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것이 알고싶다
![]() 그것이 알고싶다 포스터 | |
장르 | 탐사보도 |
---|---|
방송 국가 | 대한민국 |
방송 채널 | SBS TV |
방송 기간 | 1992년 3월 31일 ~ 1995년 9월 16일 1996년 10월 14일 ~ 현재 |
방송 시간 | 매주 토요일 밤 11시 10분 ~ 12시 25분 |
방송 횟수 | 1345회 (2023년 3월 25일 기준) |
기획 | 박두선 |
책임프로듀서 | 정철원, 김기슭 |
제작사 | SBS 시사교양본부 |
연출 | 박준우, 장경주, 최준호, 문치영, 이현택, 정재원, 위상현, 홍석준, 김재환, 조상연, 이한기 |
조연출 | 우성원 |
진행자 | 김상중 |
언어 | 한국어 |
음성 | 1채널 모노 사운드 |
자막 | 폐쇄 자막 방송 |
HD 방송 여부 | HD 제작 · 방송 |
관련 프로그램 | 궁금한 이야기 Y 감성다큐 미지수 해피선데이 KBS 뉴스특보 MBC 뉴스특보 SBS 뉴스특보 실화탐사대 천일야사 신발 벗고 돌싱포맨 MBN 뉴스특보 채널A 뉴스특보 YTN 뉴스특보 연합뉴스TV 뉴스특보 |
외부 링크 | SBS 그것이 알고싶다 공식 홈페이지 |
비고:
|
![]() |
《그것이 알고싶다》는 매주 토요일 밤 11시 10분에 방송되는 탐사보도 프로그램이다.
기획 의도[편집]
사회 전반의 다양한 문제점들을 들여다보는 SBS의 대표적인 시사고발 프로그램.
방송 일정[편집]
방송 채널 | 방송 기간 | 방송 시간 |
---|---|---|
SBS TV | 1992년 3월 31일 ~ 1992년 5월 12일 | 매주 화요일 밤 9:50 ~ 10:50 |
1992년 5월 24일 ~ 1993년 4월 25일 | 매주 일요일 밤 10:55 ~ 11:55 | |
1993년 5월 2일 ~ 1993년 10월 17일 | 매주 일요일 밤 9:50 ~ 10:55 | |
1993년 10월 24일 ~ 1994년 4월 17일 | 매주 일요일 밤 10:50 ~ 11:50 | |
1994년 4월 23일 ~ 1995년 4월 8일 | 매주 토요일 밤 9:50 ~ 10:50 | |
1995년 4월 22일 ~ 1995년 9월 16일 | 매주 토요일 밤 10:50 ~ 11:50 | |
1999년 2월 20일 ~ 2001년 2월 17일 | ||
1996년 10월 14일 ~ 1997년 9월 29일 | 매주 월요일 밤 11:00 ~ 12:00 | |
1997년 10월 26일 ~ 1999년 2월 6일 | 매주 일요일 저녁 7:00 ~ 8:00 | |
2001년 2월 24일 ~ 2015년 8월 1일 | 매주 토요일 밤 11:15 ~ 12:15 | |
2015년 8월 8일 ~ 2016년 3월 12일 | 매주 토요일 밤 11:10 ~ 12:15 | |
2016년 3월 19일 ~ 2016년 10월 29일 | 매주 토요일 밤 11:10 ~ 12:20 | |
2019년 2월 16일 ~ 2020년 4월 11일 | ||
2016년 11월 5일 ~ 2017년 10월 14일 | 매주 토요일 밤 11:05 ~ 12:15 | |
2018년 7월 14일 ~ 2019년 2월 9일 | ||
2017년 10월 21일 ~ 2018년 7월 7일 | 매주 토요일 밤 11:15 ~ 12:25 | |
2020년 4월 18일 ~ 2020년 6월 6일 | 매주 토요일 밤 11:20 ~ 12:30 | |
2020년 6월 13일 ~ 2021년 6월 26일 | 매주 토요일 밤 11:10 ~ 12:20 | |
2021년 7월 3일 ~ 현재 | 매주 토요일 밤 11:10 ~ 12:25 |
변천사[편집]
- 1992년 3월 31일 : 방송 개시
- 1995년 9월 23일 ~ 1996년 10월 7일 : 소재 고갈로 인해 약 1년 간의 휴식기를 거치게 되었다.
- 1996년 10월 14일 : 방송이 다시 재개되었다.
- 1997년 10월 26일 : 이 날짜부터 매주 일요일 저녁 7시에 방송되었으나 동시간대 예능 프로그램의 경쟁에서 고전을 면치 못했다.
- 1999년 2월 27일 : 매주 일요일 저녁 7시에 방송되었을 때의 프로그램 경쟁에서 고전을 면치 못한 이유로 인해 토요일 심야 시간대로 이동하여 방송되었으며, 매주 토요일 밤 11시 20분에 편성되어 방송되고 있다.
- 2015년 9월 5일 : 방송 23년째인 이 날짜를 기준으로 방송 1000회를 맞이하였다.
- 2020년 10월 10일 : 이 날짜의 방송분부터 탐사보도 프로그램 이자 다큐프로그램 최초로 유일하게 중간광고가 도입되었다.[2]
- 2021년 4월 5일 : 봄 개편으로 인해 중간광고 시간이 30초에서 120초로 확대되었다.
- 2021년 7월 1일 ~ 현재 : 지상파·종편의 중간광고 허용으로 인해 중간광고 시간이 120초에서 60초로 변경되었다.
에피소드 목록[편집]
결방 안내[편집]
- 2005년 12월 31일 : 2005 SBS 연기대상 시상식 중계방송으로 인한 결방.
- 2011년 12월 31일 : 2011 SBS 연기대상 시상식 중계방송으로 인한 결방.
- 2014년 4월 19일 : 《세월호 침몰 사고》 관련 뉴스특보 편성으로 인한 결방.
- 2016년 12월 31일 : 2016 SBS 연기대상 시상식 중계방송으로 인한 결방.
- 2020년 11월 14일 : 2021 도쿄 올림픽 축구 대표팀 평가전 《대한민국 VS 브라질》 중계방송으로 인한 결방.
- 2020년 12월 19일 : 2020 SBS 연예대상 시상식 중계방송으로 인한 결방.
- 2021년 2월 13일 : 설날 특집 전설의 무대 레전드 12 편성으로 인한 결방.
- 2021년 7월 24일 ~ 7월 31일 : 2020 도쿄 올림픽 중계방송으로 인한 결방.
- 2021년 9월 18일 : 추석특선영화 《보헤미안 랩소디》 편성으로 인한 결방.
- 2021년 12월 18일 : 2021 SBS 연예대상 시상식 중계방송으로 인한 결방.
- 2021년 12월 25일 : 성탄특선영화 《미나리》 편성으로 인한 결방.
- 2022년 2월 5일 ~ 2월 19일 : 2022 베이징 동계 올림픽 중계방송으로 인한 결방.
- 2022년 9월 10일 : 추석특선영화 《자산어보》 편성으로 인한 결방.
- 2022년 12월 3일 ~ 12월 10일 : 2022 카타르 월드컵 중계방송으로 인한 결방.
- 2022년 12월 17일 : 2022 SBS 연예대상 시상식 중계방송으로 인한 결방.
- 2022년 12월 31일 : 2022 SBS 연기대상 시상식 중계방송으로 인한 결방.
편성 변경 안내[편집]
프로듀서[편집]
- 강영권
- 박정훈
- 남상훈
진행자[편집]
진행자 | 진행 기간 |
---|---|
문성근 | 1992년 3월 31일 ~ 1993년 12월 26일 |
1997년 10월 26일 ~ 2002년 5월 11일 | |
박원홍 | 1994년 1월 9일 ~ 1995년 9월 16일 |
오세훈 | 1996년 10월 14일 ~ 1997년 9월 29일 |
정진영 | 2002년 5월 18일 ~ 2006년 1월 21일 |
박상원 | 2006년 2월 4일 ~ 2008년 2월 23일 |
김상중 | 2008년 3월 1일 ~ 현재 |
타이틀 변천사[편집]
타이틀 | 방송 기간 |
---|---|
미스터리 다큐멘터리 그것이 알고싶다 |
1992년 3월 31일 ~ 1995년 9월 16일 |
그것이 알고싶다 | 1995년 9월 23일 ~ 1997년 10월 19일 |
문성근의 다큐세상 그것이 알고싶다 |
1997년 10월 26일 ~ 2002년 5월 11일 |
정진영의 그것이 알고싶다 | 2002년 5월 18일 ~ 2006년 1월 21일 |
박상원의 그것이 알고싶다 | 2006년 2월 4일 ~ 2008년 2월 23일 |
그것이 알고싶다 | 2008년 3월 1일 ~ 현재 |
네트워크 방송사[편집]
방송 권역 | 방송사 | 비고 |
---|---|---|
수도권 | SBS | 프로그램 제작국 |
부산·경남 | KNN | 2011년부터 시작 |
대구·경북 | TBC | 1996년부터 시작 |
대전·충남·세종 | TJB | |
광주·전남 | kbc | |
울산 | ubc | 1997년부터 시작 |
전북 | JTV | |
충북 | CJB | |
강원 | G1 | 2001년부터 시작 |
제주 | JIBS | 2002년부터 시작 |
논란[편집]
- 2015년 8월 보이스 피싱 편을 제작하기 위해 보이스 피싱 조직총책 이 모 씨를 서울구치소에서 접견하였던 최민철 PD와 박성호 촬영감독에 대해 "신분을 밝히지 않고 접견 신청서를 제출하고 몰래 숨기고 들어간 명함 크기의 녹음, 녹화 장비를 접견 장소에 가지고 들어가 불법 녹화하였다."라는 이유로 위계에 의한 공무집행방해죄와 공동 건조물 침입죄로 기소되었다가 "접견업무 담당 교도관의 구체적이고 현실적인 직무집행을 방해한 것이라고 볼 수 없었으며, 그 교도관의 감시와 단속을 피하여 금지 규정에 위반한 행위를 한 것에 불과하여 공무집행방해죄가 될 수 없었으며, 서울구치소에 범죄 행위를 목적으로 들어간 것이 아니고 소장의 추정적 의사에 반해 구치소에 들어간 것이라고 단정할 수도 없으므로 건조물침입죄도 될 수 없다."며, 서울남부지방법원에서 무죄가 선고되었으며, 검찰이 대법원에 상고하였다.(2018도15213)[3]
- 2018년 7월 21일에 방송한 1130회 방송에 등장한 2015년 당시 태국 KTM 커뮤니케이션에서 근무했다는 제보자와 PD의 인터뷰 장면은 지난 2017년 9월 9일 방송한 1092회 ‘누가 방아쇠를 당겼나-마닐라 총기 사건’의 제보자 영상과 같다는 논란이 일자 대역 재연이라고 해명하였다.[4]
- 2019년 8월 초 듀스 멤버 김성재 죽음 의혹을 다룬 방송을 예고하였으나 고인의 전 여자친구로 알려진 김 모 씨가 명예 등 인격권 보장을 이유로 낸 방송금지 임시가처분 신청이 받아들여지면서 방송되지 못했으나 청와대 국민청원에서 21만 명이 서명하는 등 방송 요청이 이어지자 12월 21일 방송을 예고하였다. 하지만 또 방송되지 못했고 다른 내용으로 대체 편성되었다.[5]
수상 경력 [편집]
- 제45회 백상예술대상 TV부문 교양작품상
- 2022년 제49회 한국방송대상 시사보도부문 작품상 (가평계곡 익사사건 편)
- 2022년 제49회 한국방송대상 뉴미디어 프로그램 제작부문 개인상 (도준우 PD)
- 2022년 제49회 한국방송대상 미술부문 개인상 (김운성)
같이 보기[편집]
- 관련 항목
- 방송 프로그램
- KBS 뉴스특보 (KBS 보도본부 제작)
- 인간극장 (KBS 시사교양본부 제작)
- 감성다큐 미지수 (KBS 2TV)
- 자이언트 펭TV (EBS 1TV)
- 히어로 써클 (EBS·스튜디오 티앤티 공동 제작)
- MBC 뉴스특보 (MBC 보도본부 제작)
- 실화탐사대 (MBC TV)
- SBS 뉴스특보, 궁금한 이야기 Y, 신발 벗고 돌싱포맨, SBS 뉴스 이슈진단 (SBS TV)
- MBN 뉴스특보 (MBN)
- 이것은 실화다 (TV조선)
- 천일야사, 채널A 뉴스특보 (채널A)
- YTN 뉴스특보 (YTN)
- 연합뉴스TV 뉴스특보 (연합뉴스TV)
- 아르곤 (tvN)
- 진격의 언니들 (채널S)
- 별이 빛나는 밤에, 손에 잡히는 경제, 문화야 놀자, 출발 주말세상 차미연입니다, 모두의 퀴즈생활 서유리입니다, 주말엔 나비인가봐, 마음연구소 (MBC 표준FM)
- 라디오 고해소 비밀번호 1053 (cpbc FM)
책[편집]
- 그것이 알고 싶다(한국 사회를 보는 힘) 2004년 500회 기념 커뮤니케이션북스
- 그것이 알고 싶다(대한민국에 정의를 묻다) 2015년 1000회 기념 엘릭시르
각주[편집]
- ↑ 현재 전화번호는 2004년 3월 1일 이후 번호 이전에는 02-369-2848부터 02-369-2372까지다.
- ↑ “SBS 8 뉴스와 그것이 알고싶다에 유사중간광고 도입키로”.
- ↑ “서울남부지방법원 2016고단3834 '구치소 몰카 취재' PD에 '무죄' 선고 강한 기자”. 2020년 6월 22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0년 6월 22일에 확인함.
- ↑ 알고 싶다’ 측 이중인터뷰 논란 해명 “대역 재연 화면” 중앙일보2018.08.03[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 ↑ 김성재 사건 방송 예고
외부 링크[편집]
백상예술대상 《TV부문 교양작품상》 | ||
2009년 | 2010년 '그것이 알고싶다' - 아직도 그것이 알고싶다 - 사라진 악마를 찾아서 - 화성 연쇄 살인 사건의 진실. |
2011년 |
차마고도 | 아마존의 눈물 | |
SBS TV 토요일 밤 11시대 프로그램 | ||
---|---|---|
이전 작품 | 작품명 | 다음 작품 |
주병진의 데이트라인
(1998.5.23 ~ 1999.1.30) |
그것이 알고싶다
(1999.2.20 ~ 현재)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