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족오락관
![]() Family Entertainment | |
장르 | 예능 |
---|---|
방송 국가 | 대한민국 |
방송 채널 | KBS 2TV → KBS 1TV |
방송 기간 | 1984년 4월 3일 ~ 2009년 4월 18일 |
방송 시간 | 역대 방송시간 참조 |
방송 횟수 | 1237부작 |
추가 채널 | KBS 스토리 |
책임프로듀서 | 박정미[1] |
제작사 | DSP 미디어[2] |
연출 | 한동규[3] |
각본 | 오경석, 박미경, 김여진, 최미림[4] |
진행자 | 역대 MC 참조 |
여는 곡 | Digital Emotion - Get Up Action, 터보 - Twist King, 오룡비무방 - 비밥바 룰라 룰라, Bellini - Samba De Janeiro, Dr. Bombay - My Sitar |
HD 방송 여부 | HD 제작 · 방송 |
후편 | 상상오락관 |
비고: |
《가족오락관》(家族娛樂館)은 1984년 4월 3일부터 2009년 4월 18일까지 방송된 예능 프로그램이다.
기획 의도[편집]
시청자들이 부담없이 웃고 즐길 수 있는 건전한 오락을 제공함으로 생활의 활력소가 되게 하는 예능 프로그램이다.
역사[편집]
1984년 4월 3일부터 2000년 10월 5일까지 KBS 2TV에서 방송되었으며, 2000년 봄 개편에 따라 일일시트콤과 2TV 일일드라마가 부활되면서[5] 2000년 5월 4일부터 매주 수요일 저녁 8시 55분에서 매주 목요일 저녁 7시로 시간대를 바꿔 방송되었으나 SBS 《순간포착 세상에 이런일이》의 시청률을 넘지 못하자 2000년 10월 14일부터 KBS 1TV로 채널을 이관해 2009년 4월 18일까지 방송되었다. 매주 일요일 저녁 5시 10분에 방송된 《동물의 왕국》이 2003년 가을 개편 때 잠시 막을 내렸다가[6] 2004년 가을 개편 때 부활,[7] 2008년 가을 개편 때는 토요일과 일요일 주 2회 방영으로 확대 편성됨에 따라 매주 토요일 저녁 7시 10분으로 바꿔 방영했다.
한때 35% 전후의 시청률을 기록하기도 했으며, 1990년대 후반에는 KBS 뉴스 9와 맞물리는 시간대에 편성되었음에도 15~17%의 시청률을 기록했다. 2000년 가을부터 매주 토요일 저녁 방송으로 바뀌었음에도 10% 이상의 시청률을 꾸준히 유지했다. 그러나 2000년대 중반부터 중장년층을 위한 프로그램으로 변모하면서 변화하는 방송 트렌드를 따라잡지 못했다는 평가를 받으며,[8] 10대와 20대 등 젊은 층의 관심을 빼앗기게 되었다. 지금까지의 가족오락관의 이름에서 알 수 있는 '가족'이 함께 모여 볼 수 있는 예능이라는 본 취지와 달리 시청 세대가 분열하게 되면서 《무한도전》과 《일요일이 좋다》 등 프로그램에 젊은 시청자 층을 내주면서 중장년층을 위한 프로그램으로 굳어지게 되었으며, 심지어 인터뷰에서까지 '중장년층을 위한 프로그램'으로 변모되어 인식되었다. 결국 시청률도 6~7%까지 떨어졌다.
그렇게 6~7%의 시청률을 유지해오던 가족오락관은 2009년 봄에 석연치 않은 일을 겪었다. 분명히 2009년 2월 28일 방송분 말미에도 "다음 주 토요일 저녁 7시 10분"이라고 자막을 내보냈으나 한 주 결방한 이후 시청자들에게 제대로 알리지도 않은 채 2009년 3월 14일부터 매주 토요일 저녁 5시 10분에 방송된 것이다. 방송 시작 시간을 가족이 볼 수 없는 시간으로 갑자기 바꾸었기 때문에 시청률도 3.6%까지 급격히 떨어졌다. 또한 폐지 2개월 전에 PD를 바꾸었던 것도 이 프로그램이 석연치 않게 폐지가 되었다는 것을 보여준다.[9]
역대 방송시간[편집]
방송 채널 | 방송 기간 | 방송 시간 |
---|---|---|
KBS 2TV | 1984년 4월 3일 ~ 1985년 2월 19일 | 매주 화요일 저녁 7:00 ~ 8:20 |
1985년 2월 26일 ~ 1985년 4월 16일 | 매주 화요일 저녁 7:20 ~ 8:40 | |
1985년 4월 23일 ~ 1985년 7월 2일 | 매주 화요일 저녁 7:20 ~ 8:30 | |
1985년 7월 9일 ~ 1985년 10월 29일 | 매주 화요일 저녁 7:10 ~ 8:30 | |
1985년 11월 5일 ~ 1986년 5월 20일 | 매주 화요일 저녁 7:35 ~ 8:25 | |
1986년 5월 27일 ~ 1987년 11월 10일 | 매주 화요일 저녁 8:00 ~ 8:50 | |
1987년 11월 17일 ~ 1990년 10월 23일 | 매주 화요일 저녁 7:05 ~ 7:55 | |
1990년 10월 30일 ~ 1991년 5월 14일 | 매주 화요일 저녁 7:10 ~ 8:00 | |
1991년 5월 21일 ~ 1992년 3월 31일 | 매주 화요일 저녁 8:05 ~ 8:55 | |
1992년 4월 12일 ~ 1992년 10월 4일 | 매주 일요일 저녁 8:55 ~ 밤 9:50 | |
1992년 10월 9일 ~ 1994년 2월 18일 | 매주 금요일 저녁 8:00 ~ 8:55 | |
1994년 2월 25일 ~ 1994년 10월 7일 | 매주 금요일 저녁 8:35 ~ 밤 9:20 | |
1994년 10월 14일 ~ 1995년 2월 17일 | 매주 금요일 저녁 8:30 ~ 밤 9:20 | |
1995년 2월 23일 ~ 1995년 8월 31일 | 매주 목요일 저녁 8:30 ~ 밤 9:20 | |
1995년 9월 6일 ~ 1996년 5월 8일 | 매주 수요일 저녁 8:30 ~ 밤 9:20 | |
1996년 5월 15일 ~ 1997년 2월 26일 | 매주 수요일 저녁 8:25 ~ 밤 9:15 | |
1997년 3월 5일 ~ 1997년 10월 15일 | 매주 수요일 저녁 8:35 ~ 밤 9:25 | |
1997년 10월 22일 ~ 1997년 11월 19일 | 매주 수요일 저녁 8:20 ~ 밤 9:15 | |
1997년 11월 26일 ~ 1998년 2월 11일 | 매주 수요일 저녁 8:50 ~ 밤 9:45 | |
1998년 2월 18일 ~ 1998년 6월 10일 | 매주 수요일 저녁 8:45 ~ 밤 9:40 | |
1998년 6월 17일 ~ 1998년 10월 7일 | 매주 수요일 저녁 8:40 ~ 밤 9:30 | |
1998년 10월 14일 ~ 1999년 4월 28일 | 매주 수요일 저녁 8:50 ~ 밤 9:45 | |
1999년 5월 5일 ~ 1999년 10월 13일 | 매주 수요일 저녁 8:50 ~ 밤 9:50 | |
1999년 10월 20일 ~ 2000년 4월 26일 | 매주 수요일 저녁 8:55 ~ 밤 9:55 | |
2000년 5월 4일 ~ 2000년 10월 5일 | 매주 목요일 저녁 7:00 ~ 8:00 | |
KBS 1TV | 2000년 10월 14일 ~ 2008년 11월 15일 | 매주 토요일 저녁 6:00 ~ 7:00 |
2008년 11월 22일 ~ 2009년 2월 28일 | 매주 토요일 저녁 7:10 ~ 8:10 | |
2009년 3월 14일 ~ 2009년 4월 18일 | 매주 토요일 저녁 5:10 ~ 6:10 |
역대 MC[편집]
※ 《가족오락관》은 남여 MC 각각 1명씩으로 2명이 진행했다. 남성 MC는 생전 (故)허참 방송인이 첫회부터 최종회까지 고정으로 맡았다. (故)허참과 함께 호흡을 맞춰 진행한 역대 여성 MC는 21명이며, 이 중에서 KBS의 여자 아나운서는 총 11명으로 전직 5명, 현직 6명이 재직중이다.
1대 | 오유경 배우 | 1984년 4월 3일 ~ 1985년 1월 22일[10] |
---|---|---|
2대 | 정소녀 방송인 | 1985년 1월 29일 ~ 1987년 9월 29일[11] |
3대 | 장혜영 배우 | 1987년 10월 6일 ~ 1988년 10월 25일 |
4대 | 최영미 前 아나운서 | 1988년 11월 1일 ~ 1989년 5월 30일 |
5대 | 김경희 前 아나운서 | 1989년 6월 6일 ~ 1989년 10월 24일 |
6대 | 김자영 방송인 | 1989년 10월 31일 ~ 1991년 10월 1일[12] |
7대 | 김혜영 방송인 | 1991년 10월 8일 ~ 1992년 10월 4일 |
8대 | 전혜진 배우 | 1992년 10월 9일 ~ 1994년 10월 7일 |
9대 | 이유리 미스코리아 | 1994년 10월 14일 ~ 1995년 5월 4일[13] |
10대 | 장서희 배우 | 1995년 5월 18일 ~ 1995년 9월 6일[14] |
11대 | 오현정 배우 | 1995년 9월 13일 ~ 1996년 2월 28일 |
12대 | 오영실 前 아나운서 | 1996년 3월 6일 ~ 1997년 2월 26일[15] |
13대 | 손미나(24기) 前 아나운서 | 1997년 5월 21일 ~ 2001년 11월 3일[16] |
14대 | 변우영 아나운서 | 2001년 11월 17일 ~ 2002년 3월 30일[17] |
15대 | 윤지영(24기) 아나운서 | 2002년 4월 6일 ~ 2003년 6월 21일[18] |
16대 | 박주아 아나운서 | 2003년 6월 28일 ~ 2005년 10월 22일 |
17대 | 박사임(29기) 아나운서 | 2005년 11월 5일 ~ 2006년 3월 11일 |
18대 | 이정민(31기) 前 아나운서 | 2006년 3월 18일 ~ 2006년 11월 18일 |
19대 | 김새롬 방송인 | 2006년 11월 25일 ~ 2007년 11월 3일 |
20대 | 김보민 아나운서 | 2007년 11월 10일 ~ 2008년 3월 29일 |
21대 | 이선영(31기) 아나운서 | 2008년 4월 5일 ~ 2009년 4월 18일 |
역대 게스트[편집]
역대 여는 곡[편집]
- 1984년 ~ 1988년: Zambesi - The Shadows
- 1988년 ~ 1995년: Digital Emotion - Get Up, Action
- 1995년 ~ 1996년 8월 21일: 가족오락관 자체 BGM/클론 쿵따리 샤바라
- 1996년 8월 28일 ~ 1998년 2월 11일: 터보 - Twist King
- 1998년 4월 22일 ~ 1998년 6월 10일: 오룡비무방 - 비밥바 룰라 룰라
- 1998년 6월 17일 ~ 1998년 12월 9일: Bellini - Samba De Janeiro
- 1998년 12월 23일 ~ 1999년 6월 16일: Orchestral Manoeuvres In The Dark - Pandora's Box
- 1999년 6월 23일 ~ 2009년 4월 18일: Dr. Bombay - My Sitar
결방 안내[편집]
- 1984년
- 5월 1일 : 프로야구 OB 베어스 vs 삼성 라이온즈 전 중계방송.
- 1985년
- 8월 20일 : 다큐 '병사는 이렇게 만들어진다' 편성.
- 12월 31일 : 1985 팝의 세계 방송.
- 1988년
- 9월 27일 : 1988년 서울 하계 올림픽 여자 핸드볼 대한민국 대 노르웨이 전 중계방송
- 1991년
- 1월 1일 : 신년특집 '스타 총출동' 편성.
- 1994년
- 12월 30일 : 1994 KBS 가요대상 중계방송.
- 1995년
- 6월 29일 : 삼풍백화점 붕괴 사고 특보.
- 1998년
- 12월 16일 : 1998년 방콕 아시안 게임 야구 결승전 중계방송.
- 1999년
- 12월 29일 : 1999 KBS 코미디 대축제 중계방송.
- 2001년
- 6월 9일 : 2001년 FIFA 컨페더레이션스컵 중계 방송.
- 11월 10일 : 축구 친선경기 대한민국 vs 크로아티아 중계 방송.
- 12월 1일 : 2002년 FIFA 월드컵 조 추첨 중계 방송.
- 2002년
- 2월 9일 : 퀴즈 탐험 신비의 세계 800회 특집.
- 6월 1일, 8일, 22일, 29일 : 2002년 FIFA 월드컵 중계방송.
- 10월 5일, 12일 : 2002년 부산 아시안 게임 중계방송.
- 2003년
- 2월 22일 : 대구 지하철 화재 참사 추모 방송.
- 9월 13일 : 태풍 피해 특보.
- 2004년
- 3월 13일 : 노무현 대통령 탄핵 소추.
- 7월 17일 : 2004년 한국프로야구 올스타전 중계방송.
- 2005년
- 10월 29일 : 특집방송 '가치 대발견 보물 찾기' 편성.
- 2008년
- 8월 9일 : 2008년 베이징 하계 올림픽 중계방송.
편성 변경 안내[편집]
- 2004년
- 6월 19일 : 1000회 특집에 따라 저녁 5시 30분부터 저녁 7시까지 방송.
- 2005년
- 9월 17일 : 추석 특집에 따라 저녁 5시 50분에 조기 방송.
같이 보기[편집]
- 관련 항목
- 오락
- 방송 프로그램
- 우리말 겨루기 (KBS 교양운영팀 제작)
- 상상오락관, 옥탑방의 문제아들 (KBS 예능운영팀 제작)
- 동물의 왕국, 동물의 세계, 동물극장 단짝, 펫 비타민2 (KBS 1TV)
- 주주클럽, 슈퍼독, 단짝, 은밀하고 위대한 동물의 사생활, 개는 훌륭하다, 나는 아픈 개와 산다, 펫 비타민 (KBS 2TV)
- 동물일기, 야옹멍멍 귀여워, 세상에 나쁜 개는 없다, 고양이를 부탁해, 아기 동물 귀여워, 펫하트 (EBS 1TV)
- 세계의 비밀 수호대 번개맨 (EBS 2TV)
- 와우! 동물천하, 애니멀즈, 하하랜드, 오래봐도 예쁘다, 2020 추석특집 아이돌 멍멍 선수권대회, 심장이 뛴다 38.5 (MBC TV)
- TV 동물농장, 어쩌다 마주친 그 개, 생활의 달인, 더솔져스, 검은 양 게임 (SBS TV)
- 마리와 나, 그랜드 부다개스트, 우리집 막내극장 (JTBC)
- 기막힌 동물원, 우리집에 해피가 왔다 (MBN)
- 동고동락, 개먼드라마 파트라슈 (TV조선)
- 대화가 필요한 개냥, 냐옹은 페이크다, 캣츠 앤 독스, 슬기로운 의사생활, 슬기로운 의사생활 시즌2, 해치지 않아, 해치지 않아 X 스우파 (tvN)
- 펫토리얼리스트 (온스타일)
- 주현미의 러브레터, 김혜영과 함께, 이각경의 해피타임 4시 (KBS 2라디오)
- 오늘아침 정지영입니다, 이석훈의 브런치카페, 두시의 데이트, 4시엔 윤도현입니다 (MBC FM4U)
- 장일범의 유쾌한 클래식 (월~토요일), 이준형의 비욘드 클래식 (일요일) (cpbc FM)
- 개별방송, 식빵 굽는 고양이, 잘살아보시개, 오 마이 펫, 여자친구! 강아지를 부탁해, 펫 닥터스 (skyPetpark)
- 상상고양이 (MBC 에브리원)
- 달려라 댕댕이 (MBC 에브리원, MBC 스포츠플러스 공동 제작)
- 똥강아지들, 펫츠고! 댕댕트립 (SBS 플러스)
- 소나무의 펫하우스 (SBS MTV)
- 라디오 북클럽, 주말하이킥 이윤석입니다 (MBC 표준FM)
- 개밥 주는 남자, 너는 내 운명 (채널A)
- 천재! 시무라 동물원 (日 NTV)
- 도그 위스퍼러 (美 NGC채널)
- 지옥에서 온 고양이 (美 애니멀 플래닛)
- 개과천선 아메리카 (영국 채널 4, Sky One)
각주[편집]
- ↑ 최종 책임프로듀서으며, 역대 프로듀서는 어떻게 구성되었는지 확실하게 확인할 수 없다.
- ↑ 최종 제작사이며, 역대 제작사는 어떻게 구성되었는지 확실하게 확인할 수 없다.
- ↑ 최종 연출자이며, 역대 연출진은 어떻게 구성되었는지 확실하게 확인할 수 없다.
- ↑ 최종 작가진이며, 역대 작가진은 어떻게 구성되었는지 확실하게 확인할 수 없다.
- ↑ 정희정 (2000년 4월 26일). “KBS봄철개편-일일시트콤·사극 전면대치”. 문화일보. 2019년 3월 21일에 확인함.
- ↑ 홍제성 (2003년 10월 20일). “KBS, 11월 3일 가을 개편 실시”. 연합뉴스. 2020년 12월 21일에 확인함.
- ↑ 홍성록 (2004년 10월 22일). “KBS TV, 프로그램 가을 개편 단행(종합)”. 연합뉴스. 2020년 12월 21일에 확인함.
- ↑ 우리 그냥 사랑하게 해주세요[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 ↑ 공종식 (2010년 3월 15일). “[Interview] ‘가족오락관’ 26년 MC ‘대한민국 오락부장’ 허참”. 신동아.
- ↑ KBS 아나운서 오유경과는 동명이인이다.
- ↑ 동양방송 쇼쇼쇼 진행 방송분까지 포함하면 허참과 6년 간 같이 호흡을 맞추었다.
- ↑ 1990년 10월 2일 추석특집 방송분은 2대 진행자였던 정소녀가 임시로 진행을 맡았다.
- ↑ 미스코리아 이유리가 갑자기 진행을 그만두면서 1995년 5월 11일 방송분은 7대 진행자였던 김혜영이 임시로 진행을 맡았다.
- ↑ 여자 진행자 중 최단기간 진행 마지막 진행 당시 개편으로 인하여 대하드라마 촬영과 가족오락관 녹화날이 겹쳐서 그만두게 되었다고 한다.
- ↑ 1996년 10월 9일 방송분은 방송 교육(해외 연수) 참여로 인해 진양혜 前 아나운서가 임시로 진행을 맡았으며, 1997년 1월 8일 방송분은 KBS 파업으로 인해 허참 단독 MC 체제로 진행되었다. 그 이후 1997년 3월 5일부터 5월 14일까지 방송분은 11대 진행자였던 오현정이 임시로 진행을 맡았다. 다만 진양혜는 1회분만 임시로 진행을 맡았고, 공식적으로 가족오락관 진행자로 선정된 적이 없기 때문에 역대 진행자에는 등록되지 않는다.
- ↑ KBS 아나운서 입사 시절부터 진행했으며, 가족오락관 최장기간 여성 진행자 타이틀을 차지했다.(4년 5개월간 진행) 1999년 7월 21일과 7월 28일 방송분은 KBS 파업으로 인해 12대 진행자였던 오영실 前 아나운서가 임시로 진행을 맡았다.
- ↑ 언론인 부부로 교수 왕상한 씨와 결혼하였다.
- ↑ 개인 사정으로 2003년 4월 26일 방송분은 14대 진행자였던 변우영이 임시로 진행을 맡았다.
외부 링크[편집]
- KBS아카이브 옛날티비 - 유튜브
- KBS 같이 삽시다 - 유튜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