효명옹주
효명옹주
孝明翁主 | |
---|---|
조선 인조의 옹주 | |
이름 | |
이칭 | 김세룡의 처 |
신상정보 | |
출생일 | 1637년 |
사망일 | 1700년 9월 |
부친 | 인조 |
모친 | 귀인 조씨 |
배우자 | 낙성위(洛城尉) 김세룡(金世龍) |
자녀 | 없음 |
효명옹주(孝明翁主, 1637년 ~ 1700년)는 조선의 왕족으로 인조의 장녀이며, 귀인 조씨 소생이다. 김자점의 손자 김세룡과 혼인하였으나 후에 작위가 삭탈되어 '김세룡의 처'로만 불렸다.
생애[편집]
인조의 유일한 딸[1]로, 인조의 총애가 컸다. 어머니는 귀인 조씨이다.
1647년 효명옹주(孝明翁主)에 봉해졌다.[2] 같은 해 인조는 옹주의 신랑감을 간택하게 했는데 귀인 조씨는 딸을 세도가인 김자점의 손자 김세룡과 혼인시키기 위해 김자점의 동의 하에 김세룡의 사주팔자를 조작했고 그 결과 김세룡은 옹주의 부마로 선발되었다.[3] 옹주의 어머니인 조씨는 인조의 총애를 받고 있었기에 혼인에 쓰인 옷과 물건이 무척 호화로웠다.[4]
부모의 사랑을 받고 자란 효명옹주는 자기중심적이고 행동이 방자했는데 궐 안에 잔치가 벌어지자 이복오라비 인평대군의 처인 복천부부인 오씨와 누가 윗자리에 앉을 것인가를 두고 다툼을 벌였다.[5] 이때 인조는 옹주의 편을 들어 딸이 윗자리에 앉도록 했는데 이 일 이후로 옹주와 인평대군 부부는 감정의 골이 깊어졌고, 옹주의 혼례 때 인평대군은 저주의 뜻이 담긴 베개를 들여보내기도 했다.[5] 또 옹주는 혼인 후에도 2년간 궁에서 살았으며 1649년에야 비로소 출궁하여 사가에서 생활했다.[3]
인조 사후 1651년 귀인 조씨가 장렬왕후와 효종을 저주한 일에 관해 여종들을 추국할 때 효명옹주가 옷소매 속에다 사람의 뼈가루를 담아서 대궐과 이복오라비인 인평대군의 집에다 뿌리고 흉한 물건을 궁궐 주변에 묻었다는 자백이 나왔다.[6] 이에 효명옹주와 남편 김세룡을 국문하라고 요청했으나 효종은 김세룡만 국문하였다.[7] 남편 김세룡, 시조부 김자점이 사형당하자 작위를 박탈당하고 김처(김세룡의 처)라 불리게 됐다. 이후 통천으로 유배되었으며[8] 이듬해인 1652년 통천의 날씨가 춥다는 이유로 이천으로 옮겨졌다.[9] 1655년에는 효종의 명으로 유배지를 교동으로 옮겨 동생들인 숭선군, 낙선군과 함께 살게 하였고[10] 마침내 1658년에 석방하였다.[11] 옹주는 평생을 감시속에 살다가 1700년(숙종 26년) 64세의 나이로 죽었다.[12]
가족 관계[편집]
왕가 전주 이씨(全州 李氏)
- 조부 : 추존 원종(元宗, 1580 ~ 1619)
- 조모 : 추존 인헌왕후 능성 구씨(仁獻王后 綾城 具氏, 1578 ~ 1626)
- 아버지 : 제16대 인조(仁祖, 1595 ~ 1649, 재위 1623 ~ 1649)
- 외조부 : 경상우도 병마절도사 조기(慶尙右道 兵馬節度使 趙琦, 1574 ~ 미상)
- 외조모 : 정부인 청주 한씨(貞夫人 淸州 韓氏)[13]
시가 (구)안동 김씨(舊 安東 金氏)
- 시조부 : 의정부 영의정 낙흥부원군 김자점(議政府 領議政 洛興府院君 金自點, 1588 ~ 1651)
- 시조모 : 미상
- 시아버지 : 곡성현감 김식(谷城縣監 金鉽, 1620[14] ~ 1651)
- 시어머니 : 미상
- 부마 : 낙성위 김세룡(洛城尉 金世龍, 미상 ~ 1651)
효명 옹주가 등장하는 작품[편집]
- 《궁중잔혹사 - 꽃들의 전쟁》 (JTBC, 2013년 배우: 이채미 → 이영은)
각주[편집]
- ↑ 1626년에 태어난 인렬왕후 소생의 공주가 있으나, 공주는 태어난 해에 죽었다. 인렬왕후 항목 참고
- ↑ 《인조실록》48권, 25년(1647년) 6월 24일 2번째 기사
- ↑ 가 나 《조선공주실록》 신명호, 역사의 아침, 2009, p.177, ISBN 9788993119091
- ↑ 《인조실록》48권, 25년(1647년) 8월 16일 4번째 기사
- ↑ 가 나 《조선공주실록》 신명호, 역사의 아침, 2009, p.180~p.181, ISBN 9788993119091
- ↑ 《효종실록》 7권, 2년(1651년) 11월 23일 2번째 기사
- ↑ 《효종실록》 7권, 2년(1651년) 12월 3일 1번째 기사
- ↑ 《효종실록》 7권, 2년(1651년) 12월 21일 3번째 기사
- ↑ 《효종실록》3년(1652년) 9월 12일 2번째 기사
- ↑ 《효종실록》15권, 6년(1655년) 10월 18일 1번째 기사
- ↑ 《효종실록》 20권, 9년(1658년) 6월 29일 2번째 기사
- ↑ 《조선공주실록》 신명호, 역사의 아침, 2009, p.187, ISBN 9788993119091
- ↑ 이름은 한옥(漢玉)이다.
- ↑ 한국역대인물 종합정보 시스템 - 한국학중앙연구원 Archived 2015년 6월 8일 - 웨이백 머신, 김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