준결승 7차전까지 가는 접전끝에 시리즈 3-4로 패했다.

안양 한라는 이듬 2009-10 시즌에서 대학 졸업생 조민호, 정병천, 홍현목과 일본의 간판 수비수 오노 타카유키를 영입했다. 시즌 초반 외국인 선수들의 부상으로 더스틴 우드를 긴급히 투입했고 동시에 연세대 출신의 수비수 이돈구를 수혈했다. 그 결과 다시 한번 정규리그 1위를 차지했고 플레이오프 1라운드에서 하이원에 시리즈 3-1로 승리하면서 한국팀으로는 사상 첫 결승진출에 성공했다. 구단은 지난 2010년 3월 28일 원정에서 벌어진 닛폰제지 크레인스와의 플레이오프 결승 5차전 연장전에서 크레인스를 꺾고 한국팀으로는 아시아리그 사상 처음으로 우승하는 기염을 토했다. 안양 한라의 아시아리그 우승은 지난 1928년 국내 아이스하키 도입 이래 최다 경사로 꼽혔다.[출처 필요]

심의식 감독

2010-11 시즌 4위로 올라온 한라는 준결승전에서 1위로 올라온 오지 이글스를 시리즈 3-1로 꺾고 챔피언 결승에 올랐지만 동일본 대지진으로 결승전이 취소되면서 도호쿠 프리블레이즈와 함께 공동 우승을 따내게 됐다. 한라는 고쿠도이후 2번째로 2년 연속 챔피언을 따내는 팀으로 기록됐다.

2011-12 포스트 시즌에서 닛코 아이스벅스에 시리즈 2-3, 2012-13 포스트 시즌 오지 이글스에 시리즈 0-3 완패를 당하며 본격적으로 내리막길을 걷게 되었다.

새롭게 맞이한 2012-13 시즌에서는 4위를 기록하며 턱걸이로 플레이오프에 진출했으나 정규리그 1위팀이었던 오지 이글스에 전적 0 - 3으로 완패하며 시즌을 마쳤다. 2013-2014 시즌 구단은 마이크 테스트위드, 제프 디멘를 비롯해 대학에서 새로운 선수들을 영입하였으나 2008년부터 시작된 감독의 선수,프론트간의 장기불화가 빌미가 되며 팀 역대 최악 6위로 정규리그를 마감, 플레이오프 진출에 실패했다. 2014년 5월 12일, 구단은 심의식 감독과 배영호 코치를 전격 경질했다.

선수단[편집]

2013-14 시즌 선수 명단[편집]

(2013년 기준)

골리
번호 성명 생년월일 출생지 입단 전 소속팀
30 대한민국 손호성 1982년 11월 23일 대한민국 서울 2008 강원랜드 (아이스하키)
46 대한민국 황현호 1990년 9월 3일 대한민국 2013 연세대학교
수비수
번호 성명 생년월일 출생지 입단 전 소속팀
6 미국 제프 디멘 1986년 8월 26일 미국 콜로라도스프링스 2012 애디론댁 팬텀스
15 대한민국 조재형 1990년 10월 22일 대한민국 2013 연세대학교
22 대한민국 조형곤 1990년 6월 23일 대한민국 2012 연세대학교
28 캐나다 더스틴 우드 1981년 5월 21일 캐나다 스카버러 2009 아리스탄 테미르타우
44 대한민국 곽형기 1989년 6월 13일 대한민국 2011 연세대학교
51 대한민국 김우영 - C 1988년 6월 17일 대한민국 2011 고려대학교
65 대한민국 김범진 - A 1987년 1월 11일 대한민국 2010 하이원
79 대한민국 윤경원 1982년 1월 1일 대한민국 인천 2005 고려대학교
공격수
번호 성명 포지션 생년월일 출생지 입단 전 소속팀
1 대한민국 김상욱 C/LW 1988년 4월 21일 대한민국 2010 케스키 우시마
4 대한민국 윤지만 C/LW 1991년 1월 11일 대한민국 2012 연세대학교
7 대한민국 박상진 C 1989년 7월 31일 대한민국 2011 고려대학교
8 대한민국 미국 마이크 테스트위드 RW 1987년 2월 5일 미국 2013 애보츠포드 히트
9 대한민국 전진호 RW 1980년 10월 10일 대한민국 2005 고려대학교
13 대한민국 이영준 F 1991년 1월 3일 대한민국 2012 연세대학교
17 대한민국 이민우 F 1990년 7월 30일 대한민국 2012 고려대학교
19 대한민국 문국환 C 1988년 9월 30일 대한민국 서울 2011 한양대학교
21 대한민국 이동민 F 1989년 6월 27일 대한민국 2012 한양대학교
23 대한민국 성우제 RW 1992년 1월 31일 대한민국 2012 케스키 우시마
25 대한민국캐나다 브락 라던스키 - A C/LW 1983년 4월 5일 캐나다 키치너 2009 아우크스부르크 판터스
77 대한민국 강경훈 F 1989년 8월 21일 대한민국 2012 경희대학교
95 대한민국 박태환 D/W 1989년 6월 24일 대한민국 2011 연세대학교
코칭스태프
직위 성명 생년월일 출생지 입단 전 소속팀
감독 대한민국 심의식 1969년 12월 5일 대한민국 2008 리틑 안양 한라
코치 대한민국 배영호 1972년 11월 25일 대한민국 2007 대한민국 국가대표
코치 대한민국 김우재 1979년 11월 25일 대한민국 2013 안양 한라 플레잉

선수[편집]

영구 결번[편집]

  • 91번 심의식
  • 43번 패트릭 마르티넥

역대 외국인 선수 명단[편집]

역대 감독[편집]

성적[편집]

아시아리그[편집]

시즌 경기 연장승 GWS승 GWS패 연장패 승점 정규리그 순위 플레이오프
2003–04 16 5 1 0 0 10 45 86 17 3위 / 5팀 플레이오프 없는 시즌
2004–05 42 17 1 5 1 18 152 140 59 5위 / 8팀 플레이오프 진출실패
2005–06 38 25 0 0 3 10 164 100 78 2위 / 9팀 플레이오프 패
2006–07 34 16 0 2 1 15 146 117 51 5위 / 8팀 6강플레이오프 패
2007–08 30 13 1 2 1 13 93 92 44 5위 / 7팀 6강플레이오프 패
2008–09 36 22 1 2 2 2 7 150 105 76 1위 / 7팀 플레이오프 패
2009–10 36 23 2 1 3 1 6 180 109 79 1위 / 7팀 우승
2010–11 36 17 4 2 1 3 9 130 94 67 4위 / 7팀 공동우승
2011–12 36 20 1 3 3 1 8 154 107 72 2위 / 7팀 플레이오프 패
2012–13 42 21 0 2 3 3 13 187 141 73 4위 / 7팀 플레이오프 패
2013–14 42 17 2 2 1 4 16 152 110 64 6위 / 8팀 플레이오프 진출실패
2014-15 48 29 0 2 5 3 9 182 111 99 1위/ 9팀 결승 패
2015-16 48 33 2 4 0 3 6 206 86 114 1위/ 9팀 우승
2016-17 48 36 3 2 2 0 5 210 91 120 1위/ 9팀 우승

우승 기록[편집]

아시아리그 아이스하키[편집]

  • 우승(5회) : 2009-10, 2010-11, 2015-16, 2016-17, 2017-18
  • 베스트 하키타운(2회) : 2006년, 2010년,2016

전국종합 아이스하키 선수권대회[편집]

  • 우승(8회) : 1996, 1997, 1999, 2000, 2009, 2010, 2011, 2014

한국 아이스하키리그(KIHL)[편집]

  • 우승(5회) : 1997-98, 1999-00, 2001-02, 2002-03, 2003-04)
  • 준우승(3회) : 1995-96, 1996-97, 2000-01

같이 보기[편집]

외부 링크[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