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래, 그런거야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Picto infobox TV-icon-novela.png
그래, 그런거야
장르 드라마
방송 국가 대한민국의 기 대한민국
방송 채널 SBS
방송 기간 2016년 2월 13일 ~ 2016년 8월 21일
방송 시간 매주 주말 밤 8시 45분 ~ 9시 55분
방송 분량 1시간 10분
방송 횟수 54부작
추가 채널 채널칭
기획 홍성창 (1~4회)
이용석 (5~54회)
프로듀서 황철민
제작사 삼화네트웍스
제작자 안제현, 신상윤
연출 손정현
조연출 박보람, 이우람
각본 김수현
출연자 이순재, 강부자, 양희경, 노주현, 송승환, 정재순, 홍요섭, 김해숙
자막 청각 장애인을 위한 자막 방송
HD 방송 여부 HD 제작 · 방송
외부 링크  <그래, 그런거야> 홈페이지
외부 동영상
<그래, 그런거야> 전회차 무료보기

그래, 그런거야》는 2016년 2월 13일부터 2016년 8월 21일까지 방영된 SBS 주말 드라마이다.

기획 의도[편집]

3대가 한 집에 사는 대가족의 희로애락을 통하여 가족의 의미를 다시 돌아보게 만드는 가족 드라마로,[1] 현대 사회에서 대가족의 일원으로 살아가는 의미와 서로 사랑하고 위로하며 갈등을 극복하는 가족의 소중함을 일깨워주는 홈드라마이다.

등장 인물[편집]

주요 인물[편집]

  • 이순재 : 유종철 역 - 재단사 출신, 젊은여자 밝힘증이 있음
  • 강부자 : 김숙자 역 - 종철의 아내, 신문보기가 취미이며 거동이 불편함
  • 양희경 : 김숙경 역 - 숙자의 이복동생, 욕심많은 성격, 입방정이 심함
  • 노주현 : 유민호 역 - 종철의 장남, 은행 퇴사 이후 아웃도어 매장 운영, 아들이 비행기 사고로 죽고 아내도 한달 뒤 사망
  • 서지혜 : 이지선 역 - 민호의 며느리, 태희의 딸, 입시학원 영어강사 및 번역가, 결혼 두 달 만에 비행기 사고로 남편이 사망
  • 송승환 : 유경호 역 - 종철의 차남, 고졸, 일식집 江村(강촌) 운영
  • 정재순 : 하명란 역 - 경호의 아내, 대졸, 경호보다 3살 연상
  • 신소율 : 유소희 역 - 경호의 외동딸, 종합병원 간호사
  • 홍요섭 : 유재호 역 - 종철의 삼남, 유내과 원장
  • 김해숙 : 한혜경 역 - 종철의 셋째 며느리, 간호사 출신, 재호의 아내
  • 윤소이 : 유세희 역 - 유재호의 장녀, 패션지 에디터를 거쳐 출판사 일을 하다 사표를 쓴 상태
  • 조한민 : 유세현 역 - 유재호의 장남, 종합병원 간담췌 외과의사
  • 정해인 : 유세준 역 - 유재호의 차남, 사학과 출신, 아르바이트생
  • 임예진 : 이태희 역 - 지선 나영 모, 디저트 카페 운영, 나이값 못하는 모습, 애교 많은 성격, 조울증으로 의심됨
  • 남규리 : 이나영 역 - 태희의 딸, 지선의 동생, 예명 오나영, 엄마의 조기교육으로 배우 지망생
  • 김정난 : 강수미 역 - 경호의 일식집 종업원, 강실장, 48살 이혼녀로 슬하에 대학생 아들이 있음
  • 왕지혜 : 홍유리 역 - 유세현의 아내, 부잣집 외동딸
  • 김영훈 : 나현우 역 - 유세희의 남편, 영화감독, 바쁜 일로 일해 처가에 얼굴 비추는 일이 적음

그 외 인물[편집]

특별 출연[편집]

  • 진태현 : 유승균 역 - 유민호의 아들, 이지선의 남편
  • 견미리 : 배우 역 - 오나영의 선배
  • 전노민 : 배우 역 - 오나영의 선배
  • 김선영 : 드라마 작가 오현주 역 (10화)
  • 오미희 : 찬우 모 역

시청률[편집]

최저 시청률 최고 시청률 시청률 조사회사와 지역별로 시청률에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2016년
회차 방송일 TNmS 시청률[2] AGB 시청률[3]
대한민국(전국) 서울(수도권) 대한민국(전국) 서울(수도권)
제1회 2월 13일 3.6% 4.6% 4.0% 5.0%
제2회 2월 14일 4.3% 4.5% 5.8% 6.0%
제3회 2월 20일 4.4% 4.8% 5.4% 5.8%
제4회 2월 21일 5.6% 7.4% 6.5% 7.8%
제5회 2월 27일 6.1% 8.1% 6.7% 7.5%
제6회 2월 28일 8.1% 10.5% 9.3% 11.0%
제7회 3월 5일 6.6% 8.6% 7.7% 9.0%
제8회 3월 6일 8.0% 10.1% 9.3% 10.8%
제9회 3월 12일 5.8% 7.2% 7.5% 9.0%
제10회 3월 13일 8.2% 10.3% 9.8% 11.7%
제11회 3월 19일 6.8% 8.8% 8.4% 10.0%
제12회 3월 20일 8.3% 10.9% 9.8% 11.6%
제13회 3월 26일 6.8% 8.5% 8.1% 9.3%
제14회 3월 27일 8.9% 11.2% 10.1% 12.1%
제15회 4월 2일 6.9% 8.5% 8.6% 10.2%
제16회 4월 3일 7.7% 9.7% 10.0% 11.6%
제17회 4월 9일 7.4% 8.9% 8.5% 9.3%
제18회 4월 10일 8.5% 11.3% 10.7% 12.6%
제19회 4월 16일 7.5% 9.9% 9.4% 11.1%
제20회 4월 17일 8.2% 11.3% 10.2% 11.8%
제21회 4월 23일 8.0% 10.0% 9.1% 10.4%
제22회 4월 24일 8.6% 11.1% 9.6% 10.5%
제23회 4월 30일 8.0% 10.3% 8.8% 10.2%
제24회 5월 1일 8.7% 10.9% 10.3% 12.0%
제25회 5월 7일 6.3% 8.4% 6.9% 8.0%
제26회 5월 8일 7.7% 9.5% 8.4% 9.2%
제27회 5월 14일 6.8% 8.7% 8.0% 9.5%
제28회 5월 15일 7.9% 10.3% 9.8% 11.2%
제29회 5월 21일 6.9% 8.6% 7.5% 8.8%
제30회 5월 22일 7.9% 9.8% 9.2% 10.7%
제31회 5월 28일 6.5% 8.8% 7.8% 9.4%
제32회 5월 29일 10.4% 8.4% 10.1% 11.2%
제33회 6월 4일 6.4% 8.1% 7.8% 9.0%
제34회 6월 5일 7.5% 9.4% 9.4% 10.7%
제35회 6월 11일 6.6% 8.6% 9.0% 10.6%
제36회 6월 12일 7.7% 9.8% 10.3% 11.5%
제37회 6월 18일 5.7% 6.8% 8.1% 9.4%
제38회 6월 19일 7.1% 8.9% 9.8% 11.5%
제39회 6월 25일 6.0% 7.8% 7.3% 8.6%
제40회 6월 26일 7.1% 9.8% 9.9% 11.7%
제41회 7월 2일 6.3% 8.0% 7.9% 9.8%
제42회 7월 3일 7.4% 9.8% 8.5% 9.9%
제43회 7월 9일 5.6% 7.0% 7.6% 9.2%
제44회 7월 10일 7.1% 9.2% 8.8% 10.1%
제45회 7월 16일 6.5% 7.3% 9.6% 11.4%
제46회 7월 17일 7.3% 9.1% 10.2% 11.5%
제47회 7월 23일 7.2% 9.6% 9.4% 11.3%
제48회 9.9% 12.6% 12.4% 14.2%
제49회 7월 30일 5.7% 7.3% 7.9% 9.0%
제50회 7월 31일 7.1% 9.2% 8.6% 9.8%
제51회 8월 7일 7.6% 9.8% 9.4% 10.9%
제52회 8월 14일 7.9% 9.3% 9.7% 11.5%
제53회 8월 20일 8.0% 9.1% 9.9% 11.8%
제54회 8월 21일 8.1% 10.1% 10.1% 12.4%
평균시청률 7.2% 9.3% 8.8% 10.2%

결방 및 편성 변경[편집]

수상 및 후보[편집]

연도 시상식 부문 수상자 결과
2016 SAF 연기대상 장편드라마 부문 여자 최우수연기상 김해숙 수상
장편드라마 부문 남자 우수연기상 조한선 후보
장편드라마 부문 여자 우수연기상 윤소이
장편드라마 부문 여자 특별연기상 신소율
뉴스타상 정해인 수상

경쟁 프로그램[편집]

참고 사항[편집]

  • 유민호 역의 노주현이 다른 사람들의 얼굴에 침을 뱉은 장면을 반복적으로 내보낸 것이 시청률을 의식하고 작위적이라는 지적을 받았다.[8]
  • 20~49세 시청층을 사로잡지 못한 데다가 시대의 흐름을 반영하는 데 실패했다는 지적이 있었다.[9] 현실과 동떨어진 설정, 공감의 부재, 커진 피로감 등이 실패의 원인으로 지적되었다.[10]
  • 저조한 성적과 올림픽 중계 편성 등의 이유로[11] 60부작에서 6회 단축한 54부작으로 종영되었다.
  • 이야기의 흐름과 인물 구도가 작가(김수현)의 전작 《목욕탕집 남자들》《무자식 상팔자》와 크게 다르지 않다는 지적이 있었으며[12] 소위 '김수현 사단'으로 불린 중견 배우들을 한자리에 모아 억지로 짝을 맞춘 듯한 캐스팅 때문에[13] 혹독한 평가를 받았다.

각주[편집]

  1. “그래, 그런거야 : E01”. 《온디맨드코리아》. 2016년 3월 19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6년 3월 23일에 확인함. 
  2. TNmS 멀티미디어 홈페이지 참조.
  3. AGB 닐슨 미디어리서치 홈페이지 참조.
  4. “‘더 폰’, ‘그래 그런거야’ 결방으로 특별 편성 ‘결방 이유 무엇?’”. 서울신문. 2016년 7월 24일. 2021년 2월 27일에 확인함. 
  5. “‘더 폰’, ‘그래 그런거야’ 결방으로 특별 편성 ‘결방 이유 무엇?’”. 서울신문. 2016년 7월 24일. 2021년 2월 27일에 확인함. 
  6. 그래, 그런거야, 리우올림픽 방송으로 인해 결방
  7. 그래, 그런거야, 8월 13일 결방
  8. 이소담 (2016년 8월 24일). “방통심의위 "'그래그런거야', 얼굴에 침 뱉는 장면 문제". OSEN. 2016년 8월 26일에 확인함. 
  9. '그래, 그런거야' 쓸쓸이 퇴장…흥행 참패 원인은?”. 금강일보. 2016년 8월 22일. 2017년 11월 2일에 확인함. 
  10. 조현주 (2016년 6월 22일). “[TEN 초점] ‘그래, 그런거야’ 조기종영, 균열 간 ‘김수현 월드’”. 텐아시아. 2021년 2월 27일에 확인함. 
  11. 조현주 (2016년 6월 22일). “[TEN 초점] ‘그래, 그런거야’ 조기종영, 균열 간 ‘김수현 월드’”. 텐아시아. 2021년 2월 27일에 확인함. 
  12. 안진용 (2016년 7월 27일). “<안진용 기자의 엔터 톡>대가족이 판타지가 된 사회, “그래, 그런 거야””. 문화일보. 2021년 10월 15일에 확인함. 
  13. 윤고은 (2016년 8월 22일). “[단독]SBS, '그래, 그런거야'로 80억 적자…김수현의 흥행실패”. 연합뉴스. 2021년 10월 15일에 확인함. 

외부 링크[편집]

SBS 주말드라마
이전 작품 작품명 다음 작품
떴다! 패밀리
(2015년 1월 3일) ~ (2015년 3월 15일)
그래, 그런거야
(2016년 2월 13일 ~ 2016년 8월 21일)
우리 갑순이
(2016년 8월 27일 ~ 2017년 4월 8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