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성한
![]() | |
---|---|
작가 정보
| |
본명 | 임영란 |
출생 | 1960년 10월 14일 | (62세)
국적 | 대한민국 |
직업 | 작가, 각본가 |
필명 | 임향란, 임성한, 피비 (Phoebe) |
활동기간 | 1997-2015, 2021- |
장르 | 텔레비전 드라마 |
배우자 | 손문권 (프로듀서, 2012년 사망) |
친지 | 조카 백옥담 |
임성한(林成漢, 본명: 임영란, 1960년 10월 14일 ~ )은 대한민국의 텔레비전 드라마 작가이다.
생애[편집]
충주대학교 전자계산학과를 졸업했다. 1990년 《KBS 드라마게임 - 미로에 서서》로 드라마 작가로 데뷔했다. 1997년 MBC 베스트극장 극본 공모에서 〈두 여인〉이 우수작으로 당선되었고,[1] 이후 MBC 베스트극장에서 두 달이라는 짧은 기간 동안 《솔로몬 도둑》, 《웬수》, 《섹스, 거짓말 그리고 성격차》 등을 연달아 써서 그런지 《섹스, 거짓말 그리고 성격차》에서는 임향란이란 또 다른 필명을 사용했다. 또한 높은 시청률을 기록한 덕분에 실력을 인정받아서 1998년에는 일일드라마 《보고 또 보고》를 쓰게 되었다.
작품에 있어서 높은 시청률로 큰 인기를 모은 작가 중 한명인 반면, 많은 작품에서 논란이 끊이길 않았다. 자세한 사항은 아래 서술하였다.
시청률을 보자면, 첫 장편극인 《보고 또 보고》에서는 첫 방송 시청률이 15.7%로 저조하였으나 최고 시청률 57.3%을 기록하며 큰 성공을 거두었고, 이는 현재까지 역대 일일 연속극 시청률상 최고 수치를 기록했다. 또한 MBC 일일연속극이 KBS 일일연속극을 5년 만에 앞선 일이었으며, 이 드라마 영향으로 MBC 뉴스데스크의 시청률이 KBS 뉴스 9를 앞섰다. 다음 극본인 《온달 왕자들》 역시 첫방송 시청률이 13.4%로 당시 경쟁작 KBS 《좋은걸 어떡해》의 시청률 37.5%에는 훨씬 못 미쳤으나 뒤로 갈수록 역전하고, 후속작과의 경쟁에서도 압도적인 승리를 거두게 된다. 그 밖에 《인어 아가씨》, 《왕꽃 선녀님》, 《하늘이시여》 등도 초반에 저조했던 시청률을 조금씩 올려 30% 이상의 시청률을 기록하였다. 《보고 또 보고》와 《인어아가씨》의 흥행으로 인기 작가 반열에 올랐고, 특별한 시놉시스 없이 방송사에서 편성을 내주게 되었다. 방송 직후 분당 시청률표를 분석하여 어느 부분에서 시청률이 높았는지 확인하고 다음 에피소드에 반영한다고 한다.
논란에 있어서, 소재와 내용 전개에서 논란을 일으켰다. 극본 대부분이 높은 시청률로 인기를 모았으나 자극성 소재와 여러 사건으로 논란을 일으키기도 했다. 초창기에는 논란이 있었지만, 독특한 설정과 복선과 흥미진진한 스토리로 말미암아 장점이 많은 작가로 칭송받기도 했으나 인기 있는 작가로 발돋움한 후로는 감각만 자극하는 설정과 대사로만 승부하는 경향이 짙어졌다. 특히 《아현동 마님》을 포함해 이후 극본은 스토리 라인이 많이 빈약해졌다.[2][3]
2015년 《압구정 백야》를 끝으로 은퇴를 선언하였으나 2021년 피비(Phoebe)라는 필명으로《결혼작사 이혼작곡》시리즈의 극본을 맡아 화려하게 재기에 성공하였다.
드라마[편집]
- 1990년 KBS2 드라마게임 《미로에 서서》 ... 집필
- 1994년 KBS2 드라마게임 《이브의 반란》 ... 집필
- 1997년 MBC 베스트극장 《솔로몬 도둑》 ... 집필
- 1997년 MBC 베스트극장 《웬수》 ... 집필
- 1997년 MBC 베스트극장 《섹스, 거짓말 그리고 성격차》 ... 집필
- 1997년 MBC 베스트극장 《가시버시》 ... 집필
- 1998년 ~ 1999년 MBC 저녁 일일연속극 《보고 또 보고》 ... 집필
- 1999년 MBC 베스트극장 《남몰래 흐르는 눈물》 ... 집필
- 2000년 ~ 2001년 MBC 저녁 일일연속극 《온달 왕자들》 ... 집필
- 2002년 ~ 2003년 MBC 저녁 일일연속극 《인어 아가씨》 ... 집필
- 2004년 ~ 2005년 MBC 저녁 일일연속극 《왕꽃 선녀님》 ... 집필
- 2005년 ~ 2006년 SBS 주말극장 《하늘이시여》 ... 집필
- 2007년 ~ 2008년 MBC 저녁 일일연속극 《아현동 마님》 ... 집필
- 2009년 ~ 2010년 MBC 주말 특별기획 드라마 《보석비빔밥》 ... 집필
- 2011년 SBS 주말 특별기획 드라마 《신기생뎐》 ... 집필
- 2013년 MBC 저녁 일일연속극 《오로라 공주》 ... 집필
- 2014년 ~ 2015년 MBC 저녁 일일 특별기획 드라마 《압구정 백야》 ... 집필
- 2021년 TV조선 주말 미니시리즈 《결혼작사 이혼작곡》 ... 집필
- 2021년 TV조선 주말 미니시리즈 《결혼작사 이혼작곡 2》 ... 집필
- 2022년 TV조선 주말 미니시리즈 《결혼작사 이혼작곡 3》 ... 집필
- 2023년 TV조선 주말 미니시리즈 《아씨 두리안》 ... 집필
도서[편집]
- 《암세포도 생명 임성한의 건강 365일》 (북수풀림, 2018.11.12)
임성한 사단[편집]
5번 출연한 배우들[편집]
4번 출연한 배우들[편집]
- 김보연(아현동 마님, 신기생뎐, 오로라 공주, 결혼작사 이혼작곡 시리즈)
- 백옥담(아현동 마님, 신기생뎐, 오로라 공주, 압구정 백야)
- 한혜숙(인어 아가씨, 하늘이시여, 보석비빔밥, 왕꽃 선녀님)
- 정혜선(하늘이시여, 보석비빔밥, 압구정 백야, 왕꽃 선녀님)
3번 출연한 배우들[편집]
- 윤해영(보고 또 보고, 결혼작사 이혼작곡 시리즈, 아씨 두리안)
- 원종례(보석비빔밥, 오로라 공주, 압구정 백야)
- 김혜선(온달 왕자들, 신기생뎐, 왕꽃 선녀님)
- 이태곤(하늘이시여, 보석비빔밥, 결혼작사 이혼작곡 시리즈)
- 이가령(오로라 공주, 압구정 백야, 결혼작사 이혼작곡 시리즈)
- 이보희(하늘이시여, 아현동 마님, 압구정 백야)
- 금단비(하늘이시여, 아현동 마님, 압구정 백야)
- 박준면(아현동 마님, 신기생뎐, 결혼작사 이혼작곡 시리즈)
- 김병기(인어 아가씨, 왕꽃 선녀님, 아현동 마님)
- 사미자(보고 또 보고, 인어 아가씨, 왕꽃 선녀님)
2번 출연한 배우들[편집]
- 박주미(결혼작사 이혼작곡 시리즈, 아씨 두리안)
- 전노민(결혼작사 이혼작곡 시리즈, 아씨 두리안)
- 지영산(결혼작사 이혼작곡 시리즈, 아씨 두리안)
- 최명길(온달왕자들, 아씨 두리안)
- 성훈(신기생뎐, 결혼작사 이혼작곡 시리즈)
- 이종남(신기생뎐, 결혼작사 이혼작곡 시리즈)
- 신주아(오로라 공주, 결혼작사 이혼작곡)
- 서우림(보석비빔밥, 오로라 공주)
- 임예진(보고 또 보고, 오로라 공주)
- 김영란(하늘이시여, 압구정 백야)
- 김주영(하늘이시여, 신기생뎐)
- 김지수(보고 또 보고, 온달왕자들)
- 허준호(보고 또 보고, 온달왕자들)
- 강세정(아현동 마님, 보석비빔밥)
- 최재호(인어아가씨, 아현동 마님)
- 장서희(온달왕자들, 인어아가씨)
- 이대로(하늘이시여, 신기생뎐)
- 최선자(인어 아가씨, 아현동 마님)
- 박해미(하늘이시여, 오로라 공주)
- 김혜은(아현동 마님, 오로라 공주)
- 이주현(온달왕자들, 압구정 백야)
- 송원근(오로라 공주, 압구정 백야)
- 임혁(신기생뎐, 오로라 공주)
- 정보석(보고 또 보고, 인어 아가씨)
- 김용림(인어 아가씨, 왕꽃 선녀님)
- 박탐희(인어 아가씨, 왕꽃 선녀님)
- 임채무(하늘이시여, 압구정 백야)
- 설운도(보석비빔밥, 오로라공주)
- 오기찬(신기생뎐, 압구정 백야)
- 정유미(보석비빔밥, 왕꽃선녀님)
특징[편집]
자주 등장하는 성씨[편집]
- 백: 백도이(아씨 두리안), 백야(압구정 백야), 백조(보석비빔밥), 백시향(아현동 마님)
- 사: 사피영(결혼작사 이혼작곡), 사임당(오로라공주), 사비나(아현동 마님), 사비나(온달왕자들)
- 단: 단치감(아씨 두리안), 단사란(신기생뎐)
- 부: 부혜령(결혼작사 이혼작곡), 부길라(아현동 마님)
- 판: 판사현(결혼작사 이혼작곡), 판정수(왕꽃선녀님)
- 아: 아다모(신기생뎐), 아일라(아씨 두리안)
- 금: 금라라(신기생뎐), 금실라(인어아가씨)
- 은: 은아리영(인어아가씨), 은단표(오로라공주)
- 주: 주장미(온달왕자들), 주행자(왕꽃선녀님)
- 설: 설설희(오로라공주), 설황도(보석비빔밥)
자주 등장하는 직업[편집]
방송계열[편집]
- 작가: 정금주(보고 또 보고), 은아리영(인어아가씨), 궁비취(보석비빔밥), 황마마(오로라공주), 정삼희(압구정 백야), 이시은(결혼작사 이혼작곡)
- PD: 사피영(결혼작사 이혼작곡) 장화엄(압구정 백야), 윤해기(오로라공주), 안형선(인어아가씨)
- 배우: 단등명(아씨 두리안), 남가빈(결혼작사 이혼작곡), 조지아(압구정 백야), 이연지(아현동 마님), 김청하(하늘이시여), 오로라(오로라공주), 심수정(인어아가씨)
- 기자: 구왕모(하늘이시여), 이주왕(인어아가씨)
- 아나운서: 아일라(아씨 두리안), 부혜령(결혼작사 이혼작곡), 강예리(하늘이시여)
전문직[편집]
- 법조인: 판사현(결혼작사 이혼작곡), 백시향(아현동마님), 박기정(보고 또 보고)
- 의사: 단치강(아씨 두리안), 신유신(결혼작사 이혼작곡), 박사공(오로라공주), 오진암(신기생뎐), 유병훈(보석비빔밥), 부희라(아현동 마님), 강동춘(하늘이시여), 주창균(온달왕자들), 이승미(보고 또 보고)
- 간호사: 궁루비(보석비빔밥), 정은주(보고 또 보고)
예술계열[편집]
- 무용수: 단사란(신기생뎐), 박기풍(보고 또 보고)
- 메이크업 아티스트: 이자경(하늘이시여), 장푸르메(오로라공주)
- 디자이너: 박주리(오로라공주), 단공주(신기생뎐), 조수아(인어아가씨)
기업인[편집]
- 재벌: 단치감(아씨 두리안), 아다모(신기생뎐)
교육계열[편집]
- 교수: 박해륜(결혼작사 이혼작곡), 판정수(왕꽃선녀님)
자주 등장하는 이름[편집]
- 비나: 사비나(결혼작사 이혼작곡), 사비나(아현동 마님), 사비나(온달왕자들)
- 사현: 판사현(결혼작사 이혼작곡), 구사현(하늘이시여), 홍사현(보석비빔밥)
- 지아: 신지아(결혼작사 이혼작곡), 조지아(압구정 백야)
- 무빈: 설무빈(오로라공주), 김무빈(왕꽃선녀님)
- 시몽: 황시몽(오로라공주), 장시몽(왕꽃선녀님)
- 영상: 부영상(아현동 마님), 판영상(왕꽃선녀님)
- 미녀: 백미녀(아현동 마님), 한미녀(왕꽃선녀님)
- 은성: 이은성(아씨 두리안), 은성그룹(신기생뎐)
- 은아: 은아(인어아가씨), 은아(오로라공주)
수상[편집]
같이 보기[편집]
각주[편집]
- ↑ 오광수 (1997년 6월 18일). “베스트극장 극본공모 최우수작에 이한호씨'전등사'”. 경향신문.
- ↑ “2003년 최악의 프로그램 MBC ‘인어 아가씨’”. 경향신문. 2003년 12월 18일.
- ↑ 배국남 (2008년 2월 8일). “임성한 특기, 논란 만들기의 문제는?…끝없는 논란들의 문제”. 마이데일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