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쌈 - 운명을 훔치다
![]() | |
장르 | 사극 |
---|---|
방송 국가 | ![]() |
방송 채널 | MBN |
방송 기간 | 2021년 5월 1일 ~ 2021년 7월 4일 |
방송 시간 | 매주 토요일 밤 9시 40분 ~ 10시 54분
매주 일요일 밤 9시 45분 ~ 10시 53분 |
방송 분량 | 70분 |
방송 횟수 | 20부작 |
추가 채널 | MBN 플러스, iHQ DRAMA |
기획 | MBN 박태호, 이태현 |
책임프로듀서 | 김재훈, 정욱, 김홍기 |
프로듀서 | 황혁, 황인화 |
제작사 | 제이에스픽쳐스, 이엘라이즈 |
제작자 | 이창호, 김효상 |
연출 | 권석장, 김나영 |
각본 | 김지수, 박철 |
닫는 곡 | 소정 (레이디스 코드) - 단 하루만 |
HD 방송 여부 | HD 제작 · 방송 |
《보쌈 - 운명을 훔치다》는 2021년 5월 1일부터 2021년 7월 4일까지 방송된 MBN 토일 드라마다.
기획의도[편집]
생계형 보쌈꾼이 실수로 옹주를 보쌈하며 벌어지는 파란만장 인생 역전극
제작진[편집]
제작사[편집]
- tvN 수목 드라마 《악마가 너의 이름을 부를 때》
연출[편집]
- MBC 베스트 극장 《겨울에서 봄으로》
- MBC 베스트 극장 《그와 함께 타이타닉에서 보다》
- MBC 일요 아침 드라마 《사랑을 예약하세요》
- MBC 수목 드라마 《앞집 여자》
- MBC 베스트 극장 《안녕, 클레멘타인》
- MBC 수목 드라마 《결혼하고 싶은 여자》
- MBC 주말 드라마 《깍두기》
- MBC 월화 드라마 《파스타》
- MBC 수목 드라마 《마이 프린세스》
- MBC 월화 드라마 《골든타임》
- MBC 수목 드라마 《미스코리아》
- tvN 금토 드라마 《구여친클럽》
- tvN 수목 드라마 《부암동 복수자들》
- 김나영
극본[편집]
- KBS 2TV TV소설 《그래도 푸르른 날에》(공동집필)
- MBC 주말 드라마 《아들녀석들》(1회 ~ 20회 집필)
- KBS 1TV 《산 너머 남촌에는 2》(집필)
- MBC 아침 드라마 《주홍글씨》(집필)
- MBC 아침 드라마 《이제 사랑은 끝났다》(집필)
- KBS 2TV 아침 드라마 《용서》(집필)
- KBS 2TV 아침 드라마 《동서는 좋겠네》(집필)
- MBC 수목 드라마 《나쁜 친구들》(집필)
- MBC 수목 드라마 《영웅신화》(집필)
- MBC 월화 드라마 《의가형제》(집필)
- MBC 주말 특별기획 드라마 《사랑과 결혼》(집필)
- KBS 2TV 일일 드라마 《한쪽 눈을 감아요》(집필)
- KBS 2TV 화요 드라마 《내일은 사랑》(공동집필)
- KBS 2TV 수목 드라마 《위기의 남자》(집필)
- MBC 월화 드라마 《약속》(집필)
- KBS 2TV 월화 드라마 《불의 나라》(집필)
- KBS 2TV 수목 드라마 《지워진 여자》(집필)
- KBS 2TV TV소설 《그래도 푸르른 날에》(공동집필)
등장 인물[편집]
주요 인물[편집]
- 그러나 나름의 신조는 지킨다. 과부라는 이유로 재가는 꿈도 못 꾸는 여성들 한정, 그들과 마음이 통한 낭군을 보쌈으로 이어주며 돈도 버는.... 일타이피! 나름 사랑의 전령사라는 것.
- 그저 그런 보통 사람이었으나 마누라가 한 동네 살던 친구와 눈이 맞아 핏덩이 아들을 내버리고 야반도주한 후부터 사람이 바뀌었다. 그 결과 사람을 불신 하기 시작했고 특히 여자는 절대로 믿지 않는다.
- 그러나 유년기 이후로는 사랑을 받아 본 적이 없어 표현도 잘하지 못할 뿐 아들 차돌에 대한 속정은 누구보다 깊다.
- 원래 이름은 김대석, 바우는 아명. 선조의 계비인 인목대비의 아버지 김제남의 손자다. 어린 시절 이이첨의 모략으로 역모에 휘말려 멸문지화의 위기에 처하자 혼자만 탈출에 성공, 신분을 숨긴 채 밑바닥 인생을 살아왔다.
- 궁에서 지내던 시절부터 이대엽을 좋아했으나 이이첨과 광해군의 정치적 밀약으로 그의 형과 혼약을 맺게 되고, 설상가상 신혼 첫날 밤도 못 치르고 남편이 죽자 청상 과부가 된다.
- 어려서부터 사내아이들에 결코 지는 법 없는 당찬 성격으로 궐내 어른들을 당황케 한 게 여러 번, 궐내 무시 받던 궁녀나 하위 층 여성들의 고충이 눈에 보이기만 하면 앞에서는 옹주의 위엄을 지키기 위해 조신한 척 행동하지만 뒤에서 몰래 그들을 대신해 통쾌한 복수도 서슴지 않는 대범한 성격이었다.
- 남들은 부러워할 만한 '옹주'라는 위치에 있지만 본인이 원치 않던 태생적 한계 때문에 속에서 끓어오르는 불 같은 열정을 왕실의 권위와 위엄이라는 가면 아래 숨겨두어야만 했다. 기품과 옹주의 위엄이란 가식으로 자신을 감싼 채 살아가던 중, 바우를 만나 그 거추장스러운 꺼풀을 차츰 차츰 벗겨 비로소 자신을 찾아가기 시작한다.
- 어린 시절, 같은 또래 왕자들의 벗이 되어주기 위해 궁궐 출입을 하면서 수경을 보게 되었다. 명색이 고고해야만 하는 옹주마마인데도 불의를 참는 법 없이 오라비들에게도 주눅 들지 않는 수경의 모습이 그저 신기했다. 처음에는 호기심이었으나 수경에 대한 마음은 점점 커져만 가고... 성년이 되어서도 그녀 만을 사모하지만 운명의 장난은 가혹했다. 어느 날 형의 처가 되어 나타난 수경. 삶의 의미를 잃은 만큼 절망한다. 그러나 형이 죽은 후, 혼자가 된 수경을 다시 가슴 속 깊이 품게 되고.. 결코 이루어질 수 없는 해바라기 사랑이었지만, 끝내 그 사랑을 포기하지 못하고 수경의 주변을 서성인다.
주변인물[편집]
- 대북의 수장, 선조가 영창대군을 세자로 삼으려 하자 선조를 독살 해 광해군을 왕으로 만들었고, 이후 인목대비의 아버지이자 바우의 할아버지인 김제남을 역모로 몰아 계측옥사를 일으켜 바우의 집안을 몰살 시켰다.
- 이이첨을 등에 업고 왕이 되었으나 그의 권세가 왕권을 위협하기에 이르자, 왕권을 지키기 위해 이이첨을 몰아낼 구실을 찾고 있다. 왕권을 지키기 위해서는 어떤 일도 불사한다. 그것이 비록 자식의 일이 될지라도...
- 민첩하고 피가 많아 광해군의 총애를 받았던 비선 실세, 궁녀임에도 국정에 수시로 관여하여 권신인 대북의 영수 이이첨과 쌍벽을 이룰 정도로 권력을 휘두르고, 매관매직을 일삼는 등 국정을 크게 문란 시켰다. 죽은 줄 알았던 옹주 수경을 직접 목격하지만, 자신의 권세를 위해 이를 정치적으로 이용, 수경이 스스로 도망칠 수밖에 없게 만든다.
- 명세빈 : 해인당이씨 역 - 이이첨의 여동생
- 언제나 대엽의 편이 되어주고, 비슷한 처지인 수경을 안쓰러워 한다. 오라비 이이첨이 대엽을 자식이 아니라, 권력 다툼의 이용물로 이용하려 한다는 것을 알고 있다. 그래서 아비의 사랑을 갈구하는 대엽이 안타깝고 가슴 아프다.
- 이준혁 : 춘배 역 - 바우의 동무
- 신분을 숨기고 밑바닥 인생을 살아온 바우의 곁을 친형처럼 챙겼다. 조상궁이 궁을 나와서도 평생 혼인은 할 수 없는 은퇴 상궁의 신분임을 모르고, 어떻게 든 그녀와 인연을 맺어 보려 호시탐탐 기회를 노린다.
- 신동미 : 조상궁 역 - 은퇴한 상궁
- 수경의 유모, 생명의 은인이나 다름없는 수경의 생모 소의 윤씨와의 인연 때문에 수경의 곁에 머물며 그녀를 돕게 된다.
- 죽은 줄 알았던 수경이 살아있음을 알자, 어떻게 든 수경을 살리기 위해 노력하지만 뜻대로 되지 않는다.
- 비록 몰락한 서인세력이나, 광해군의 총애를 받는 김개시에게 뇌물을 바쳐 병조좌랑에 오른다. 그러다 보니 항상 적대세력인 이이첨에게 핍박 받을 수 밖에 없었고, 복수하기 위해 이이첨의 약점을 찾던 중 수경의 일을 알아내고 바우의 뒤를 쫓는다.
- 고동하 : 차돌 (7살) - 바우의 아들
- 어려운 살림살이와 함량 미달인 아버지로 인해 빨리 철이 들어버린 애 어른, 남한텐 보쌈도 잘해주는 아버지가 왜 집에는 한명 안 업어 오는지...? 설마 엄마를 아직도 못 잊고...?
- 아버지를 세상에서 가장 좋아하면서도 동시에 만만하게 생각하지만, 가끔 씩 아버지 입에서 문자가 튀어나온다 거나 어설픈 양반 냄새(?)가 날 때면 딴 사람 같이 낯설고 무섭게 여겨져 바로 꼬리를 내리기도 한다.
그 외 인물[편집]
- 윤주만 : 태출 역 - 광해군을 왕으로 만든 뒤 무소볼위 권세를 얻어 이이첨 집안의 가병수정.
- 서범식 : 중영 역 - 내금위장.
- 박명신 : 김씨 부인 역
- 추연규 : 원엽 역
- 유순웅 : 스님 역
- 미상 : 꼭두쇠 역
- 김주영 : 김연옥 역 - 대석의 여동생
- 정경순 : 한씨 역 - 대석과 연옥의 어머니
- 윤영민 : 인목왕후 역 - 대석의 고모
- 이민재 : 능양군 역
- 미상 : 무예에 뛰어난 응시자 역
- 미상 : 대원 스님 역
- 미상 : 후금 병사들 역
- 손성윤 : 후남 역 - 차돌의 생모
- 미상 : 방물장수 역
- 후금
- 명나라
- 미상 : 모문룡 역 - 명나라 장수
특별출연[편집]
- 라미란 : 보쌈을 당하는 과부 역
시청률[편집]
- 최저 시청률과 최고 시청률은 시청률 조사회사와 지역별로 시청률에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2021년 | |||
---|---|---|---|
회차 | 방송일 | AGB 시청률[1] | |
대한민국(전국) | 서울(수도권) | ||
제1회 | 5월 1일 | 2.498% | - |
3.132% | 2.830% | ||
제2회 | 5월 2일 | 2.020% | - |
2.960% | 2.362% | ||
제3회 | 5월 8일 | 2.804% | 2.967% |
4.648% | 4.239% | ||
제4회 | 5월 9일 | 3.809% | 3.193% |
5.511% | 4.645% | ||
제5회 | 5월 15일 | 4.146% | 3.862% |
6.301% | 5.974% | ||
제6회 | 5월 16일 | 4.487% | 4.840% |
6.473% | 6.744% | ||
제7회 | 5월 22일 | 4.207% | 3.773% |
5.756% | 5.191% | ||
제8회 | 5월 23일 | 5.113% | 4.832% |
7.667% | 6.938% | ||
제9회 | 5월 29일 | 5.466% | 4.638% |
6.875% | 5.694% | ||
제10회 | 5월 30일 | 5.271% | 4.151% |
6.940% | 5.544% | ||
제11회 | 6월 5일 | 5.547% | 4.962% |
7.957% | 7.100% | ||
제12회 | 6월 6일 | 5.327% | 4.309% |
7.073% | 5.536% | ||
제13회 | 6월 12일 | 5.979% | 4.952% |
8.658% | 7.447% | ||
제14회 | 6월 13일 | 5.584% | 5.090% |
8.027% | 7.117% | ||
제15회 | 6월 19일 | 6.197% | 5.329% |
8.842% | 8.123% | ||
제16회 | 6월 20일 | 6.026% | 5.193% |
8.440% | 7.775% | ||
제17회 | 6월 26일 | 6.323% | 5.602% |
8.959% | 8.174% | ||
제18회 | 6월 27일 | 5.688% | 5.028% |
7.697% | 7.108% | ||
제19회 | 7월 3일 | 7.007% | 6.373% |
9.363% | 8.701% | ||
제20회 | 7월 4일 | 7.143% | 6.655% |
9.759% | 9.473% |
참고 사항[편집]
- 한편 이 드라마의 주연을 맡은 권유리는 본 작품을 연출한 권석장의 이전 작품인 MBC 월화 드라마 《파스타》의 OST를 작업하게 되면서 인연을 맺게 된 계기가 되었으며 34회 한국방송작가상 드라마 부문 후보에 올랐으나 '단수 집필'이란 규정[2]에 미달되어 탈락했다.
각주[편집]
- ↑ AGB 닐슨 미디어리서치 홈페이지 참조. 유료플랫폼 가입 가구 기준.
- ↑ 이희우 박정란 이금림 (2010년 1월 5일). “수상작을 내지 못한 안타까움” (PDF). 한국방송작가협회. 20면. 2022년 1월 5일에 확인함.
외부 링크[편집]
MBN 토일 드라마 | ||
---|---|---|
이전 작품 | 작품명 | 다음 작품 |
천국의 눈물
(2014년 10월 11일 ~ 2015년 1월 3일) |
보쌈 - 운명을 훔치다
(2021년 5월 1일 ~ 2021년 7월 4일) |
미정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