슬로바키아


슬로바키아 공화국 | |||
---|---|---|---|
Slovenská Republika | |||
| |||
표어 | (없음) | ||
국가 | 타트라산맥 위에 번개가 쳐도 | ||
![]() | |||
수도 | 브라티슬라바 북위 48° 08′ 38″ 동경 17° 06′ 35″ / 북위 48.143889° 동경 17.109722° | ||
슬로바키아 (슬로바키아) | |||
정치 | |||
정치체제 | 공화제, 단일제, 의원내각제 | ||
대통령 총리 | 주자나 차푸토바 에두아르드 헤게르 | ||
역사 | |||
독립 | 체코슬로바키아로부터 | ||
• 독립 | 1993년 1월 1일 | ||
지리 | |||
면적 | 49,035 km2 (127 위) | ||
내수면 비율 | 0.72% | ||
시간대 | CET (UTC+1) | ||
DST | CEST (UTC+2) | ||
인문 | |||
공용어 | 슬로바키아어 | ||
인구 | |||
2020년 어림 | 5,464,060명 (119위) | ||
인구 밀도 | 111명/km2 (88위) | ||
경제 | |||
GDP(PPP) | 2020년 어림값 | ||
• 전체 | $1,900억 (70위) | ||
• 일인당 | $34,815 (41위) | ||
GDP(명목) | 2020년 어림값 | ||
HDI | 0.860 (39위, 2019년 조사) | ||
통화 | 유로 (EUR) | ||
종교 | |||
종교 | 기독교 68.8%[1] 무종교 23.8% 기타 종교 7.4% | ||
기타 | |||
ISO 3166-1 | 703, SK, SVK | ||
도메인 | .sk | ||
국제 전화 | +421 | ||
1997년까지는 체코 공화국의 42번을 사용했다. |
슬로바키아 공화국(슬로바키아어: Slovenská republika 슬로벤스카 레푸블리카), 약칭 슬로바키아(슬로바키아어: Slovensko 슬로벤스코, 문화어: 슬로벤스꼬)는 중앙유럽에 있는 공화국이다. 서쪽으로 체코, 북쪽으로 폴란드, 동쪽으로 우크라이나, 남쪽으로 헝가리, 남서쪽으로 오스트리아와 접해 있다. 수도는 브라티슬라바이며, 슬로바키아어가 공용어다. 이 나라 민족 구성은 서슬라브족에 속하는 슬로바키아인이 대부분이며, 체코인은 2번째로 주요 민족 구성을 이루고 있다. 이름이 비슷한 슬로베니아는 이 나라처럼 슬라브족에 속하지만, 이 나라는 폴란드, 체코에 가까운 민족이며, 슬로베니아는 주로 주변 남슬라브족과 연관성이 깊다.
지리[편집]
카르파티아 산계에 있어 평야부는 적다.
기후[편집]
대체로 대륙성 기후에 속해 한서 차가 심하며, 일부 고지대는 연간 130일 동안 눈이 덮여 있다.
역사[편집]
1919년에 체코슬로바키아에 합병된 상태에서 독립을 완수하기 전에는 헝가리의 지배를 받았다. 1939년부터 잠시 동안 독일의 괴뢰 정권인 슬로바키아 공화국이 있었으나, 다시 체코슬로바키아로 돌아갔다.
공산 정권이 붕괴되고 민주화된 후, 국민 투표를 통해 1993년 1월 1일 자로 체코와 평화롭게 분리되어 현재에 이르고 있다. 2004년에 유럽 연합에 가입했고, 2009년 1월 1일부터 유로를 공식 화폐로 도입했다.[2]
수도[편집]
슬로바키아 수도는 브라티슬라바(Bratislava)이다. 석유화학공업이 발달해 있으며 1968년의 체코 사태에서 ‘브라티슬라바 선언’으로 유명하다.
인구와 주민[편집]
슬로바키아는 슬로바키아인의 민족 국가로서 발족했지만, 헝가리인, 독일인, 루신인, 우크라이나인, 로마인, 러시아인, 유대인도 뒤얽혀 살고 있다. 지명에도 슬로바키아어 뿐만 아니라 헝가리어나 독일어에서 유래한 이름이 많이 있다.
1920년의 트리아농 조약에 의해, 제1차 세계 대전의 패전국으로 여겨진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이 해체되고 범슬라브주의의 영향을 받았던 슬로바키아인은 헝가리인과 독일인의 거주지를 포함한 상태로, 체코와 합병한 형태로 독립을 완수했다.
슬로바키아인은 원래 산악 민족이며, 전체인구의 10%는 헝가리인이다.
언어[편집]
슬로바키아어가 공용어이다. 일부 지역에서 헝가리어, 독일어, 폴란드어, 체코어가 사용된다. 슬로바키아는 프랑코포니의 참관국이다. 1993년, 체코와 분리된 이후 젊은 층에서는 체코어를 모르는 사람이 많다. 영어도 널리 사용한다. 슬로베니아어는 슬로바키아어처럼 슬라브어파에 속하지만 체코어처럼 많이 통하는 언어는 아니다.
종교[편집]
종교는 기독교 계열의 종파가 영향력을 지닌 국가로 가톨릭가 62%이며 동방 정교회가 13%, 개신교 9%의 신자가 있다. 그 외 유대교와 이슬람교가 있으며 무신론자가 10% 정도이다.
정치[편집]
국가 형태는 공화국이고 정부 형태는 공화제, 내각책임제이다. 직접 선거로 선출하는 5년 중임제이며 1번 중임은 가능하며 최대 임기인 10년의 대통령이 명예직이므로 국가 원수이었으나 실질적인 권력은 국가 원수인 수장인 총리에게 위임되어 있으며 행정부를 담당하는 내각과 입법기관인 의회 그리고 사법부로 국가권력이 분리·배분되어 있다. 체코슬로바키아와 분리 독립 직후 유엔에 가입했다. 1993년 2월 초대 대통령인 미하일 코바츠가 선출되었다. 현직 대통령은 최초의 여성 대통령으로 선출된 주자나 차푸토바이며, 과거 슬로바키아의 총리는 이고르 마토비치이였으며 현재 슬로바키아의 총리는 에두아르드 헤게르이다.
행정구역[편집]
슬로바키아의 행정구역은 8개의 주로 구성된다
주명 | 주도 | 인구 | 면적 (km2) | 인구밀도 |
---|---|---|---|---|
브라티슬라바 주 | 브라티슬라바 | 603,699 | 2,052.6 | 294.11 |
트르나바 주 | 트르나바 | 554,172 | 4,172.2 | 132.76 |
트렌친 주 | 트렌친 | 600,386 | 4,501.9 | 133.36 |
니트라 주 | 니트라 | 708,498 | 6,343.4 | 111.69 |
질리나 주 | 질리나 | 694,763 | 6,808.4 | 102.04 |
반스카비스트리차 주 | 반스카비스트리차 | 657,119 | 9,454.8 | 69.50 |
프레쇼우 주 | 프레쇼우 | 798,596 | 8,974.5 | 88.98 |
코시체 주 | 코시체 | 771,947 | 6,751.9 | 114.33 |
산업[편집]
농업은 작물농업과 축산업이 결합된 형태로 발달하였다. 주요 농산물은 사료용 곡물과 호프 및 주곡인 밀의 생산이 가장 많고 그 다음이 사탕무 생산이다. 축산업이 발달하여 육류·우유·양모 등은 중요 수출품이다.
광물자원으로는 구리·납·아연·철 등이 생산되며, 석탄·석유 및 천연가스도 생산되고 있다. 중화학공업과 제지업·의류 및 가죽산업도 발달하였다. 2002년의 무역은 수출이 137억 3,400달러, 수입이 153억 2,300만 달러였다.
냉전 종식으로 자유화된 후에는 자동차 공업이 발전하고 있다. 폭스바겐, 기아자동차, 랜드로버 등이 슬로바키아에 현지공장을 차렸다.
주요 관광지[편집]
풍부한 온천과 아름다운 자연 및 특이한 전통공예품이 있는 나라로써 관광업이 활기있다.
브라티슬라바 성[편집]
과거 황제의 거처였으며 나폴레옹 전쟁 때 소실되었다가 제2차 세계 대전 후에 복구되었다. 지금은 슬로바키아의회와 시립박물관의 주건물로 사용되고 있다. 이 성의 3층에서는 20세기 슬로바키아의 역사, 문화, 예술을 한눈에 볼 수 있다.
스타리 스모코벡[편집]
늘 관광객들로 붐비는 이곳은 200여년 동안 번영해온 타트리의 위성 도시이며 스키장으로 유명한 곳이다. 시내에서 특이한 모양의 케이블카가 직접 스키장으로 운행한다. 스키장 외에도 계곡, 폭포, 아름다운 산들이 많아서 등산코스로 최적인 관광지이다.
코시체[편집]
과거 동부 슬로바키아의 중심지였으며 460년이 넘은 건물을 아직도 간직하고 있는 고도(古都)이다. 구석기 시대부터 이 지역에서 인간이 살았다는 유적이 발견된 곳이다.
달걀모양으로 생긴 시가지를 지나고 나면 성 엘리자베스 성당이 나오는데 이 고딕양식의 성당은 평화와 평안의 기분을 맛볼 수 있는 곳이며 건축재료가 우크라이나산 돌로 만들어져 있어 아주 독특한 분위기를 자아낸다.
레닌거리의 북쪽에는 예술사 박물관이 있는데 로마네스크에서 현대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양식의 예술품이 전시되어 있다. 시가지 북쪽 끝의 Maratón Mieru 거리에 있는 동부 슬로바키아 박물관은 선사시대 유물과 고고학적 자료들, 그리고 희귀한 금화들을 관람하기에 좋은 곳이다.
대외 관계[편집]
같이 보기[편집]
각주[편집]
참고 문헌[편집]
- 조르주 뒤비 지음, 채인택 옮김, 《지도로 보는 세계사》, 생각의 나무 (2006)
외부 링크[편집]
위키미디어 공용에 슬로바키아 관련 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
- 슬로바키아 - 두산세계대백과사전
- 네이버 캐스트 : 여행 - 슬로바키아
슬로바키아[편집]
- (슬로바키아어/영어) 슬로바키아 정부 공식 사이트
- (슬로바키아어/영어/독일어) 슬로바키아 관광
- (슬로바키아어/영어) 슬로바키아 관광청
대한민국[편집]
해외[편집]
- (영어) 론리플래닛의 정보(슬로바키아편)
- (영어) CIA의 세계 정보(슬로바키아편) Archived 2007년 5월 9일 - 웨이백 머신
- (영어) 체코와 슬로바키아 관광
-1918년 | 1918년-1938년 | 1938년-1945년 | 1945년-1948년 | 1948년-1989년 | 1989년-1992년 | 1993년- | ||||
보헤미아 모라비아 실레시아 |
오스트리아 제국 (보헤미아 왕국) |
체코슬로바키아 제1공화국a |
주데텐란트b | 체코슬로바키아 제3공화국 |
체코슬로바키아 공화국e 1948년-1960년 |
체코슬로바키아 사회주의 공화국f 1960-1990 |
체코 슬로바키아 연방공화국 1990년-1992년 |
체코 공화국 | ||
체코슬로바키아 제2공화국c 1938년-1939년 |
보헤미아 모라바 보호령 1939년-1945년 | |||||||||
슬로바키아 | 헝가리 왕국 | 슬로바키아 공화국 1939년-1945년 |
슬로바키아 공화국 | |||||||
남슬로바키아 및 카르파티아 우크라이나d | ||||||||||
자카르파탸 | 자카르파탸 주g 1944년 / 1946년-1991년 |
자카르파탸 주h 1991년-현재 | ||||||||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 체코슬로바키아 망명 정부 | |||||||||
a 체코슬로바키아 공화국(ČSR)으로 불린다. 1920년 입헌으로 국경과 정부가 만들어졌다. |
e ČSR; 1948년 쿠데타로 5월 9일 헌법 발효, "인민민주주의" 선언(공식 국명 변경은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