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66년 FIFA 월드컵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1966년 FIFA 월드컵
원어 명칭FIFA World Cup 1966
개최국잉글랜드의 기 잉글랜드
개최기간7월 11일 ~ 7월 30일
경기장8 (7개 도시)
참가팀16 (5개 대륙)
결과
우승잉글랜드 잉글랜드 (1번째 우승)
준우승서독 서독
3위포르투갈 포르투갈
4위소련 소련
최다 득점포르투갈 에우제비우 (9골)
최우수 신인 선수독일 프란츠 베켄바워
최우수 골키퍼잉글랜드 고든 뱅크스
통계
총 경기32경기
총 득점89골 (경기당 2.78골)
총 관중1,635,000명 (경기당 51,094명)
« 1962
1970 »

1966년 FIFA 월드컵(영어: FIFA World Cup 1966)은 제8회 FIFA 월드컵으로 1966년 7월 11일부터 7월 30일까지 잉글랜드에서 열렸다. 대회 2연패 중이었던 브라질이 조별 리그에서 탈락하고 처음 출전하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이탈리아를 1-0으로 꺾고 8강에 진출하는 최초의 아시아 팀이 되는 이변이 발생되었다. 우승은 개최국 잉글랜드가, 준우승은 서독이 차지했다.

개최국 선정[편집]

개최를 희망했던 국가

개최국 득표수 결과
잉글랜드의 기 잉글랜드 34 개최
서독의 기 서독 27 탈락
스페인의 기 스페인 유치 포기

FIFA 총회는 1960년 8월 22일 이탈리아 로마에서 열린 회의에서 잉글랜드의 기 잉글랜드를 1966년 FIFA 월드컵 개최국으로 선정했다.

  • 서독의 기 서독은 7점차로 탈락하였으며 스페인의 기 스페인은 유치를 포기하였다.

개최 도시 및 경기장[편집]

런던 리버풀 셰필드 선덜랜드
웸블리 스타디움 구디슨 파크 힐즈버러 경기장 로커 파크
수용인원: 100,000명 수용인원: 62,789명 수용인원: 43,245명 수용인원: 35,756명
Old Wembley Stadium (external view).jpg Goodisonview1.JPG Hillsborough Clock.JPG Roker Park August 1976.jpg
런던 버밍엄 맨체스터 미들즈브러
화이트 시티 경기장 빌라 파크 올드 트래퍼드 에어섬 파크
수용인원: 50,234명 수용인원: 48,765명 수용인원: 40,564명 수용인원: 26,458명
White City Stadium 1908.jpg Villaparkfromtopofholte.jpg Old Trafford inside 20060726 1.jpg East Stand, Ayresome Park.jpg

지역 예선[편집]

  본선 진출국
  탈락국
  불참국
  FIFA 비회원국
지역 예선 국가/팀
유럽 (UEFA) 32개 팀 중 10개 팀 (10장) Flag of Bulgaria (1948–1967).svg 불가리아, 서독 서독, Flag of France (1794–1815, 1830–1974, 2020–present).svg 프랑스, 포르투갈 포르투갈, 잉글랜드 잉글랜드 (개최국), Flag of Switzerland.svg 스위스, Flag of Hungary.svg 헝가리, 소련 소련, Flag of Italy.svg 이탈리아, 스페인 스페인
남미 (CONMEBOL) 9개 팀 중 4개 팀 (4장) 우루과이 우루과이, 브라질 브라질 (1962년 FIFA 월드컵 우승 팀), Flag of Chile.svg 칠레, Flag of Argentina.svg 아르헨티나
북중미&카리브 (CONCACAF) 10개 팀 중 1개 팀 (1장) Flag of Mexico (1934-1968).svg 멕시코
아프리카·아시아·오세아니아 (CAF·AFC·OFC) 18개 팀 중 1개 팀 (1장)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시드 배정[편집]

1966년 1월 6일런던에서 조 추첨을 하였다.[1]

포트 1 (남아메리카) 포트 2 (유럽) 포트 3 (라틴 유럽) 포트 4 (기타)

선수 명단[편집]

오심 논란[편집]

잉글랜드 월드컵에서 나온 오심들은 여러 가지 이슈를 만들어냈고, 해외에서는 편파 판정 논란도 있었으며, 카드 제도의 도입에 큰 영향을 미쳤다.

우선 조별리그 잉글랜드vs프랑스 경기에서 바비 찰튼의 정당한 골이 오프사이드로 처리되는 오심이 있었다.[2]

8강전에서는 홈팀 잉글랜드의 상대팀이었던 아르헨티나의 주장 안토니오 라틴이 경기 35분만에 주심 루돌프 크라이틀라인에게 파울 선언에 대해 항의하다가 '언어 폭력'을 했다는 오해를 사서 퇴장 명령을 받는 사건이 일어났는데, 이는 주심과 선수가 서로의 말을 알아듣지 못해 생긴 일이었다. 크라이틀라인은 같은 경기에서 잭 찰튼에게도 경고를 주었는데, 잭 찰튼 역시 이 사실을 전혀 인지하지 못하고 있었다.[3] 여튼 아르헨티나에서는 이를 두고 잉글랜드가 심판을 매수했다며 분노를 표출했고[4], 안토니오 라틴은 아직까지도 이 사건에 대해 억울한 감정을 가지고 있다.[5] 문제의 심각성을 인지한 영국의 심판 켄 애스턴은 이러한 사태가 또 일어나는 것을 막기 위해 비언어적 수단을 이용하여 의사 전달을 확실히 하기 위한 수단으로 옐로카드레드카드를 생각해 냈고, 차기 대회부터 카드 제도가 본격적으로 사용되게 되었다.

결승전에서는 세계적으로 논란이 있는 제프 허스트의 결승골이 터지며 잉글랜드가 4:2 승리를 거두었고, 잉글랜드가 우승했다. 이 골은 크로스 바를 맞고 골라인 위에 떨어졌는데, 주심 고트프리트 딘스트는 이를 정확히 보지 못해 부심 토피크 바흐라모프에게 골 여부를 물었다. 바흐라모프 부심은 이를 골로 판단하였고, 고트프리트 딘스트 주심은 골을 선언했다. 이 골은 결국 결승골이 되었다. 그러나 나중에 다시 확인해 본 결과 공이 골라인을 완전하게 넘지 않은 것이 확인되었고, 월드컵 역사를 대표하는 오심으로 남게 되었다.[6]

조별 리그[편집]

A조[편집]

승점 경기
Flag of England.svg 잉글랜드 5 3 2 1 0 4 0 +4
Flag of Uruguay.svg 우루과이 4 3 1 2 0 2 1 +1
Flag of Mexico (1934-1968).svg 멕시코 2 3 0 2 1 1 3 -2
Flag of France (1794–1815, 1830–1974, 2020–present).svg 프랑스 1 3 0 1 2 2 5 -3
1966년 7월 11일
19:30
잉글랜드 Flag of England.svg 0 – 0 Flag of Uruguay.svg 우루과이 웸블리 스타디움 (런던)
관중: 87,000
심판: 졸트 이슈트반 헝가리
리포트

1966년 7월 13일
19:30
프랑스 Flag of France (1794–1815, 1830–1974, 2020–present).svg 1 – 1 Flag of Mexico (1934-1968).svg 멕시코 웸블리 스타디움 (런던)
관중: 69,000
심판: 메나헴 아슈케나즈 이스라엘
오세 62분에 득점 62′ 리포트 48분에 득점 48′ 보르하

1966년 7월 15일
19:30
우루과이 Flag of Uruguay.svg 2 – 1 Flag of France (1794–1815, 1830–1974, 2020–present).svg 프랑스 화이트 시티 경기장 (런던)
관중: 40,000
심판: 카롤 갈바 체코슬로바키아
로차 26분에 득점 26′
코르테스 31분에 득점 31′
리포트 15분에 득점 15′ (페널티골) 드 부르고잉

1966년 7월 16일
15:00
잉글랜드 Flag of England.svg 2 – 0 Flag of Mexico (1934-1968).svg 멕시코 웸블리 스타디움 (런던)
관중: 92,000
심판: 콘세토 로 벨로 이탈리아
B. 찰턴 37분에 득점 37′
헌트 75분에 득점 75′
리포트

1966년 7월 19일
16:30
멕시코 Flag of Mexico (1934-1968).svg 0 – 0 Flag of Uruguay.svg 우루과이 웸블리 스타디움 (런던)
관중: 61,000
심판: 베르틸 뢰 스웨덴
리포트

1966년 7월 20일
19:30
잉글랜드 Flag of England.svg 2 – 0 Flag of France (1794–1815, 1830–1974, 2020–present).svg 프랑스 웸블리 스타디움 (런던)
관중: 98,000
심판: 아르투로 야마사키 말도나도 페루
헌트 38분, 75분에 득점 38′75′ 리포트

B조[편집]

승점 경기
Flag of Germany.svg 서독 5 3 2 1 0 7 1 +6
Flag of Argentina.svg 아르헨티나 5 3 2 1 0 4 1 +3
Flag of Spain (1945–1977).svg 스페인 2 3 1 0 2 4 5 -1
Flag of Switzerland.svg 스위스 0 3 0 0 3 1 9 -8
1966년 7월 12일
19:30
서독 Flag of Germany.svg 5 – 0 Flag of Switzerland.svg 스위스 힐즈브러 스타디움 (셰필드)
관중: 36,000
심판: 휴 필립스 스코틀랜드
헬트 33분에 득점 33′
할러 20분에 득점 20′ 77분에 득점 77′ (페널티골)
베켄바워 39분에 득점 39′ 52분에 득점 52′
리포트

1966년 7월 13일
19:30
아르헨티나 Flag of Argentina.svg 2 – 1 Flag of Spain (1945–1977).svg 스페인 빌라 파크 (버밍엄)
관중: 47,000
심판: 디미테르 루멘체프 불가리아
아르티메 65분에 득점 65′ 79분에 득점 79′ 리포트 67분에 득점 67′ 피리

1966년 7월 15일
19:30
스페인 Flag of Spain (1945–1977).svg 2 – 1 Flag of Switzerland.svg 스위스 힐즈브러 스타디움 (셰필드)
관중: 15,000
심판: 토피크 바크라모프 소련
산치스 57분에 득점 57′
아만시오 75분에 득점 75′
리포트 28분에 득점 28′ 캉탱

1966년 7월 16일
15:00
서독 Flag of Germany.svg 0 – 0 Flag of Argentina.svg 아르헨티나 빌라 파크 (버밍엄)
관중: 35,000
심판: 콘스탄틴 제세비치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 공화국
리포트

1966년 7월 19일
19:30
아르헨티나 Flag of Argentina.svg 2 – 0 Flag of Switzerland.svg 스위스 힐즈브러 스타디움 (셰필드)
관중: 20,000
심판: 호아킴 캄포스 포르투갈
아르티메 57분에 득점 57′
오네가 75분에 득점 75′
리포트

1966년 7월 20일
19:30
서독 Flag of Germany.svg 2 – 1 Flag of Spain (1945–1977).svg 스페인 빌라 파크 (버밍엄)
관중: 22,000
심판: 아르만도 마르케스 브라질
에머리히 38분에 득점 38′
젤러 84분에 득점 84′
리포트 22분에 득점 22′ 푸스테

C조[편집]

승점 경기
Flag of Portugal.svg 포르투갈 6 3 3 0 0 9 2 +7
Flag of Hungary.svg 헝가리 4 3 2 0 1 7 5 +2
Flag of Brazil (1960–1968).svg 브라질 2 3 1 0 2 4 6 -2
Flag of Bulgaria (1948–1967).svg 불가리아 0 3 0 0 3 1 8 -7
1966년 7월 12일
19:30
브라질 Flag of Brazil (1960–1968).svg 2 – 0 Flag of Bulgaria (1948–1967).svg 불가리아 구디슨 파크 (리버풀)
관중: 48,000
심판: 쿠르트 첸처 서독
펠레 15분에 득점 15′
가린샤 63분에 득점 63′
리포트

1966년 7월 13일
19:30
포르투갈 Flag of Portugal.svg 3 – 1 Flag of Hungary.svg 헝가리 올드 트래퍼드 (맨체스터)
관중: 37,000
심판: 네오 캘러헌 웨일스
조제 아우구스투 1분, 67분에 득점 1′67′
토레스 90분에 득점 90′
리포트 60분에 득점 60′ 베네

1966년 7월 15일
19:30
헝가리 Flag of Hungary.svg 3 – 1 Flag of Brazil (1960–1968).svg 브라질 구디슨 파크 (리버풀)
관중: 52,000
심판: 켄 대그널 잉글랜드
베네 2분에 득점 2′
파르카시 64분에 득점 64′
메쇨리 73분에 득점 73′ (페널티골)
리포트 14분에 득점 14′ 토스탕

1966년 7월 16일
15:00
포르투갈 Flag of Portugal.svg 3 – 0 Flag of Bulgaria (1948–1967).svg 불가리아 올드 트래퍼드 (맨체스터)
관중: 26,000
심판: 호세 마리아 코데살 우루과이
부초프 17분에 득점 17′ (자책골)
에우제비우 38분에 득점 38′
토레스 81분에 득점 81′
리포트

1966년 7월 19일
19:30
포르투갈 Flag of Portugal.svg 3 – 1 Flag of Brazil (1960–1968).svg 브라질 구디슨 파크 (리버풀)
관중: 62,000
심판: 조지 맥케이브 잉글랜드
시몽에스 15분에 득점 15′
에우제비우 27분, 85분에 득점 27′85′
리포트 70분에 득점 70′ 히우두

1966년 7월 20일
19:30
헝가리 Flag of Hungary.svg 3 – 1 Flag of Bulgaria (1948–1967).svg 불가리아 올드 트래퍼드 (맨체스터)
관중: 22,000
심판: 로베르트 고이코체아 아르헨티나
다비도프 43분에 득점 43′ (자책골)
메쇨리 45분에 득점 45′
베네 54분에 득점 54′
리포트 15분에 득점 15′ 아스파루호프

D조[편집]

승점 경기
Flag of the Soviet Union.svg 소련 6 3 3 0 0 6 1 +5
Flag of North Korea.svg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3 3 1 1 1 2 4 -2
Flag of Italy.svg 이탈리아 2 3 1 0 2 2 2 0
Flag of Chile.svg 칠레 1 3 0 1 2 2 5 -3
1966년 7월 12일
19:30
소련 Flag of the Soviet Union.svg 3 – 0 Flag of North Korea.svg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에이섬 파크 (미들즈브러)
관중: 23,000
심판: 후안 가르데아사발 가라이 스페인
말로페예프 12분에 득점 12′ 88분에 득점 88′
바니솁스키 33분에 득점 33′

1966년 7월 13일
19:30
이탈리아 Flag of Italy.svg 2 – 0 Flag of Chile.svg 칠레 로커 파크 (선덜랜드)
관중: 33,000
심판: 고트프리트 딘스트 스위스
마촐라 8분에 득점 8′
바리손 88분에 득점 88′

1966년 7월 15일
19:30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Flag of North Korea.svg 1 – 1 Flag of Chile.svg 칠레 에이섬 파크 (미들즈브러)
관중: 15,000
심판: 알리 칸딜 아랍 연합 공화국
박승진 88분에 득점 88′ 26분에 득점 26′ (페널티골) 마르코스

1966년 7월 16일
15:00
소련 Flag of the Soviet Union.svg 1 – 0 Flag of Italy.svg 이탈리아 로커 파크 (선덜랜드)
관중: 35,000
심판: 루돌프 크레이틀린 서독
치슬렌코 57분에 득점 57′

1966년 7월 19일
19:30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Flag of North Korea.svg 1 – 0 Flag of Italy.svg 이탈리아 에이섬 파크 (미들즈브러)
관중: 20,000
심판: 피에르 슈빈테 프랑스
박두익 42분에 득점 42′

1966년 7월 20일
19:30
소련 Flag of the Soviet Union.svg 2 – 1 Flag of Chile.svg 칠레 로커 파크 (선덜랜드)
관중: 22,000
심판: 존 아다이르 북아일랜드
포르쿠얀 28분에 득점 28′ 85분에 득점 85′ 32분에 득점 32′ 마르코스

결선 토너먼트[편집]

 
8강준결승결승
 
          
 
7월 23일 - 셰필드
 
 
Flag of Germany.svg 서독4
 
7월 25일 - 리버풀
 
Flag of Uruguay.svg 우루과이0
 
Flag of Germany.svg 서독2
 
7월 23일 - 선덜랜드
 
Flag of the Soviet Union.svg 소련1
 
Flag of the Soviet Union.svg 소련2
 
7월 30일 - 런던
 
Flag of Hungary.svg 헝가리1
 
Flag of Germany.svg 서독2
 
7월 23일 - 런던
 
Flag of England.svg 잉글랜드 (AET)4
 
Flag of England.svg 잉글랜드1
 
7월 26일 - 런던
 
Flag of Argentina.svg 아르헨티나0
 
Flag of England.svg 잉글랜드2
 
7월 23일 - 리버풀
 
Flag of Portugal.svg 포르투갈1 3위 결정전
 
Flag of Portugal.svg 포르투갈5
 
7월 28일 - 런던
 
Flag of North Korea.svg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3
 
Flag of the Soviet Union.svg 소련1
 
 
Flag of Portugal.svg 포르투갈2
 

8강전[편집]

1966년 7월 23일
15:00
포르투갈 Flag of Portugal.svg 5 – 3 Flag of North Korea.svg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구디슨 파크 (리버풀)
관중: 51,780
심판: 메나헴 아슈케나즈 이스라엘
에우제비우 27분, 43분, 56분, 59분에 득점 27′43′ (페널티골)56′59′ (페널티골)
조제 아우구스투 80분에 득점 80′
리포트 1분에 득점 1′ 박승진
22분에 득점 22′ 리동운
25분에 득점 25′ 양성국

1966년 7월 23일
15:00
서독 Flag of Germany.svg 4 – 0 Flag of Uruguay.svg 우루과이 힐즈브러 경기장 (셰필드)
관중: 34,000
심판: 짐 피니 잉글랜드
할러 11분에 득점 11′ 83분에 득점 83′
베켄바워 70분에 득점 70′
젤러 75분에 득점 75′
리포트

1966년 7월 23일
15:00
소련 Flag of the Soviet Union.svg 2 – 1 Flag of Hungary.svg 헝가리 로커 파크 (선덜랜드)
관중: 22,100
심판: 후안 가르데아사발 가라이 스페인
치슬렌코 5분에 득점 5′
포르쿠얀 46분에 득점 46′
리포트 57분에 득점 57′ 베네

1966년 7월 23일
15:00
잉글랜드 Flag of England.svg 1 – 0 Flag of Argentina.svg 아르헨티나 웸블리 스타디움 (런던)
관중: 90,000
심판: 루돌프 크레이틀린 서독
허스트 78분에 득점 78′ 리포트

4강전[편집]

1966년 7월 25일
19:30
서독 Flag of Germany.svg 2 – 1 Flag of the Soviet Union.svg 소련 구디슨 파크 (리버풀)
관중: 38,300
심판: 콘세토 로 벨로 이탈리아
할러 42분에 득점 42′
베켄바워 67분에 득점 67′
리포트 88분에 득점 88′ 포르쿠얀

1966년 7월 26일
19:30
잉글랜드 Flag of England.svg 2 – 1 Flag of Portugal.svg 포르투갈 웸블리 스타디움 (런던)
관중: 95,000
심판: 피에르 슈빈테 프랑스
B. 찰턴 30분, 80분에 득점 30′80′ 리포트 82분에 득점 82′ (페널티골) 에우제비우

3·4위전[편집]

1966년 7월 28일
19:30
포르투갈 Flag of Portugal.svg 2 – 1 소련 소련 웸블리 스타디움 (런던)
관중: 88,000
심판: 켄 대그널 잉글랜드
에우제비우 12분에 득점 12′ (페널티골)
토레스 89분에 득점 89′
43분에 득점 43′ 말로페예프

결승전[편집]

1966년 7월 30일
15:00
잉글랜드 Flag of England.svg 4 – 2
(연장)
서독 서독 웸블리 스타디움 (런던)
관중: 98,000
심판: 고트프리트 딘스트 스위스
허스트 18분에 득점 18′ 101분에 득점 101′ 120분에 득점 120′
피터스 78분에 득점 78′
12분에 득점 12′ 할러
89분에 득점 89′ 베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