칠레 축구 국가대표팀

칠레 | |||
---|---|---|---|
![]() | |||
별칭 | La Roja | ||
연맹 | 칠레 축구 연맹 (FFCH) | ||
대륙 | 남미 축구 연맹 (CONMEBOL) | ||
감독 | ![]() | ||
주장 | 가리 메델 | ||
최다 출전자 | 클라우디오 브라보 (116) 알렉시스 산체스 (116) | ||
최다 득점자 | 알렉시스 산체스 (38) | ||
홈 구장 | 에스타디오 나시오날 데 칠레 | ||
FIFA 코드 | CHI | ||
| |||
FIFA 랭킹 | |||
현재 | 이 페이지에서 확인하세요 | ||
최고 순위 | 6위 (1998년 4월) | ||
최저 순위 | 84위 (2002년 12월) | ||
첫 국제 경기 출전 | |||
![]() ![]() (아르헨티나, 부에노스아이레스; 1910년 5월 27일) | |||
최다 점수차 승리 | |||
![]() ![]() (칠레, 산티아고; 1979년 8월 29일, 1979년 코파 아메리카) ![]() ![]() (칠레, 비나델마르; 1997년 4월 1일) ![]() ![]() (미국, 샌프란시스코; 2016년 6월 19일, 코파 아메리카 센테나리오) | |||
최다 점수차 패배 | |||
![]() ![]() (브라질, 리우데자네이루; 1959년 9월 17일) | |||
월드컵 | |||
출전 횟수 | 9회 (1930년에 처음 출전) | ||
최고 성적 | 3위 (1962년) | ||
코파 아메리카 | |||
출전 횟수 | 36회 (1916년에 처음 출전) | ||
최고 성적 | 우승 (2015년, 2016년) | ||
컨페더레이션스컵 | |||
출전 횟수 | 1회 (2017년에 처음 출전) | ||
최고 성적 | 준우승 (2017년) |
메달 기록 | |||
---|---|---|---|
![]() | |||
남자 축구 | |||
올림픽 | |||
동 | 2000 시드니 | 축구 |
칠레 축구 국가대표팀(Selección de fútbol de Chile)은 칠레를 대표하는 축구 국가대표팀으로 브라질, 아르헨티나, 우루과이, 콜롬비아와 함께 남미 축구 5대 강호로 손꼽히는 팀들 가운데 하나다. 1910년 5월 27일 아르헨티나와의 친선 경기에서 국제 A매치 첫 경기를 치렀으며 현재 에스타디오 나시오날 데 칠레를 홈 구장으로 사용하고 있다.
국제 대회 경력[편집]
FIFA 월드컵[편집]
1930년 대회 첫 출전에 2승 1패라는 준수한 성과를 올린 이후 현재까지 월드컵 본선에 9번 출전하여 자국에서 열린 1962년 대회에서 3위를 차지하면서 역대 최고 성적을 거두었다. 그리고 나머지 7번의 본선에서 4번의 조별리그 탈락, 3번의 16강 진출을 기록했다. 그러나 2018년 FIFA 월드컵 남미 지역 예선에서 8승 2무 8패·최종 6위에 그쳐 3회 연속이자 통산 10번째 월드컵 본선 진출에 실패했다.
코파 아메리카[편집]
오랜 역사를 자랑하는 이 대회에는 39번 출전하여 2000년대 이전에는 준우승만 4번(1955년, 1956년, 1979년, 1987년)을 기록했지만 2000년대에 들어서면서 2회 연속 우승(2015년, 2016년)을 달성하며 마침내 국제 대회 우승의 한을 풀었다.
FIFA 컨페더레이션스컵[편집]
코파 아메리카 센테나리오 우승팀 자격으로 2017년 FIFA 컨페더레이션스컵에 처음으로 출전하여 B조 조별리그에서 1승 2무를 기록하며 독일에 이어 조 2위로 4강에 진출했고 포르투갈과의 4강전에서 치열한 공방전을 벌였으나 0-0으로 승부를 가리지 못한 채 승부차기까지 이어졌고 결국 승부차기에서 3-0으로 승리를 거두며 결승에 진출했지만 독일과의 결승전에서 0-1으로 패하며 준우승을 차지했다.
하계 올림픽[편집]
성인대표팀 시절에는 3번 출전하여 1984년 대회에서 8강에 진출했고 U-23 대표팀으로는 2000년 대회에서 동메달을 목에 걸면서 사상 첫 올림픽 메달이라는 쾌거를 이뤘다. 그러나 이후의 올림픽 본선 기록은 전무하다.
팬아메리칸 게임[편집]
팬아메리칸 게임에는 5번 출전하여 은메달 1개(1987년), 동메달 2개(1951년, 1963년)를 획득했으며 1995년 대회에서는 8강에 진출했고 1983년 대회에서는 1승 2무라는 나쁘지 않은 성적을 거두었음에도 조별리그 탈락의 고배를 마셨다.
국제대회 기록[편집]
FIFA 월드컵[편집]
FIFA 월드컵 본선 기록 | FIFA 월드컵 예선 기록 | |||||||||||||||||
---|---|---|---|---|---|---|---|---|---|---|---|---|---|---|---|---|---|---|
년도 | 결과 | 순위 | 경기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승점 | 순위 | 경기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승점 | |
![]() |
조별리그 | 5위 | 3 | 2 | 0 | 1 | 5 | 3 | 6 | 자동참가[1] | ||||||||
![]() |
기권 | 기권 | ||||||||||||||||
![]() |
불참 | 불참 | ||||||||||||||||
![]() |
조별리그 | 9위 | 3 | 1 | 0 | 2 | 5 | 6 | 3 | 자동진출(아르헨티나 기권)[2] | ||||||||
![]() |
예선 탈락 | 3위[3] | 4 | 0 | 0 | 4 | 1 | 10 | 0 | |||||||||
![]() |
2조 3위[4] | 4 | 1 | 0 | 3 | 2 | 10 | 3 | ||||||||||
![]() |
4강 | 3위 | 6 | 4 | 0 | 2 | 10 | 8 | 12 | 자동참가(개최국) | ||||||||
![]() |
조별리그 | 13위 | 3 | 0 | 1 | 2 | 2 | 5 | 1 | 2조 1위[5] | 5 | 3 | 1 | 1 | 14 | 8 | 10 | |
![]() |
예선 탈락 | 3조 2위[6] | 4 | 1 | 2 | 1 | 5 | 4 | 5 | |||||||||
![]() |
조별리그 | 11위 | 3 | 0 | 2 | 1 | 1 | 2 | 2 | 3조 1위[7] | 4 | 2 | 1 | 1 | 4 | 3 | 7 | |
![]() |
예선 탈락 | 3조 2위[8] | 4 | 2 | 1 | 1 | 5 | 3 | 7 | |||||||||
![]() |
조별리그 | 22위 | 3 | 0 | 0 | 3 | 3 | 8 | 0 | 3조 1위[9] | 4 | 3 | 1 | 0 | 6 | 0 | 10 | |
![]() |
예선 탈락 | 2조 2위[10] | 8 | 4 | 2 | 2 | 17 | 12 | 14 | |||||||||
![]() |
예선 도중 실격 | 3조 실격[11] | 4 | 2 | 1 | 1 | 9 | 4 | 7(예선 도중 실격) | |||||||||
![]() |
출전 금지(전 대회 예선에서의 징계로 인해) | 자격박탈(전 대회 징계)[12] | ||||||||||||||||
![]() |
16강 | 16위 | 4 | 0 | 3 | 1 | 5 | 8 | 3 | 4위[13] | 16 | 7 | 4 | 5 | 32 | 18 | 25 | |
![]() ![]() |
예선 탈락 | 10위[14] | 18 | 3 | 3 | 12 | 15 | 27 | 12 | |||||||||
![]() |
7위[15] | 18 | 5 | 7 | 6 | 18 | 22 | 22 | ||||||||||
![]() |
16강 | 10위 | 4 | 2 | 0 | 2 | 3 | 5 | 6 | 2위[16] | 18 | 10 | 3 | 5 | 32 | 22 | 33 | |
![]() |
16강 | 9위 | 4 | 2 | 1 | 1 | 6 | 4 | 7 | 3위[17] | 16 | 9 | 1 | 6 | 29 | 25 | 28 | |
![]() |
예선 탈락 | 6위[18] | 18 | 8 | 2 | 8 | 26 | 27 | 26 | |||||||||
합계 | 9회 진출(9/21) | 4강(3위 1회) | 33 | 11 | 7 | 15 | 40 | 49 | 40 | 합계 | 145 | 60 | 29 | 56 | 215 | 195 | 209 | |
순위 | FIFA 월드컵 역대 순위 : 21위 | 월드컵 예선 승점 순위 : 33위 (남미 6위) |
CONMEBOL 코파 아메리카[편집]
CONMEBOL 코파 아메리카 기록 | |||||||||
---|---|---|---|---|---|---|---|---|---|
년도 | 결과 | 순위 | 경기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승점 |
남미 축구 선수권 대회 | |||||||||
![]() |
결선리그 | 4위 | 3 | 0 | 1 | 2 | 2 | 11 | 1 |
![]() |
결선리그 | 4위 | 3 | 0 | 0 | 3 | 0 | 10 | 0 |
![]() |
결선리그 | 4위 | 3 | 0 | 0 | 3 | 1 | 12 | 0 |
![]() |
결선리그 | 4위 | 3 | 0 | 1 | 2 | 2 | 4 | 1 |
![]() |
기권 | ||||||||
![]() |
결선리그 | 5위 | 4 | 0 | 1 | 3 | 1 | 10 | 1 |
![]() |
기권 | ||||||||
![]() |
결선리그 | 4위 | 3 | 0 | 0 | 3 | 1 | 10 | 0 |
![]() |
기권 | ||||||||
![]() |
결선리그 | 3위 | 4 | 2 | 1 | 1 | 14 | 6 | 7 |
![]() |
기권 | ||||||||
![]() | |||||||||
![]() |
결선리그 | 4위 | 3 | 0 | 0 | 3 | 2 | 7 | 0 |
![]() |
결선리그 | 5위 | 5 | 1 | 1 | 3 | 12 | 13 | 4 |
![]() |
결선리그 | 4위 | 4 | 1 | 0 | 3 | 8 | 12 | 3 |
![]() |
결선리그 | 3위 | 4 | 2 | 0 | 2 | 6 | 3 | 6 |
![]() |
결선리그 | 6위 | 6 | 1 | 1 | 4 | 4 | 15 | 4 |
![]() |
결선리그 | 3위 | 6 | 4 | 1 | 1 | 15 | 5 | 13 |
![]() |
결선리그 | 5위 | 5 | 2 | 0 | 3 | 8 | 11 | 6 |
![]() |
결선리그 | 4위 | 7 | 4 | 1 | 2 | 14 | 13 | 13 |
![]() |
결선리그 | 5위 | 7 | 2 | 1 | 4 | 10 | 14 | 7 |
![]() |
결선리그 | 3위 | 6 | 2 | 2 | 2 | 10 | 10 | 8 |
![]() |
결선리그 | 준우승 | 5 | 3 | 1 | 1 | 19 | 8 | 10 |
![]() |
결선리그 | 준우승 | 5 | 3 | 0 | 2 | 11 | 8 | 9 |
![]() |
결선리그 | 6위 | 6 | 1 | 1 | 4 | 9 | 17 | 4 |
![]() |
결선리그 | 5위 | 6 | 2 | 1 | 3 | 9 | 14 | 7 |
![]() |
기권 | ||||||||
![]() | |||||||||
![]() |
결선리그 | 3위 | 5 | 2 | 2 | 1 | 8 | 6 | 8 |
CONMEBOL 코파 아메리카 | |||||||||
1975년[25] | 예선탈락 | 6위 | 4 | 1 | 1 | 2 | 7 | 6 | 4 |
1979년[26] | 준우승 | 2위 | 9 | 4 | 3 | 2 | 13 | 6 | 15 |
1983년[27] | 예선탈락 | 5위 | 4 | 2 | 1 | 1 | 8 | 2 | 7 |
![]() |
준우승 | 2위 | 4 | 3 | 0 | 1 | 9 | 3 | 9 |
![]() |
예선탈락 | 5위 | 4 | 2 | 0 | 2 | 7 | 5 | 6 |
![]() |
4강 | 3위 | 7 | 3 | 2 | 2 | 11 | 6 | 11 |
![]() |
예선탈락 | 9위 | 3 | 1 | 0 | 2 | 3 | 4 | 3 |
![]() |
예선탈락 | 11위 | 3 | 0 | 1 | 2 | 3 | 8 | 1 |
![]() |
예선탈락 | 11위 | 3 | 0 | 0 | 3 | 1 | 5 | 0 |
![]() |
4강 | 4위 | 6 | 2 | 1 | 3 | 8 | 7 | 7 |
![]() |
8강 | 7위 | 4 | 2 | 0 | 2 | 5 | 5 | 6 |
![]() |
예선탈락 | 10위 | 3 | 0 | 1 | 2 | 2 | 4 | 1 |
![]() |
8강 | 8위 | 4 | 1 | 1 | 2 | 4 | 11 | 4 |
![]() |
8강 | 5위 | 4 | 2 | 1 | 1 | 5 | 4 | 7 |
![]() |
우승 | 1위 | 6 | 4 | 2 | 0 | 13 | 4 | 14 |
![]() |
우승 | 1위 | 6 | 4 | 1 | 1 | 16 | 5 | 13 |
![]() |
4강 | 4위 | 6 | 2 | 1 | 3 | 7 | 7 | 7 |
합계 | 39회 진출(39/46) | 우승(2회) | 183 | 65 | 32 | 86 | 288 | 311 | 227 |
순위 | CONMEBOL 코파 아메리카 순위 : 5위 |
FIFA 컨페더레이션스컵[편집]
FIFA 컨페더레이션스컵 기록 | |||||||||
---|---|---|---|---|---|---|---|---|---|
년도 | 결과 | 순위 | 경기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승점 |
![]() |
진출 실패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준우승 | 2위 | 5 | 1 | 3 | 1 | 4 | 3 | 6 |
합계 | 1회 진출(1/10) | 준우승(1회) | 5 | 1 | 3 | 1 | 4 | 3 | 6 |
순위 | FIFA 컨페더레이션스컵 역대 순위: 20위 |
하계 올림픽[편집]
올림픽 축구 기록 | |||||||||
---|---|---|---|---|---|---|---|---|---|
년도 | 결과 | 순위 | 경기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승점 |
![]() |
불참 | ||||||||
![]() | |||||||||
![]() | |||||||||
![]() | |||||||||
![]() | |||||||||
![]() | |||||||||
![]() |
예비라운드 | 17위 | 0 | 0 | 0 | 1 | 2 | 4 | 0 |
![]() |
불참 | ||||||||
![]() | |||||||||
![]() |
예비라운드 | 17위 | 1 | 0 | 0 | 1 | 4 | 5 | 0 |
![]() |
진출 실패 | ||||||||
![]() | |||||||||
![]() | |||||||||
![]() | |||||||||
![]() | |||||||||
![]() | |||||||||
![]() |
불참[30] | ||||||||
![]() |
8강 | 7위 | 4 | 1 | 2 | 1 | 2 | 2 | 5 |
![]() |
진출 실패 | ||||||||
![]() | |||||||||
![]() | |||||||||
![]() |
동메달 | 3위 | 6 | 4 | 0 | 2 | 14 | 6 | 12 |
![]() |
진출 실패 | ||||||||
![]() | |||||||||
![]() | |||||||||
![]() | |||||||||
합계 | 동메달(1회) | 4회 진출(4/26) | 11 | 5 | 2 | 5 | 22 | 17 | 17 |
팬아메리칸 게임[편집]
팬아메리칸 게임 기록 | |||||||||
---|---|---|---|---|---|---|---|---|---|
년도 | 결과 | 순위 | 경기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승점 |
![]() |
동메달 | 3위 | 4 | 1 | 2 | 1 | 8 | 6 | 5 |
![]() |
불참 | ||||||||
![]() | |||||||||
![]() |
동메달 | 3위 | 4 | 2 | 1 | 1 | 12 | 6 | 7 |
![]() |
진출 실패 | ||||||||
![]() | |||||||||
![]() | |||||||||
![]() | |||||||||
![]() |
조별리그 | 4위 | 3 | 1 | 2 | 0 | 3 | 2 | 5 |
![]() |
은메달 | 준우승 | 5 | 2 | 2 | 1 | 6 | 6 | 8 |
![]() |
진출 실패 | ||||||||
![]() |
8강 | 8위 | 4 | 1 | 1 | 2 | 3 | 6 | 4 |
![]() |
불참 | ||||||||
![]() | |||||||||
![]() | |||||||||
![]() | |||||||||
![]() | |||||||||
합계 | 5회 진출(5/17) | 은메달(1회) | 20 | 7 | 8 | 5 | 32 | 26 | 29 |
최근 경기[편집]
2018년[편집]
친선 경기 2018년 3월 24일 | 스웨덴 ![]() |
1 - 2 | ![]() |
스톡홀름(솔나), 스웨덴 | ||
20:45 UTC+1 | 경기장: 프렌즈 아레나
| |||||
친선 경기 2018년 3월 27일 | 덴마크 ![]() |
0 - 0 | ![]() |
올보르, 덴마크 | ||
20:45 UTC+2 |
| |||||
친선 경기 2018년 5월 31일 | 루마니아 ![]() |
3 - 2 | ![]() |
하르트베르크, 오스트리아 | ||
19:45 UTC+2 |
| |||||
친선 경기 2018년 6월 4일 | 세르비아 ![]() |
0 - 1 | ![]() |
그라츠, 오스트리아 | ||
20:45 UTC+2 |
| |||||
친선 경기 2018년 6월 8일 | 폴란드 ![]() |
2 - 2 | ![]() |
포즈난, 폴란드 | ||
20:45 UTC+2 |
| |||||
친선 경기 2018년 9월 7일 | 일본 ![]() |
'취소' | ![]() |
삿포로, 일본 | ||
??:?? UTC+3 | 경기장: 삿포로돔
| |||||
친선 경기 2018년 9월 11일 | 대한민국 ![]() |
0 - 0 | ![]() |
수원, 대한민국 | ||
20:00 UTC+9 | 경기장: 수원월드컵경기장
| |||||
친선 경기 2018년 10월 12일 | 페루 ![]() |
3 - 0 | ![]() |
마이애미, 플로리다주, 미국 | ||
??:?? UTC-4 |
| |||||
친선 경기 2018년 10월 16일 | 멕시코 ![]() |
0 - 1 | ![]() |
멕시코 시티, 멕시코 | ||
??:?? UTC-6 | 경기장: 아스테카 경기장
| |||||
친선 경기 2018년 11월 ?일 | 칠레 ![]() |
4 - 1 | ![]() |
산티아고데칠레, 칠레 | ||
??:?? UTC-3 | 경기장: 국립경기장
| |||||
선수[편집]
현재 선수 명단[편집]
출장 수와 골 수는 2019년 10월 15일 기니전 이후 기록이다
|
최근 차출[편집]
|
주목할 만한 선수[편집]
- 레오넬 산체스
- 엘리아스 피게로아
- 이반 사모라노
- 마르셀로 살라스
- 파블로 콘트레라스
- 움베르토 수아소
- 마르크 곤살레스
- 마티아스 페르난데스
- 루이스 안토니오 히메네스
- 알렉시스 산체스
- 아르투로 비달
- 클라우디오 브라보
- 가리 메델
각주[편집]
- ↑ 첫 월드컵이어서 예선전을 따로 치르지 않았고 신청하는 모든 팀이 본선에서 뛰었다.
- ↑ 1946년 FIFA 월드컵을 아르헨티나가 개최하기로 했으나 개최가 취소되었다. 이에 따라 아르헨티나 축구협회와 FIFA는 1950년 FIFA 월드컵을 아르헨티나에서 개최하기로 약속했다. 그러나 FIFA측에서 일방적으로 이 약속을 어기고 1950년 FIFA 월드컵의 개최권을 브라질로 넘겼고 아르헨티나는 약속을 어긴 FIFA에게 항의하기 위해서 이 월드컵에 불참했다.
- ↑ 신청국가가 적어서 풀리그로 예선을 치렀다. 4개국 중 페루마저 기권하고 브라질, 파라과이와의 승부에서 4전 4패하며 본선 진출에 실패했다.
- ↑ 남미 2조에서 아르헨티나, 볼리비아에 밀려 최하위로 떨어졌다.
- ↑ 남미 2조에서 콜롬비아를 누르고 에콰도르와 승점이 같아 플레이오프 끝에 2:1로 이기며 본선에 진출했다. 다만 골득실에선 칠레가 4점이 앞서 지금이라면 플레이오프 없이 곧바로 진출했을 것이다.
- ↑ 남미 3조에서 우루과이에 이어 조 2위를 기록하면서 본선 진출에 실패했다.
- ↑ 남미 3조 1위팀이 유럽 9조 1위와 붙기로 되었다. 베네수엘라가 기권하면서 페루 한팀과 붙었는데 두 팀 모두 홈에서 2:0으로 이기며 재경기 끝에 2:1로 승리, 플레이오프에 진출해 9조 1위 소련과의 원정경기에서 0:0으로 비겼으나, 홈경기를 앞두고 칠레에서 쿠데타가 일어나 소련에서 경기장소를 옮길 것을 요청하다 실격당했고, 결국 칠레가 본선에 진출했다.
- ↑ 남미 3조에서 페루에 이어 2위를 기록하면서 본선 진출에 실패했다.
- ↑ 남미 3조에서 에콰도르, 파라과이를 누르고 조 1위로 본선 진출에 성공했다. 칠레의 유일한 지역예선 무실점 대회였으나 정작 본선에선 3전 3패로 광탈한다.
- ↑ 남미 2조에서 우루과이에 이어 2위를 차지하며 플레이오프에 진출, 페루와의 경기에선 2전 2승 총합 4:2로 이겼지만 최종라운드에서 파라과이에 1무 1패 2:5로 패하며 다 잡은 본선티켓을 놓쳤다.
- ↑ 남미 3조에 속해 초반 세 경기를 2승 1무로 마치고 마지막 브라질 원정경기에서 0:1로 끌려가던 도중, 관중석에서 브라질 팬이 폭죽을 쐈고 동시에 칠레 골키퍼가 그라운드에 눈을 부여잡고 쓰러져 경기가 중단되었다. 그러나 알고보니 폭죽을 맞지 않았는데도 일부러 눈을 맞은 척하며 쓰러지는 액션을 취한 것이 드러나 칠레는 0:2 몰수패를 당하고 최종 실격처리, 다음 대회까지 출전이 금지되었다. 그러나 이미 0:1로 끌려가는 중이었고 무승부가 되어도 브라질이 골득실에 앞서 진출하는 상황이었고, 브라질이 월드컵 예선에서 패한 적이 이 당시까지는 단 한 번도 없었으므로 어차피 칠레는 탈락이나 마찬가지였다.
- ↑ 전 대회에서의 징계가 칠레의 탈락이 기정사실화 되었기 때문에 의미가 없다는 것을 인지한 FIFA 측에서 한번 더 징계를 내렸다.
- ↑ 이 대회부터 남미 예선이 풀리그로 진행되었다. 승점 25점으로 4위를 하며 본선에 턱걸이로 진출하였다.
- ↑ 18경기에서 고작 승점 12점에 그치며 베네수엘라, 볼리비아에게도 밀리며 최하위로 떨어지는 수모를 겪었다.
- ↑ 지난 대회보다는 나았지만 승점 22점에 그쳐 7위에 랭크되며 또다시 본선 진출에 실패했다.
- ↑ 예선 초기부터 이전과는 다른 모습을 보여주며 승점 33점으로 1위 브라질과 불과 1점차이로 2위에 랭크되며 가볍게 본선에 진출했다. 특히 주목할 점은 칠레 축구 역사상 최초로 아르헨티나를 이겼다는 점이다.
- ↑ 대회 초반 열 경기에서 4승 6패로 6위까지 떨어졌으나 이후 한 경기도 패하지 않고 5승 1무를 쌓으며 최종 3위로 본선에 안착했다. 지역예선을 연속으로 통과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었다.
- ↑ 마지막 경기를 앞두고 3위였으나 마지막경기에서 페루가 콜롬비아한테 패배하고 칠레가 브라질한테 승리 또는 무승부만해도 최소 플레이오프 진출이 가능했다 하지만 브라질한테 3대0으로 패배하였고 페루가 콜롬비아랑 1대1무승부로 끝났다.같은날 6위였던 아르헨티나 가 에콰도르를 3대1로 승리 하여 칠레와 아르헨티나순위가 바뀌어버렸다.승점이 페루랑 동률을 이뤘지만 골득실로 페루가 득실2앞서며 6위로 한끝차이로 떨어졌다.
- ↑ 아르헨티나에서 열린 첫 코파아메리카 대회에 우루과이, 아르헨티나, 브라질과 함께 참여했다. 최종 4위지만 대회 최하위였으므로 빨간색으로 표시한다.
- ↑ 최하위를 탈출한 첫 대회(!)였다.
- ↑ 여기서부턴 참가국이 4개국 이상이어서 4위가 최하위가 아니므로 기존대로 파란색으로 표시한다.
- ↑ 39년만에 처음으로 최종 2위까지 올라가며 준우승의 영광을 가져갔다.
- ↑ 2연속 준우승에 사상 최초로 최다 득점 팀이 되었고 최다 득점 선수를 배출하며 인상적인 활약을 펼쳤다.
- ↑ 코파아메리카 역사상 유일하게 지역예선을 치뤘던 대회였고, 콜롬비아를 1승 1무(총합 5:2)로 누르고 본선에 올라서 최종 3위를 기록했다.
- ↑ 개최국 없이 각 국가에 분산되어 경기가 열렸으며, 이 대회부터 풀리그가 아닌 조별리그+토너먼트 형식으로 진행되었다.
- ↑ 개최국 없이 각 국가에 분산되어 경기가 열렸다. 결승전까지 올라 파라과이와 1승 1패(1득점 3실점)로 재경기를 했지만 여기서도 0:0으로 비겨, 결국 득실에 앞서는 파라과이에 우승컵을 안겼다. 칠레의 코파아메리카 사상 가장 우승에 근접한 대회였다.
- ↑ 개최국 없이 각 국가에 분산되어 경기가 열렸다.
- ↑ 20년만에 개최국을 다시 선정하기 시작했으며, 아르헨티나가 그 주인공이 되었다. 8년만에 결승에 진출했지만 우루과이에 0:1로 패해 네 번째 준우승을 거뒀는데, 조별리그에서 브라질을 4:0으로 이기고 올라와 파란을 일으켰다.
- ↑ 참가국을 12개로 확대해 타 대륙팀을 초청하기 시작했고, 첫 초청국은 멕시코와 미국으로 결정되었다. 그리고 토너먼트를 8강까지 확대하면서 지금과 같은 대회가 완성되었다.
- ↑ 적성국인 소련에서 경기가 열려 칠레를 비롯한 자유 진영 대다수 국가들이 불참했다.
- ↑ 가 나 다 라 마 바 사 모든 연령의 선수 참가에서 23세 이하로 변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