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민호

| ||||
![]() 롯데 자이언츠 시절 팬 사인회에서(2010년) | ||||
기본 정보 | ||||
---|---|---|---|---|
국적 | 대한민국 | |||
생년월일 | 1985년 8월 18일 | (35세)|||
출신지 | 대한민국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 |||
신장 | 185 cm | |||
체중 | 100 kg | |||
선수 정보 | ||||
투구·타석 | 우투우타 | |||
수비 위치 | 포수 | |||
프로 입단 연도 | 2004년 | |||
드래프트 순위 | 2004년 2차 3라운드(롯데 자이언츠) | |||
첫 출장 | KBO / 2004년 9월 19일 사직 대 현대전 | |||
획득 타이틀 |
| |||
계약금 | 9,000만원 | |||
연봉 | 12억 5,000만원 (2020년) | |||
경력 | ||||
대한민국 국가대표팀 | ||||
올림픽 | 2008년 베이징 | |||
WBC | 2009년, 2013년 | |||
프리미어 12 | 2015년 | |||
아시안게임 | 2006년 도하 2010년 광저우 2014년 인천 | |||
강민호(姜珉鎬, 1985년 8월 18일 ~ )는 KBO 리그 삼성 라이온즈의 포수이다.
아마추어 시절[편집]
초등학교를 제주에서 다닌 뒤 포항으로 건너와 포항에서 포항제철중학교, 포항제철공업고등학교를 졸업했으며, 포항제철공업고등학교 야구부에서 포수로 활약했다.
롯데 자이언츠 시절[편집]
2004년에 2차 3순위(전체 17순위) 지명을 받아 입단하였다. 2006년 최기문에 이어 주전 포수가 되며 포수로서 처음으로 전 경기에 선발 출전했고 그 해 아시안 게임에 출전했으나, 동메달에 그쳤다.[1]
2008년[편집]
그에게 최고의 한 해였다. 2008년 베이징 올림픽에 출전해 대한민국 야구 국가대표팀이 사상 첫 올림픽 야구 금메달 획득에 기여하고 병역도 해결했다. 시즌 122경기에 출전해 타율 19위, 홈런 공동 5위, 타점 6위를 기록해 팀이 8년 만에 포스트 시즌에 진출하는 데 크게 기여했다. 골든 글러브 시상식에서 팀 내 포수 최초로 KBO 골든글러브를 수상했다. 또한 당시 감독이었던 제리 로이스터와 마주보며 환호하는 사진으로 골든 포토상도 같이 수상했다.
2009년[편집]
연초에 열렸던 제 2회 WBC 출전 후 그는 뜻하지 않은 팔꿈치 부상으로 경기에 거의 출전하지 못했다. 시즌 후반에 잠깐 경기에 출전했으나 팔꿈치 부상이 재발했고, 팔꿈치에서 뼛조각이 발견돼 수술하며 시즌을 마감했다. 그리고 당시 백업 포수였던 장성우가 시즌 끝까지 팀의 주전 포수를 맡았다.
2010년[편집]
2008 시즌보다 더 성적을 끌어올렸다. 풀타임 출전하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데뷔 첫 3할대 타율, 23홈런을 달성하며 커리어 하이 시즌을 보냈다. 그러나 타점은 앞 타순 이대호(133점), 홍성흔(116점), 카림 가르시아(83점)에 밀려 2008 시즌에 비해 떨어졌다(72점). 그 해 아시안 게임에 다시 참가해 도하에서의 악연을 털어내며 금메달을 획득했다.
2011년[편집]
수비에서 더욱 좋아졌다는 평을 받았고 생애 두 번째 골든 글러브를 받았다.
2012년[편집]
이대호가 일본으로 떠나고, 홍성흔이 부상으로 인해 빠지자 4번 타자 자리에 공백이 생겼으나 이 자리를 잘 메꿔줬다. 생애 세 번째 골든 글러브를 받았다.
2013년[편집]
시즌 105경기에 출장해 77안타, 11홈런에 그치며 시즌 초의 기대에 부응하지 못했고, 거기에 부상까지 겹쳐 시즌 막판에는 많이 출장하지 못해 그를 대신해 김사훈과 김준태가 포수를 맡았다. 하지만 그간의 공로와 노력을 인정받아 시즌 후 FA 자격을 얻은 후 우선 협상을 마치고 잔류했다. 계약 기간은 총 4년이며 보장액은 총 75억원(계약금 35억, 연봉 10억)이었다. [2] 또한 다소 부진했던 시즌 성적에도 불구하고 생애 네 번째이자 3년 연속 골든 글러브를 수상했다.
2014년[편집]
시즌 98경기에 출장해 16홈런, 40타점, 2할 초반대 타율, 안타수도 2013년보다 못한 71안타에 그치는 최악의 부진을 겪었다.
2015년[편집]
초반부터 많은 홈런을 치며 상승세를 탔고, 올스타전 MVP에 선정됐다. 백업 포수였던 장성우가 kt 위즈로 이적해 믿을 만한 백업 포수가 사라져 누적된 출장으로 인해 시즌 중후반 조금 지친 모습을 보였으나 시즌 성적 3할대 타율, 35홈런을 기록하며 2013 ~ 2014년 시즌의 부진을 만회했다.
2016년[편집]
이 시즌에 주장이 됐고, 8월에 무릎 부상을 당해 남은 경기의 포수는 김준태와 김사훈이 맡았다. 그는 지명타자나 대타로 출전했다.
2017년[편집]
시즌 130경기에 출장해 2할대 타율, 22홈런, 68타점을 기록했다.
삼성 라이온즈 시절[편집]
2017년 시즌 후 FA 자격을 재취득해 11월 21일에 계약금 40억원, 연봉 총액 40억원 등 4년 총액 80억원의 조건으로 이적하였다.[3] 골든 글러브 시상식에서 포수 부문 골든 글러브를 수상했다.
국가대표 경력[편집]
2006년 아시안 게임[편집]
그 해 주전 포수가 됐고 국가대표팀에 처음 발탁됐으나, 동메달에 그쳤다.
2008년 하계 올림픽 야구[편집]
진갑용과 함께 대표팀 포수로 발탁됐다. 진갑용의 부상으로 4강전부터 포수로 활약했는데 경기 후반 심판의 스트라이크 판정 논란으로 이에 항의한 것 때문에 퇴장당해 진갑용으로 교체됐다.
2010년 아시안 게임[편집]
대한민국의 우승으로 금메달을 획득했다.
2014년 아시안 게임[편집]
주전 포수로 활동했으나 단 1안타도 치지 못했다. 그러나 대한민국은 금메달을 획득하며 아시안게임 야구 2연승에 성공했다.
에피소드[편집]
그러나 경기 후반 류현진이 던진 공을 심판이 볼이라 판정하자 이에 항의했다. 당시 그는 심판에게 'Low Ball?'이라고 했으나, 심판은 이를 'No Ball!' 로 인식, 퇴장 명령을 내렸다.이 때 항의 발언의 해석에 오해가 생겨 심판은 그에게 퇴장 명령을 내렸다. 중요한 시합에서 심판의 퇴장 선언이 너무 빨랐기 때문에, 현재도 한국 야구인들은 이 퇴장이 석연치 않다는 반응이다. 당시에 한국 대표팀 코칭스텝진도 이 점을 강하게 어필했으나 판정은 번복되지 않았다. 결국 이 사태 후 투수는 정대현으로, 포수는 진갑용으로 교체되며 팀의 승리를 이끌었다. 이 때 덕아웃으로 들어가던 그가 거칠게 마스크와 미트를 집어던지는 모습이 중계 카메라에 잡혔는데, 이때 날아가던 미트의 순간 속력이 비공식 기록으로 시속 99마일(약 159 km/h)이었다는 소문이 있다.[4] 또한 이 사건으로 그가 물어야 했던 벌금은 총 1,500달러(퇴장 1000, 마스크 250, 미트 250)라고 한다. 하지만 이 벌금은 KBO에서 대신 냈다.
응원가[편집]
등번호[편집]
수상[편집]
- 2007년 일구회 모범 선수상, 올스타전 우수 타자상
- 2008년 골든 글러브 포수 부문 수상 및 골든 포토상 수상
- 2011년 골든 글러브 포수 부문 수상
- 2012년 골든 글러브 포수 부문 수상
- 2013년 골든 글러브 포수 부문 수상
- 2015년 KBO 올스타전 MVP
- 2017년 골든 글러브 포수 부문 수상
배우자[편집]
- 신소연 (2015년 ~ 현재)
출신 학교[편집]
통산 기록[편집]
연도 | 팀명 | 타율 | 경기 | 타수 | 득점 | 안타 | 2루타 | 3루타 | 홈런 | 루타 | 타점 | 도루 | 도실 | 볼넷 | 사구 | 삼진 | 병살 | 실책 |
---|---|---|---|---|---|---|---|---|---|---|---|---|---|---|---|---|---|---|
2004 | 롯데 | 0.000 | 3 | 5 | 0 | 0 | 0 | 0 | 0 | 0 | 0 | 0 | 0 | 0 | 0 | 3 | 0 | 1 |
2005 | 0.243 | 104 | 214 | 20 | 52 | 11 | 2 | 2 | 73 | 18 | 1 | 4 | 5 | 2 | 56 | 7 | 9 | |
2006 | 0.251 | 126 | 410 | 40 | 103 | 20 | 0 | 9 | 150 | 53 | 4 | 1 | 23 | 11 | 78 | 5 | 12 | |
2007 | 0.271 | 125 | 413 | 48 | 112 | 20 | 0 | 14 | 174 | 68 | 1 | 4 | 37 | 4 | 88 | 10 | 11 | |
2008 | 0.292 | 122 | 435 | 51 | 127 | 25 | 1 | 19 | 211 | 82 | 2 | 4 | 49 | 7 | 77 | 13 | 6 | |
2009 | 0.260 | 83 | 262 | 36 | 68 | 13 | 0 | 9 | 108 | 30 | 0 | 0 | 33 | 3 | 44 | 9 | 6 | |
2010 | 0.305 | 117 | 410 | 66 | 125 | 19 | 1 | 23 | 215 | 72 | 2 | 7 | 42 | 8 | 65 | 16 | 11 | |
2011 | 0.289 | 124 | 450 | 63 | 130 | 25 | 2 | 19 | 216 | 66 | 4 | 6 | 47 | 8 | 81 | 18 | 15 | |
2012 | 0.273 | 119 | 400 | 41 | 109 | 21 | 0 | 19 | 187 | 66 | 0 | 1 | 44 | 8 | 97 | 9 | 3 | |
2013 | 0.235 | 105 | 327 | 48 | 77 | 13 | 0 | 11 | 123 | 57 | 4 | 1 | 60 | 11 | 87 | 5 | 8 | |
2014 | 0.229 | 98 | 310 | 37 | 71 | 14 | 2 | 16 | 137 | 40 | 1 | 2 | 33 | 13 | 92 | 6 | 3 | |
2015 | 0.311 | 123 | 380 | 63 | 118 | 18 | 1 | 35 | 243 | 86 | 0 | 0 | 60 | 14 | 112 | 14 | 8 | |
2016 | 0.323 | 116 | 381 | 65 | 123 | 26 | 0 | 20 | 209 | 72 | 4 | 0 | 66 | 10 | 91 | 7 | 4 | |
2017 | 0.285 | 130 | 456 | 62 | 130 | 22 | 1 | 22 | 220 | 68 | 0 | 2 | 41 | 15 | 104 | 15 | 11 | |
2018 | 삼성 | 0.269 | 129 | 427 | 46 | 115 | 14 | 0 | 22 | 195 | 71 | 0 | 0 | 29 | 14 | 96 | 11 | 8 |
2019 | 0.234 | 112 | 346 | 36 | 81 | 20 | 0 | 13 | 140 | 45 | 0 | 0 | 33 | 9 | 76 | 9 | 8 | |
통산 | 16시즌 | 0.274 | 1736 | 5626 | 722 | 1541 | 281 | 10 | 253 | 2601 | 894 | 23 | 32 | 602 | 137 | 1247 | 154 | 124 |
각주[편집]
- ↑ '프로 야구 사상 최연소 주전 포수',《SPORTS 2.0》, 2007년 9월 10일 최민규 기자 작성
- ↑ 75억 … 강민호, 화끈한 한 방 - 중앙일보
- ↑ 삼성, FA 포수 강민호와 4년 80억원에 계약 - YTN
- ↑ 외신 "강민호 퇴장시 던진 미트 99마일"익살 표현 《소비자가 만드는 신문》 2008년 8월 24일
외부 링크[편집]
![]() |
위키인용집에 이 문서와 관련된 문서가 있습니다. |
- 강민호 - KBO 타자별 기록
- 강민호 - 스탯티즈
- 강민호 미니홈피 - 싸이월드
- 강민호 - 트위터
- 야구, 알수록 힘들다[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스포츠 2.0》, 2007년 9월 10일
- 1985년 태어남
- 살아있는 사람
- 대한민국의 야구 선수
- 제주특별자치도 출신
- 제주시 출신
- KBO 리그 포수
- 롯데 자이언츠 선수
- 삼성 라이온즈 선수
- 대한민국 야구 국가대표팀 선수
- KBO 골든글러브 수상자
- 대한민국의 올림픽 금메달리스트
- 올림픽 야구 메달리스트
- 2008년 하계 올림픽 메달리스트
- 대한민국의 올림픽 야구 참가 선수
- 2008년 하계 올림픽 야구 참가 선수
- 2009년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 참가 선수
- 2013년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 참가 선수
- 2015년 WBSC 프리미어 12 참가 선수
- 대한민국의 아시안 게임 금메달리스트
- 대한민국의 아시안 게임 동메달리스트
- 아시안 게임 야구 메달리스트
- 2006년 아시안 게임 메달리스트
- 2010년 아시안 게임 메달리스트
- 2014년 아시안 게임 메달리스트
- 대한민국의 아시안 게임 야구 참가 선수
- 2006년 아시안 게임 야구 참가 선수
- 2010년 아시안 게임 야구 참가 선수
- 2014년 아시안 게임 야구 참가 선수
- 신광초등학교 (제주) 동문
- 포항제철중학교 동문
- 포항제철공업고등학교 동문
- 국제디지털대학교 동문
- 대한민국의 불교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