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 이씨
관향 | 인천광역시 |
---|---|
시조 | 이허겸 (李許謙) |
집성촌 | 충청북도 영동군, 대구광역시 달성군, 전라남도 장흥군, 경상남도 의령군·함안군 |
주요 인물 | 이자연, 이호, 이정, 인예왕후, 인경현비, 인절현비, 이석, 이자겸, 이자량, 이자의, 이자지, 이공수, 이장용, 장경궁주, 정신현비, 사숙왕후, 원신궁주, 순덕왕후, 연덕궁주, 복창원주, 이인로, 이징옥, 이경희, 이정희, 이무영, 이승우 |
인구(2015년) | 83,855명 |
비고 | 인천이씨 대종회 |
인천 이씨(仁川李氏) 또는 경원 이씨는 인천을 본관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다.
역사[편집]
허황후의 23세손인 아찬(阿飡) 허기(許奇)가 신라 경덕왕(景德王) 때 사신으로 당나라에 갔을 때 안록산의 난을 맞아 당 현종(玄宗)을 호위한 공으로 이씨(李氏) 성을 사성(賜姓) 받았다.
시조는 허기의 10세손인 이허겸(李許謙)이다. 고려 현종 때에 ‘상서좌복야 상주국 소성현 개국후(尙書左僕射 上柱國邵城縣開國侯)’를 추증하고 식읍(食邑) 1,500호(戶)를 내렸다. 이허겸에게는 2남 1녀가 있었는데 그중 한 명이 김은부와 혼인하면서 덕종·정종·문종 등 세 왕의 외증조모가 되었다.
이허겸의 손자인 이자연(李子淵)은 뛰어난 인품과 탁월한 능력으로 네왕을 섬기며 조정을 이끌었으며, 문종의 충신으로 추성좌세보사공신 문하시중 개부의 동삼사 수태사 감수국사 상주국 경원군 개국공(推誠佐世保社功臣 門下侍中 開府儀 同三司 守太師 監修國史 上柱國 慶源郡 開國公)에 올랐다. 그의 딸 셋은 문종의 비가 되었다. 특히 인예태후는 순종·선종·숙종을 낳아 인종에 이르기까지 왕들 모두가 인예태후의 혈통이었다.
인천 이씨는 고려 왕실의 외척으로서 10명의 왕비와 18명의 재상을 배출하는 전무후무한 기록을 세웠다.
본관[편집]
인천(仁川)은 경기도 중서부에 위치하는 지명으로 본래 매소홀현이었는데 경덕왕때 소성으로 개칭, 율진군(시흥군)의 영현이 되었다. 조선시대에 들어와서 1413년(태종 13)에 인천군이 되었으며 1949년 인천시로 개칭되고 1981년 7월 1일 직할시로 승격, 경기도에서 분리되었다.
분파[편집]
- 시중공파(侍中公派)
- 공도공파(恭度公派)
- 쌍명재파(雙明齋派)
- 충강공파(忠剛公派)
- 태암공파(苔巖公派)
항렬자[편집]
|
왕실과의 인척 관계[편집]
- 고려 문종 왕비 인예태후
- 고려 문종 왕비 인경현비
- 고려 문종 왕비 인절현비
- 고려 순종 왕비 장경궁주
- 고려 선종 왕비 사숙왕후
- 고려 선종 왕비 정신현비
- 고려 선종 후궁 원신궁주
- 고려 예종 왕비 문경태후
- 고려 인종 왕비 연덕궁주
- 고려 인종 왕비 복창원주
- 정성군(공양왕의 장남) 세자빈 폐세자빈 이씨
분가[편집]
각주[편집]
참고자료[편집]
- 문화재과 (2013년 12월 2일). “인천설화 - 인천 이시 종시조 이허겸”. 《인천광역시》. 2021년 9월 23일에 확인함.
- 이종구 (2016년 12월 12일). “고려조에 대 문벌로 등장한 인천 이씨”. 《용인시민신문》. 2021년 9월 23일에 확인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