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밤
![]() | |
![]() | |
장르 | 예능 |
---|---|
방송 국가 | ![]() |
방송 채널 | MBC TV |
방송 기간 | 1988년 11월 27일 ~ 2017년 4월 2일 |
방송 시간 | 역대 방송시간 참조 |
기획 | 권석 |
프로듀서 | 강영선 |
제작자 | MBC 예능본부 |
연출 | 김유곤, 강궁, 김세진, 김경홍, 김기호, 홍민기, 김예진 |
조연출 | 이재석, 김선영, 이민지, 손수정, 조주연, 김우중, 최용준 |
구성 | 여현전, 김민주, 임윤정, 김지연, 윤알음, 김아름, 양지인, 김성원, 김지현, 이경아, 김선영, 김태윤, 윤소영, 장문숙, 양수황 |
출연자 | 본문 참조 |
음성 | 1채널 모노 사운드 |
자막 | 폐쇄 자막 방송 |
HD 방송 여부 | 아날로그 제작 · 방송 (1회 ~ 645회) SD 제작 · 방송 (646회 ~ 1099회) HD 제작 · 방송 (1100회 ~ ) |
전편 | 일요일밤의 대행진 |
《일밤》은 MBC TV에서 방송되었던 예능 프로그램이다.
역사[편집]
- 1988년 11월 27일부터 《일요일밤의 대행진》의 타이틀을 《일요일 일요일 밤에》로 변경하여[1] 방영되었는데, 초창기에는 코미디 프로그램이었으나 1990년 3월 18일부터 콩트 나열식에서 토크 코미디 형식으로 변경했고[2] 1993년 4월 18일부터[3] 버라이어티 형식으로 변경하여 여러 코너로 방송되었다.
- 2011년 3월 6일부터 2012년 4월 22일까지 《우리들의 일밤》으로 명칭을 변경하였다.
- 2012년 4월 29일부터 2017년 4월 2일까지 《일밤》으로 명칭을 변경하였다.
- 2017년 4월 9일부터 편성표에 일밤이 기재되지 않고 코너명만 기재되었으며, 일밤 로고가 나오는 오프닝 대신 코너별 오프닝으로 대체되었다. 하지만 복면가왕의 다시보기를 보면 일밤의 회차가 기재되어 있어 공식 폐지는 아닌 상황이다.
기록[편집]
2008년 12월 14일 1,000회 특집 방송에서 이 프로그램과 관련된 기록이 언급되었다. 해당 기록은 아래와 같다.
- 2008년까지 방송된 코너는 총 235개
- 가장 많이 방영된 코너는 몰래카메라 (189회(몰래카메라 86회 + 돌아온 몰래카메라 103회))
- 연속으로 가장 많이 방영된 코너는 브레인 서바이버(135회)[4]
- 가장 많은 코너를 진행한 인물은 이경규(28개), 차순은 김용만(23개)이다.
- 현재는 381회가량 방송한 복면가왕이 가장 많이 방영된 코너다.
방송 시간[편집]
1기 - 일요일 일요일 밤에[편집]
1988년 11월 27일 ~ 2011년 2월 20일
방송 채널 | 방송 기간 | 방송 시간 | 방송 분량 | |
---|---|---|---|---|
MBC | 1988년 11월 27일 ~ 1989년 4월 9일 | 매주 일요일 저녁 6시 50분 ~ 8시 | 1시간 10분 | |
1995년 10월 29일 ~ 1996년 3월 3일 | ||||
1996년 10월 27일 ~ 1999년 11월 28일 | ||||
2000년 2월 27일 ~ 2000년 5월 14일 | ||||
1989년 4월 16일 ~ 1989년 10월 29일 | 매주 일요일 저녁 7시 ~ 8시 | 1시간 | ||
1991년 4월 28일 ~ 1995년 10월 15일 | ||||
1996년 3월 10일 ~ 1996년 4월 28일 | ||||
1989년 11월 5일 ~ 1991년 4월 21일 | 매주 일요일 저녁 7시 5분 ~ 8시 | 55분 | ||
1996년 5월 5일 | 매주 일요일 저녁 6시 ~ 7시 | 1시간 | ||
1996년 5월 12일 ~ 1996년 6월 23일 | 매주 일요일 저녁 6시 ~ 8시 | 2시간 | ||
1995년 10월 22일 | 매주 일요일 저녁 6시 40분 ~ 8시 | 1시간 20분 | ||
1999년 12월 12일 ~ 2000년 1월 30일 | ||||
1996년 6월 30일 ~ 1996년 10월 20일 | ||||
1부 | 매주 일요일 저녁 6시 ~ 7시 | 1시간 | ||
2부 | 매주 일요일 저녁 7시 ~ 8시 | 1시간 | ||
1999년 12월 5일 | 매주 일요일 저녁 6시 30분 ~ 7시 50분 | 1시간 20분 | ||
2000년 2월 13일 ~ 2000년 2월 20일 | 매주 일요일 저녁 6시 40분 ~ 7시 55분 | 1시간 15분 | ||
2000년 5월 21일 ~ 2000년 10월 29일 | 매주 일요일 저녁 6시 50분 ~ 7시 55분 | 1시간 5분 | ||
2001년 5월 13일 | ||||
2000년 11월 12일 ~ 2001년 4월 22일 | 매주 일요일 저녁 6시 10분 ~ 7시 55분 | 1시간 45분 | ||
2001년 5월 20일 ~ 2002년 3월 10일 | ||||
2002년 5월 5일 ~ 2002년 5월 19일 | ||||
2002년 6월 23일 | ||||
2002년 7월 7일 ~ 2002년 10월 27일 | ||||
2000년 11월 5일 | 매주 일요일 저녁 6시 10분 ~ 7시 45분 | 1시간 35분 | ||
2001년 4월 29일 | 매주 일요일 저녁 6시 ~ 7시 45분 | 1시간 45분 | ||
2002년 3월 17일 ~ 2002년 4월 7일 | ||||
2001년 5월 6일 | 매주 일요일 저녁 6시 5분 ~ 7시 55분 | 1시간 50분 | ||
2002년 4월 14일 ~ 2002년 4월 21일 | 매주 일요일 저녁 6시 ~ 7시 50분 | 1시간 50분 | ||
2002년 4월 28일 | 매주 일요일 저녁 6시 ~ 7시 55분 | 1시간 55분 | ||
2002년 6월 2일 | 매주 일요일 오후 4시 30분 ~ 6시 15분 | 1시간 35분 | ||
2002년 6월 9일 | 매주 일요일 오후 5시 30분 ~ 7시 15분 | |||
2002년 6월 30일 | 매주 일요일 저녁 6시 ~ 7시 35분 | |||
2002년 11월 3일 ~ 2005년 10월 16일 | 매주 일요일 저녁 6시 ~ 7시 55분 | 1시간 55분 | ||
2005년 10월 30일 | 매주 일요일 오후 5시 40분 ~ 7시 45분 | 2시간 5분 | ||
2006년 1월 1일 ~ 2006년 3월 12일 | ||||
2005년 11월 6일 | 매주 일요일 오후 5시 45분 ~ 7시 45분 | 2시간 | ||
2005년 11월 13일 ~ 2005년 11월 27일 | ||||
2005년 12월 18일 | ||||
2005년 12월 11일 | 매주 일요일 오후 5시 50분 ~ 7시 55분 | 2시간 5분 | ||
2005년 12월 25일 | ||||
2006년 3월 19일 ~ 2006년 7월 16일 | 매주 일요일 오후 5시 35분 ~ 7시 55분 | 2시간 20분 | ||
2006년 11월 26일 ~ 2008년 1월 6일 | ||||
2008년 1월 20일 | ||||
2008년 2월 3일 ~ 2008년 2월 10일 | ||||
2008년 2월 24일 ~ 2008년 3월 2일 | ||||
2008년 3월 16일 ~ 2008년 3월 23일 | ||||
2006년 7월 23일 ~ 2006년 11월 5일 | 매주 일요일 오후 5시 30분 ~ 7시 50분 | 2시간 20분 | ||
2006년 11월 12일 ~ 2006년 11월 5일 | 매주 일요일 오후 5시 25분 ~ 7시 55분 | 2시간 30분 | ||
2008년 1월 13일 | 매주 일요일 오후 5시 20분 ~ 7시 55분 | 2시간 35분 | ||
2008년 1월 27일 | ||||
2008년 2월 17일 | ||||
2008년 3월 9일 | ||||
2008년 5월 4일 | ||||
2008년 5월 18일 | ||||
2008년 3월 30일 | 매주 일요일 오후 5시 30분 ~ 7시 55분 | 2시간 25분 | ||
2008년 4월 20일 ~ 2008년 4월 27일 | ||||
2008년 5월 11일 | ||||
2008년 5월 25일 | ||||
2008년 4월 6일 ~ 2008년 4월 13일 | 매주 일요일 오후 5시 20분 ~ 7시 55분 | 2시간 35분 | ||
2008년 6월 1일 | ||||
1부 | 매주 일요일 오후 5시 25분 ~ 6시 35분 | 1시간 10분 | ||
2부 | 매주 일요일 저녁 6시 35분 ~ 7시 55분 | 1시간 20분 | ||
2008년 6월 8일 ~ 2008년 6월 15일 2008년 7월 6일 | ||||
1부 | 매주 일요일 오후 5시 20분 ~ 6시 35분 | 1시간 15분 | ||
2부 | 매주 일요일 저녁 6시 35분 ~ 7시 55분 | 1시간 20분 | ||
2008년 6월 22일 ~ 2008년 6월 15일 | ||||
1부 | 매주 일요일 오후 5시 15분 ~ 6시 30분 | 1시간 15분 | ||
2부 | 매주 일요일 저녁 6시 30분 ~ 7시 55분 | 1시간 25분 | ||
2008년 6월 29일 ~ 2008년 6월 15일 2008년 7월 13일 ~ 2008년 7월 20일 | ||||
1부 | 매주 일요일 오후 5시 25분 ~ 6시 35분 | 1시간 10분 | ||
2부 | 매주 일요일 저녁 6시 35분 ~ 7시 55분 | 1시간 20분 | ||
2008년 7월 27일 | ||||
1부 | 매주 일요일 오후 5시 15분 ~ 6시 50분 | 1시간 35분 | ||
2부 | 매주 일요일 저녁 6시 50분 ~ 7시 55분 | 1시간 5분 | ||
2008년 8월 3일 2008년 8월 31일 ~ 2008년 9월 7일 | ||||
1부 | 매주 일요일 오후 5시 20분 ~ 6시 55분 | 1시간 35분 | ||
2부 | 매주 일요일 저녁 6시 55분 ~ 7시 55분 | 1시간 | ||
2008년 8월 24일 | ||||
1부 | 매주 일요일 오후 5시 25분 ~ 6시 55분 | 1시간 30분 | ||
2부 | 매주 일요일 저녁 6시 55분 ~ 7시 55분 | 1시간 | ||
2008년 9월 21일 ~ 2009년 4월 19일 | ||||
1부 | 매주 일요일 오후 5시 10분 ~ 6시 10분 | 1시간 | ||
2부 | 매주 일요일 저녁 6시 10분 ~ 7시 55분 | 1시간 45분 | ||
2009년 4월 26일 | 매주 일요일 오후 4시 40분 ~ 7시 55분 | 3시간 15분 | ||
2009년 5월 3일 ~ 2009년 8월 16일 | ||||
1부 | 매주 일요일 오후 5시 20분 ~ 6시 20분 | 1시간 | ||
2부 | 매주 일요일 저녁 6시 20분 ~ 7시 55분 | 1시간 35분 | ||
2009년 8월 30일 ~ 2011년 2월 20일 | ||||
1부 | 매주 일요일 오후 5시 20분 ~ 6시 45분 | 1시간 25분 | ||
2부 | 매주 일요일 저녁 6시 45분 ~ 7시 55분 | 1시간 10분 |
2기 - 우리들의 일밤[편집]
2011년 3월 6일 ~ 2012년 4월 22일
3기 - 일밤[편집]
2012년 4월 29일 ~ 2017년 4월 2일
방송 채널 | 방송 기간 | 방송 시간 | 방송 분량 | |
---|---|---|---|---|
MBC | 2012년 4월 29일 ~ 2012년 10월 14일 | 1부 | 매주 일요일 오후 5시 10분 ~ 6시 10분 | 1시간 |
2부 | 매주 일요일 저녁 6시 10분 ~ 7시 55분 | 1시간 45분 | ||
2012년 10월 21일 ~ 2012년 12월 30일 | 매주 일요일 오후 5시 ~ 7시 55분 | 2시간 55분 | ||
2013년 1월 6일 ~2013년 5월 26일 | 1부 | 매주 일요일 오후 4시 55분 ~ 6시 10분 | 1시간 15분 | |
2부 | 매주 일요일 저녁 6시 25분 ~ 7시 50분 | 1시간 25분 | ||
2013년 6월 2일 ~ 2014년 3월 16일 | 매주 일요일 오후 4시 55분 ~ 7시 55분 | 3시간 | ||
2014년 3월 23일 ~ 2014년 4월 13일 | 매주 일요일 오후 4시 20분 ~ 7시 55분 | 3시간 35분 | ||
2014년 4월 27일 ~ 2017년 4월 2일 | 1부 | 매주 일요일 오후 4시 50분 ~ 6시 45분 | 1시간 55분 | |
2부 | 매주 일요일 저녁 6시 45분 ~ 7시 55분 | 1시간 10분 |
이 이후는 각 코너별로 분리 편성.
코너[편집]
시청률[편집]
- 1990년대 초반에 30%대[5][6], 1990년대 중반부터 2000년대 중반까지 20%대 내외를 수많은 버라이어티 아이템 코너로 인기가 많았다.
- 인기 코너로 <양심냉장고>, <러브하우스>, <게릴라 콘서트>, <이경규가 간다>, <대단한 도전>, <브레인 서바이벌> 등의 동시간대에 일밤 1위를 차지하였다.
- 하지만 2000년대 중후반에 10%대 내외로 떨어졌으며, 2009년과 2010년 사이에 인기가 시들고, 결국 3%대로 한자릿수 시청률을 기록하고 말았다.[7]
- 그러다가 2011년부터 시청률 회복세로 꾸준히 상승하는 듯 했으나, 다채널로 많은 예능 프로그램이 생기고 흥행을 하면서 또다시 하락세가 계속되면서 결국 폐지되는 수순을 밟았는데 터줏대감이었던 이경규가 KBS 2TV 《남자의 자격》으로 들어가면서 대표 MC 공백에 어려움을 겪어온 데다[8] 《세바퀴》 《우결》 코너가 독립편성된 후 잘 된 것이[9] 뼈아팠으며 신동엽이 SBS 《일요일이 좋다》'골드미스가 간다'에서 도중하차한 뒤[10] 해당 프로그램으로 이적한 후 본인(신동엽)이 해당 프로그램에 출연한 코너들이[11] 대거 1년을 넘기지 못했다.
참고 사항[편집]
수상[편집]
- 제 17회(1990년) 한국방송대상 남자 코미디언상(주병진)[12]
- 제 19회(1992년) 한국방송대상 남자 코미디언상(이경규)[13]
- 제 31회(2004년) 한국방송대상 연예오락부문 우수작품상
같이 보기[편집]
각주[편집]
- ↑ “MBC 방송시간 조정”. 매일경제. 1988년 11월 19일.
- ↑ “양TV 코미디프로 개편”. 동아일보. 1990년 3월 24일. 2022년 6월 14일에 확인함.
- ↑ 진성호 (1993년 4월 20일). “TV쇼-코미디 10代(대)위주 분위기 탈피 예고”. 조선일보. 2022년 6월 14일에 확인함.
- ↑ 이후 진짜 사나이가 186회(2013년 4월 14일 ~ 2016년 11월 27일)로 연속으로 가장 많이 방영되었다.
- ↑ 닐슨 코리아(구 미디어서비스코리아)는 1992년부터 집계 시작하였다.
- ↑ 1993년 당시에〈일요일 일요일 밤에〉 연간 평균 시청률 28.7% 집계하였다.
- ↑ 동시간대에 KBS 2TV의 《해피선데이》와 SBS의 《일요일이 좋다》가 시청률이 높아졌으나, 수십 개 코너 아이템으로 시청률 고전을 면치 못했다.
- ↑ 정덕현 대중문화 칼럼니스트 (2009년 6월 3일). “위기의 '일밤', 진짜 문제는 뭘까”. OSEN. 2022년 6월 29일에 확인함.
- ↑ 김은주 (2010년 6월 26일). “[상반기 예능 결산] ‘남격’ 웃고 ‘패떴’ 울고 ‘일밤’ 주름살 폈다!”. 쿠키뉴스. 2022년 6월 29일에 확인함.
- ↑ 김재윤 (2009년 6월 2일). “신동엽, '골드미스' 떠나 '아내' 곁으로”. 노컷뉴스. 2022년 7월 12일에 확인함.
- ↑ 김성규 (2012년 12월 23일). “'KBS 연예대상' 신동엽, 그는 어떻게 부활했나?”. 오마이뉴스. 2022년 7월 12일에 확인함.
- ↑ “["이 榮光을 팬들에 돌리고 싶어요" 放送대상 수상자] 남자코미디언상 주병진”. 부산일보. 1990년 8월 15일. 2022년 6월 14일에 확인함.
- ↑ “한국방송대상 KBS'자본주의…'”. 한겨레신문. 1992년 9월 4일. 2022년 6월 14일에 확인함.
외부 링크[편집]
일요일 저녁에 방송되는 문화방송의 예능 프로그램 | ||
전작 | 현작 일밤 |
후작 |
우리들의 일밤 | - | |
문화방송의 일요일 TV 프로그램 | ||
이전 | 일밤 | 다음 |
섹션TV 연예통신 | MBC 뉴스데스크 | |
오후 3시 45분 | 오후 4시 50분 | 저녁 7시 55분 |
백상예술대상 〈TV부문 예능작품상〉 | ||
2001년 | 2002년 일요일 일요일 밤에 |
2003년 |
진실게임 | 느낌표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