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평 윤씨

관향 | 경상북도 구미시 해평면 |
---|---|
시조 | 윤군정 (尹君正) |
주요 인물 | 윤석, 윤지표, 윤진, 윤가관, 윤은보, 윤은필, 윤변, 윤두수, 윤근수, 윤승길, 윤승훈, 윤방, 윤흔, 윤휘, 윤훤, 윤이지, 윤신지, 윤급, 윤치희, 윤용선, 윤덕영, 윤택영, 윤홍섭, 순정효황후, 윤치호, 윤치영, 윤보선, 윤강로, 윤세영, 윤석민 (1964년), 윤승영 |
인구(2015년) | 32,091명 |
해평 윤씨(海平 尹氏)는 경상북도 구미시 해평면을 본관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다. 시조 윤군정(尹君正)은 고려 고종과 원종 때 벼슬이 금자광록대부(金紫光祿大夫) 수사공(守司公) 상서좌복야(尙書左僕射) 판공부사(判工部事)에 이르렀다.
역사[편집]
윤군정(尹君正)은 고려 고종과 원종 2대를 섬겨 벼슬이 금자광록대부(金紫光祿大夫) 수사공(守司公) 상서좌복야(尙書左僕射) 판공부사(判工部事)에 이르렀다. 1257년(고종 44) 4월 원주(原州)에서 안열(安悅) 등이 고성(古城)을 근거로 반란을 일으키자 장군으로서 낭장(郎將) 권찬(權贊)과 함께 흥원창(興元倉)에서 적을 크게 파하고 난을 진정시켰다. 그 공으로 우복야(右僕射)와 수사정(守司正)에까지 올랐으며, 충간(忠間)이라는 시호(諡號)를 받았다.
윤군정의 손자인 윤석(尹碩)은 고려 충숙왕 때 대언(代言)이 되어 원나라에 사신으로 파견되었는데, 탁월한 외교수단으로 행성(行省)의 설치를 중지시켰다. 그 공으로 충근절의동덕찬화보정공신(忠勤節義同德贊化保定功臣)에 책록되고 관직이 벽상삼중대광(壁上三重大匡) 도첨의사(都僉議司) 좌정승(左政丞) 판전리사사(判典理司事)에 올랐으며 해평부원군(海平府院君)에 봉해졌다.
분파[편집]
해평 윤씨 계파 및 분파도(전체 20개 분파 기준)[편집]
4세에서 크게 문영공파와 충간공파로 갈라지고 다시 문영공파는 8세에 이르러 4개분파로 나뉘고 충간공파는 13세에 이르러 16개 분파로 나뉜다.
단일계보 | 양대 계파 | 20개 분파(4:16) | ||||
1세 군정
┃ 2세 만비 ┃ 3세 석 |
4세 문영공(文英公) 자손 문영공파(文英公派) | 4개 분파 | ||||
5세 | 6세 | 7세~8세 | 8세 분파 최종 | |||
방안 | 사영 | 필대 | 한성윤공파(漢城尹公派) | |||
등숭 | ||||||
사수 | 처성 | 빈 | 청주공파(淸州公派) | |||
면 | 장영공파(掌令公派) 1. 서윤공 2. 군위공 3. 재용공 | |||||
처신 | 제 | 남원공파(南原公派) | ||||
정 | ||||||
4세 충간공(忠簡公) 자손 충간공파(忠簡公派) | 16개 분파 | |||||
5~6세 | 7세~11세 | 12세~13세 | 13세 분파 최종 | |||
진 | 창 | 계정(9세)-
희림(10세)- 해징공(변)(11세) |
담수 | 송만공파 | ||
춘수 | 아산공파(牙山公派) | |||||
오음공
(梧陰公派) (두수) |
방 | 치천공파(稺川公派) | ||||
흔 | 도제공파(都制公派) <-윤보선 전 대통령 | |||||
휘 | 장주공파(長洲公派) | |||||
훤 | 백사공파(白沙公派) | |||||
간 | 방어공파(防禦公派, 防禦使公派) | |||||
근수 | 월정공파(月汀公派) | |||||
말정(9세) | 울산공파(蔚山公派) | |||||
예정(9세) | 사방부사직공파(四房副司直公派) | |||||
순정(9세) | 오방부사직공파(五房副司直公派) | |||||
필정(9세) | 생원공파(生員公派) | |||||
은정(9세) | 사직공파(司直公波) | |||||
연명(8세)
혼/미/열/호(9세) |
평도공파(平悼公派) | |||||
연년(8세)
간.집(9세) |
창원공파(昌原公派) | |||||
신 | 충경(7세)
광필(8세) 형(9세) 은주/은신(10세) |
사인공파(舍人公派) |
인물[편집]
- 윤두수 - 조선 중기의 문신
- 윤근수 - 조선 중기의 문신
- 윤취동 - 조선 후기의 문신
- 윤치희 - 조선 후기의 문신
- 윤용선 - 조선 후기의 정치인
- 윤덕영 - 대한제국과 일제 강점기의 정치인
- 윤택영 - 대한제국과 일제 강점기의 정치인
- 윤영렬 - 대한제국 정치인
- 윤웅렬 - 대한제국 정치인
- 순정효황후 - 대한제국 순종황제 계비
- 윤치호 - 대한제국과 일제 강점기의 정치인
- 윤치왕 - 대한민국과 일제 강점기의 산부인과, 외과 의사, 의학자, 교육자, 군인, 군의관
- 윤치창 - 대한민국과 일제 강점기의 공무원
- 윤치오 - 대한민국과 일제 강점기의 교육인
- 윤치소 - 일제 강점기의 기업인
- 윤치성 - 일제 강점기의 군인
- 윤치병 - 일제 강점기의 군인
- 윤치명 - 일제 강점기의 교육인
- 윤홍섭 - 대한민국의 정치인, 독립운동가
- 윤기섭 - 대한민국의 정치인, 독립운동가
- 윤치영 - 대한민국의 정치인
- 윤영선 - 대한민국과 일제 강점기의 정치인
- 윤광선 - 일제 강점기의 경영인, 통역관
- 윤장선 - 대한민국의 공무원, 외교관
- 윤기선 - 대한민국과 일제 강점기의 피아니스트, 대학 교수, 음악인
- 윤정선 - 일제 강점기의 경찰
- 윤연선 - 대한민국의 공공기업인, 공무원
- 윤일선 - 대한민국과 일제 강점기의 의사, 대학 교수, 서울대학교 총장, 사회 운동가
- 윤명선 - 일제 강점기의 문인, 럭비 선수, 관료
- 윤왕선 - 대한민국과 일제 강점기의 교육인
- 윤승선 - 대한민국과 일제 강점기의 군인
- 윤시선 - 대한민국과 일제 강점기의 서양 화가
- 윤보선 - 대한민국 제4대 대통령
- 윤원선 - 대한민국의 정치인
- 윤택선 - 대한민국의 정치인
- 윤호선 - 대한민국의 언론인
- 윤주영 - 대한민국의 사진가, 전 정무직 공무원
- 윤세영 - 대한민국의 언론인, 기업인
- 윤유선 - 대한민국과 일제 강점기의 의사, 대학 교수, 연구인이다
- 윤인선 - 대한민국의 공무원, 사회기관단체인
- 윤형섭 - 대한민국의 교수, 전 장관
- 윤영구 - 대한민국의 기업인
- 윤탁구 - 대한민국의 의사
- 윤종구 - 대한민국의 의사
- 윤상구 - 대한민국의 기업인
- 윤동구 - 대한민국의 미술인
- 윤창구 - 대한민국의 화학자 겸 공학자, 교육인
- 윤인구 - 대한민국의 방송인, KBS 아나운서
조선 왕실과의 인척관계[편집]
- 정종의 후궁 숙의 윤씨
- 연산군의 후궁 숙의 윤씨
- 헌종의 후궁 정빈 윤씨
- 순종의 계비 순정효황후
- 인성군(선조의 서자)부인 군부인 해평 윤씨
- 숭선군(인조의 서자)사위 윤세정
- 덕온공주(순조의 삼녀)부마 윤의선
- 소숙옹주(태종의 서녀)부마 윤연명
- 정혜옹주(선조의 서녀)부마 윤신지
항렬자[편집]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