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BS 연기대상
SBS 연기대상 | |
---|---|
주최 | SBS |
장소 | 서울 상암동 SBS 프리즘 타워 |
나라 |
![]() |
첫 시상 | 1992년 |
텔레비전 방영 | |
방송사 | SBS TV |
SBS 연기대상(영어: SBS Drama Awards)은 12월 31일에 열리는 한 해 동안 SBS 드라마에서 연기를 보여 준 연기자들의 공로를 치하하는 시상식으로, 최고상은 ‘대상’이며 분야별로 여러 가지 상이 수여된다. 1992년 12월 31일에 송년 특집으로 열린 SBS 올해의 스타상에서 가수, 개그맨, 탤런트 부문으로 한정하여 시상하였다. 이를 토대로 1993년부터는 SBS 스타상이라는 명칭으로 부문별로 시상했는데, 1996년부터는 SBS 연기대상으로 명칭을 변경하였다. 그리고 2014년부터 2016년까지는 SAF 연기대상으로 변경하였으며, SAF는 “SBS 어워즈 페스티벌”(SBS AWARDS FESTIVAL)이다. 2017년부터 프로그램명을 다시 SBS 연기대상으로 환원하여 진행한다.
타이틀 변천사[편집]
- 1대 : SBS 스타상 (1992년 ~ 1995년) / 1992년에는 '올해의 스타상'이 명칭.
- 2대 : SBS 연기대상 (1996년 ~ 2013년)
- 3대 : SAF 연기대상 (2014년 ~ 2016년)
- 4대 : SBS 연기대상 (2017년 ~ 현재)
역대 대상 수상자[편집]
연도 | 수상자 | 출연작 |
---|---|---|
1993 | 이미숙 | 댁의 남편은 어떠십니까 |
1994 | 최명길 | 결혼 |
1995 | 최민수 | 모래시계 |
1996 | 박근형 | 형제의 강 |
1998 | 김희선 | 미스터Q |
1999 | 심은하 | 청춘의 덫 |
2000 | 고두심 | 덕이 |
2001 | 강수연 전인화 |
여인천하 |
2002 | 안재모 | 야인시대 |
2003 | 이병헌 | 올인 |
2004 | 박신양 김정은 |
파리의 연인 |
2005 | 전도연 | 프라하의 연인 |
2006 | 한혜숙 | 하늘이시여 |
2007 | 박신양 김희애 |
쩐의 전쟁 내 남자의 여자 |
2008 | 문근영 | 바람의 화원 |
2009 | 장서희 | 아내의 유혹 |
2010 | 고현정 | 대물 |
2011 | 한석규 | 뿌리깊은 나무 |
2012 | 손현주 | 추적자 |
2013 | 이보영 | 너의 목소리가 들려 |
2014 | 전지현 | 별에서 온 그대 |
2015 | 주원 | 용팔이 |
2016 | 한석규 | 낭만닥터 김사부 |
2017 | 지성 | 피고인 |
역대 부문별 수상자[편집]
1990년대 연기대상[편집]
2000년대 연기대상[편집]
2010년대 연기대상[편집]
진행자[편집]
회차 | 연도 | MC 목록 |
---|---|---|
- | 1992년 | 이계진, 최선규, 박지영 |
1 | 1993년 | 임백천, 이소라, 이계진, 박지영 |
2 | 1994년 | 이계진, 이소라, 이영현 |
3 | 1995년 | 최선규, 정선경, 김원희 |
4 | 1996년 | 최선규, 황수정 |
- | 1997년 | 시상식 미개최 |
5 | 1998년 | 김승현, 이소라 |
6 | 1999년 | 유정현, 송윤아 |
7 | 2000년 | 유정현, 송윤아 |
8 | 2001년 | 유정현, 정지영 |
9 | 2002년 | 유정현, 송윤아 |
10 | 2003년 | 유정현, 송윤아 |
11 | 2004년 | 박수홍, 이효리 |
12 | 2005년 | 박상원, 김현주 |
13 | 2006년 | 유정현, 이훈, 이다해 |
14 | 2007년 | 김용만, 하희라, 구혜선 |
15 | 2008년 | 류시원, 한예슬 |
16 | 2009년 | 장근석, 문근영, 박선영 |
17 | 2010년 | 이범수, 박진희, 이수경 |
18 | 2011년 | 지성, 최강희 |
19 | 2012년 | 이동욱, 정려원 |
20 | 2013년 | 이휘재, 이보영, 김우빈 |
21 | 2014년 | 이휘재, 박신혜, 박서준 |
22 | 2015년 | 이휘재, 임지연, 유준상 |
23 | 2016년 | 이휘재, 장근석, 민아 |
24 | 2017년 | 신동엽, 이보영 |
에필로그[편집]
- 1997년에는 IMF 외에도 전체적인 드라마 부진으로 시청률 경쟁에서 참패하자[1] 시상식을 하지 않았다.
- 배우 박신양은 파리의 연인으로 2004년 연기대상을, 쩐의 전쟁으로 2007년 연기대상을 수상했고, 배우 한석규는 뿌리깊은 나무로 2011년 연기대상을, 낭만닥터 김사부로 2016년 연기대상을 수상해 SBS 연기대상 최다수상자로 기록되었다.
- 배우 김희선(1998년, 만 21), 배우 문근영 (2008년, 만 21)은 방송사 3사 연기대상 최연소 대상 수상자이다.
- 2001년 강수연과 전인화, 2004년 박신양과 김정은, 2007년 박신양과 김희애 등에 총 3번의 공동수상으로 논란이 일었다.
- 배우 고두심은 2000년 SBS 연기대상, 1990년, 2004년(MBC 연기대상), 1989, 2004년, 2015년(KBS 연기대상)에 각각 수상해 방송사 3사 연기대상 최다 대상 수상자이다.
- 2010년 연기대상에서 배우 고현정이 대상을 수상했으나 이미 연기대상 대상 수상자가 정해졌다는 이른바 고현정 빅딜설이라는 소문이 나돌면서 논란이 있으며[2][3][4] 또한, 고현정의 수상소감에 대해서도 비판이 있다.[5][6] 2011년 1월 2일 2010년 SBS 연기대상 재방송 방송에서 고현정의 수상소감은 편집되었다.[7] 이후 2012년 4월 고현정이 진행하는 GO쇼가 방송되었다.
- 2010년 12월 26일 김수현 작가는 트위터에서 “SBS 연말 연기상, '인생은 아름다워' 팬들은 기대를 접으시기 바랍니다. 상은 받을 만한 가치가 있을 때 '상'이라는 생각 변함없고, 아마도 인아는 찬밥일 겁니다. 괜찮습니다. 잔칫상 구색 맞추기 동원보다는 아예 찬밥이 깔끔”이라고 말했다.[8]
- 신인에게 수여하는 SBS 연기대상의 신인상은 "뉴스타상"으로 10명에게 수여했던 상이었으나, SBS 의 시상식 개편으로 인하여 2017년 부터 "신인연기상" 으로 명칭이 변경되었다.
- 배우 지성, 배우 이보영은 SBS 연기대상 최초로 부부가 함께 연기대상 참석이라는 기록을 세웠으며, 같이 대상후보에 오르기도 하였다.
같이 보기[편집]
각주[편집]
- ↑ 김경곤 (1998년 1월 19일). “<방송가 소식>...다시 인기끄는「모래시계」…시청률 30%대”. 국제신문. 2017년 11월 23일에 확인함.
- ↑ 박정민 (SBS연기대상) 정보석, 우수상 수상…네티즌 "대상 감인데 왜?" 불만 TV리포트 2011년 1월 1일 작성
- ↑ 전형화 고현정 대상에 네티즌 "SBS 이게 최선입니까" 스타뉴스 2011년 1월 1일 작성
- ↑ 추노 내정설·고현정 빅딜설 진짜였나?…네티즌 “배신당했다” 스포츠칸 2011년 1월 1일 작성
- ↑ 이재환 네티즌 “SBS연기대상 쓰레기, 대상은 정보석” 질타 불만폭발 뉴스엔 2011년 1월 1일 작성
- ↑ ‘시청자 2번 우롱’ 고현정 대상, 더 할말 잃게한 수상소감에 ‘분노폭발’ 뉴스엔 2011년 1월 1일 작성
- ↑ 고현정 수상소감에 재방편집까지 '논란' 된 이유? 스타뉴스 2011년 1월 3일 작성
- ↑ 강선애 SBS연기대상, '인아'는 정말 '찬밥'이었다(강선애의 강심장) 마이데일리 2011년 1월 4일 작성
외부 링크[편집]
SBS의 텔레비전 프로그램 | |
---|---|
드라마 · 시트콤 |
|
예능 · 오락 · 연예 | |
영화 · 음악 · 패션 | |
문화 · 정보 | |
시사 · 교양 | |
뉴스 · 보도 | |
스포츠 · 중계 | |
육아 · 어린이 · 애니메이션 | |
SBS 연기대상 대상 | |
---|---|
![]() | |
대한민국의 방송상 | |
---|---|
방송사별 | |
통합 | |
같이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