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축구 국가대표팀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일본
일본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 (2017).png
별칭사무라이 블루 (サムライ・ブルー)
연맹일본축구협회
대륙AFC (아시아)
지역 연맹EAFF (동아시아)
감독모리야스 하지메
주장요시다 마야
최다 출전자엔도 야스히토 (152)
최다 득점자가마모토 구니시게 (75)
홈 구장도쿄 신국립 경기장
FIFA 코드JPN
FIFA 랭킹
현재26위 (2021년 11월 19일)
최고 순위9위 (1998년 2월-3월)
최저 순위62위 (2000년 2월)
첫 국제 경기 출전
비공식
Flag of Japan (1870–1999).svg 일본 0 - 5 중화민국 중화민국
(일본 도쿄; 1917년 5월 9일)
공식
Flag of Japan (1870–1999).svg 일본 7 - 2 필리핀 Flag of the Philippines (1919–1936).svg
(일본 도쿄; 1930년 5월 25일)
최다 점수차 승리
Flag of Japan (1870–1999).svg 일본 15 - 0 필리핀 Flag of the Philippines (navy blue).svg
(일본 도쿄; 1967년 9월 27일)
최다 점수차 패배
비공식
Flag of Japan (1870–1999).svg 일본 2 - 15 필리핀 Flag of the United States (1908–1912).svg
(일본 도쿄; 1917년 5월 10일)
공식
Flag of Japan (1870–1999).svg 일본 0 - 8 이탈리아 Flag of Italy (1861–1946).svg
(독일 베를린; 1936년 8월 7일)
월드컵
출전 횟수7회 (1998년에 처음 출전)
최고 성적16강 (2002년, 2010년, 2018년, 2022년)
AFC 아시안컵
출전 횟수9회 (1988년에 처음 출전)
최고 성적우승 (1992년, 2000년, 2004년, 2011년)
컨페더레이션스컵
출전 횟수5회 (1995년에 처음 출전)
최고 성적준우승 (2001년)

일본 축구 국가대표팀(일본어: サッカー日本代表 삿카 닛폰 다이효[*]→축구 일본 대표)은 일본의 축구 국가대표팀으로 일본축구협회에서 운영하고 있으며 사무라이 블루라는 별칭으로 알려져 있는 명실상부한 아시아 최고의 강팀 중 하나이며 최대 라이벌은 대한민국이다. 일본은 1990년대가 되어서야 프로 리그가 생겼을 만큼 그 이전까진 축구에 큰 관심을 보이는 국가가 아니었으나 2000년대부터는 야구 다음 가는 인기를 누리게 되었다. 1917년 5월 9일 대만과의 경기에서 첫 경기를 치렀지만 이는 공식적으로 인정되지 않는 경기이며 공식적인 첫 경기는 1930년 5월 25일 열린 필리핀과의 경기로 현재 도쿄 신국립 경기장을 홈 구장으로 사용하고 있다.

역사[편집]

FIFA 월드컵[편집]

1998년 FIFA 월드컵 이전[편집]

1954년 FIFA 월드컵 아시아 지역 예선을 시작으로 1994년 FIFA 월드컵 아시아 지역 예선까지 월드컵 본선의 문을 계속 두드렸지만 번번이 예선에서 탈락했고 특히 1994년 월드컵 지역 예선에서는 9승 3무 1패의 높은 승률에도 불구하고 이라크와의 최종 예선 마지막 경기에서 2-1로 앞선 후반 막판 상대팀인 자파르 움란에 통한의 동점골을 허용하며 같은 시각 북한을 3-0으로 이긴 대한민국에게 본선 티켓을 내주고 말았다. 이를 두고 대한민국에서는 도하의 기적이라고 불리고 있지만 일본에서는 도하의 비극으로 불리고 있다.

1998년 FIFA 월드컵 이후[편집]

1994년 대회까지 번번이 지역 예선에서 탈락하다가 1998년 FIFA 월드컵에서야 사상 첫 월드컵 본선 무대를 밟았다. 이후 이 대회를 시작으로 7회 연속 월드컵 본선에 출전하여 이 중 4번의 대회(2002년, 2010년, 2018년, 2022년)에서 16강에 진출했지만 2002년 대회에서는 튀르키예, 2010년 대회에서는 파라과이, 2018년 대회에서는 벨기에, 2022년 대회에서는 크로아티아에 밀려 4번 모두 8강 진출에는 실패했다.

AFC 아시안컵[편집]

아시안컵 본선에는 9번 출전하여 이 중 4번의 대회(1992년, 2000년, 2004년, 2011년)에서 우승했는데 이는 본 대회 최다 우승 기록이다. 또한 첫 출전해서 조별리그에서 탈락했던 1988년 대회를 제외하고 이후 8번의 대회에서 모두 8강 이상의 성적을 달성했다.

FIFA 컨페더레이션스컵[편집]

컨페더레이션스컵에는 5번 출전했는데 이는 아시아 국가 중 최다 출전 기록이다. 이 중 홈에서 열린 2001년 대회에서 준우승을 차지했는데 이는 일본 축구 국가대표팀이 FIFA 주관 대회에서 달성한 역대 최고 성적이다.

아시안 게임[편집]

성인 대표팀 시절에는 13번의 대회에 모두 출전했고 1951년 대회1966년 대회에서 각각 동메달을 획득했다. 그리고 U-23 대표팀으로는 5번 출전하여 2010년 대회에서 금메달을 획득했고 2002년 대회2018년 대회에서는 은메달을 획득했다.

하계 올림픽[편집]

성인 대표팀 시절에는 4번 출전하여 1968년 대회에서 동메달을 획득하면서 세계 대회 첫 성과를 거두었고 이에 앞서 처음으로 출전한 1936년 하계 올림픽에서는 1924년 하계 올림픽 동메달에 빛나는 북유럽의 강호 스웨덴과의 1라운드에서 3-2로 꺾고 8강에 진출하는 이변을 일으켰는데 당시 이 경기는 '베를린의 기적'으로 불렸으며 이후 자국에서 열린 1964년 하계 올림픽에서는 28년 만에 올림픽 8강에 진출했다. 그리고 U-23 대표팀으로는 7번 출전하여 2012년 대회에서 1968년 이후 44년 만에 준결승에 올랐지만 준결승에서는 멕시코에게, 3위 결정전에서는 대한민국에게 연달아 패하며 메달 획득에 실패했다.

EAFF E-1 풋볼 챔피언십[편집]

전신인 다이너스티컵을 비롯해 13번 출전하여 이 중 5번의 대회(1992년, 1995년, 1998년, 2013년, 2022년)에서 우승했다.

코파 아메리카[편집]

코파 아메리카에는 초청국 자격으로 2번(1999년, 2019년) 출전했지만 2번 모두 조별리그에서 탈락했다.[1]

팀 이미지[편집]

유니폼 변천사[편집]

위키미디어 공용에 일본 축구 국가대표팀 유니폼 관련 미디어 자료가 있습니다.

최근 경기 결과 및 일정[편집]

날짜 상대팀 결과 점수* 장소 대회"
2022년 1월 27일 중화인민공화국 중화인민공화국 2-0 일본 사이타마현 사이타마시 사이타마 스타디움 2002 2022년 FIFA 월드컵 아시아 지역 3차 예선
2022년 2월 1일 사우디아라비아 사우디아라비아 2-0 일본 사이타마현 사이타마시 사이타마 스타디움 2002 2022년 FIFA 월드컵 아시아 지역 3차 예선
2022년 3월 24일 오스트레일리아 오스트레일리아 2-0 오스트레일리아 시드니 스타디움 오스트레일리아 2022년 FIFA 월드컵 아시아 지역 3차 예선
2022년 3월 29일 베트남 베트남 1-1 일본 사이타마현 사이타마시 사이타마 스타디움 2002 2022년 FIFA 월드컵 아시아 지역 3차 예선
2022년 6월 2일 파라과이 파라과이 4-1 일본 홋카이도 삿포로 삿포로 돔 친선경기
2022년 6월 6일 브라질 브라질 0-1 일본 도쿄 도쿄국립경기장 친선경기
2022년 6월 10일 가나 가나 4-1 일본 효고 현 고베 미사키 공원 구기장 친선경기(기린컵 준결승)
2022년 6월 14일 튀니지 튀니지 0-3 일본 오사카 부 스이타 시 시립 스이타 사커 스타디움 친선경기(기린컵 결승)
2022년 7월 19일 Flag of Hong Kong.svg 홍콩 6-0 일본 이바라키 현 가시마 시 2022년 EAFF E-1 풋볼 챔피언십
2022년 7월 24일 Flag of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svg 중화인민공화국 0-0 일본 아이치 현 도요타 시 2022년 EAFF E-1 풋볼 챔피언십
2022년 7월 27일 Flag of South Korea.svg 대한민국 3-0 일본 아이치 현 도요타 시 2022년 EAFF E-1 풋볼 챔피언십
2022년 9월 23일 Flag of the United States.svg 미국 2-0 독일 뒤셀도르프 메르쿠어 슈필 아레나 친선경기
2022년 9월 27일 에콰도르 에콰도르 0-0 독일 뒤셀도르프 메르쿠어 슈필 아레나 친선경기
2022년 11월 17일 Flag of Canada.svg 캐나다 아랍에미리트 두바이 알막툼 스타디움 친선경기
2022년 11월 23일 Flag of Germany.svg 독일 2-1 카타르 도하, 칼리파 국제경기장 2022년 FIFA 월드컵 E조
2022년 11월 27일 코스타리카 코스타리카 0-1 카타르 알라이얀, 아흐메드 빈 알리 경기장 2022년 FIFA 월드컵 E조
2022년 12월 1일 스페인 스페인 2-1 카타르 도하, 칼리파 국제경기장 2022년 FIFA 월드컵 E조
2022년 12월 5일 크로아티아 크로아티아 1-1(연장); 1(승부차기)3 카타르 알와크라, 알자누브 스타디움 2022년 FIFA 월드컵 16강전

* 일본의 점수를 앞에 표시

  승리   무승부   패배

코칭스태프[편집]

역대 감독[편집]

이름 활동 기간
니노미야 히로카즈 1951
다케노코시 시게마루 1951–1956
다카하시 히데토키 1957
가와모토 다이조 1958
다케노코시 시게마루 1958–1959
다카하시 히데토키 1960–1962
나가누마 겐 1962–1969
오카노 슈니치로 1970–1971
나가누마 겐 1972–1976
니노미야 히로시 1976–1978
시모무라 유키오 1979–1980
와타나베 마사시 1980
가와부치 사부로 1980–1981
모리 다카지 1981–1985
이시이 요시노부 1986–1987
요코야마 겐조 1988–1991
한스 오프트 1992–1993
파우캉 1994
가모 슈 1994–1997
오카다 다케시 1997–1998
필리프 트루시에 1998–2002
코임브라 지코 2002–2006
이비차 오심 2006–2007
오카다 다케시 2007–2010
알베르토 차케로니 2010-2014
하비에르 아기레 2014-2015
바히드 할릴호지치 2015-2018
니시노 아키라 2018
모리야스 하지메 2018-

선수[편집]

현재 선수 명단[편집]

2023년 3월 15일 일본 축구 협회에서 발표한 2023년 3월 24일과 3월 28일, 우루과이콜롬비아와의 기린컵 친선경기에 참가할 대표팀 최종 선수 명단이다.
참가경기 수와 골 수는 2023년 3월 24일 우루과이와 맞대결한 경기 기준이다.

번호 위치 선수 생년월일 (나이) 출전 득점 소속
GK 다니엘 슈미트 1992년 2월 3일(1992-02-03)(31세) 12 0 벨기에 신트트라위던 VV
GK 오사코 게이스케 1999년 7월 28일(1999-07-28)(23세) 3 0 일본 산프레체 히로시마
GK 다니 고세이 2000년 11월 22일(2000-11-22)(22세) 1 0 일본 감바 오사카
DF 이타쿠라 고 1997년 1월 27일(1997-01-27)(26세) 17 1 독일 보루시아 묀헨글라트바흐
DF 이토 히로키 1999년 5월 12일(1999-05-12)(23세) 8 0 독일 VfB 슈투트가르트
DF 하시오카 다이키 1999년 5월 17일(1999-05-17)(23세) 3 0 벨기에 신트트라위던 VV
DF 스가와라 유키나리 2000년 6월 28일(2000-06-28)(22세) 2 0 네덜란드 AZ 알크마르
DF 세코 아유무 2000년 6월 7일(2000-06-07)(22세) 1 0 스위스 그라스호퍼
DF 마치다 코키 1997년 8월 25일(1997-08-25)(25세) 0 0 벨기에 위니옹 SG
DF 후지 하루야 2000년 12월 26일(2000-12-26)(22세) 0 0 일본 나고야 그램퍼스
DF 카시프 뱅나간데 2001년 9월 24일(2001-09-24)(21세) 0 0 일본 FC 도쿄
DF 한다 리쿠 2002년 1월 1일(2002-01-01)(21세) 0 0 일본 감바 오사카
MF 엔도 와타루 1993년 2월 9일(1993-02-09)(30세) 48 2 독일 VfB 슈투트가르트
MF 이토 준야 1993년 3월 9일(1993-03-09)(30세) 43 9 프랑스 스타드 드 랭스
MF 도안 리쓰 1998년 6월 16일(1998-06-16)(24세) 34 5 독일 SC 프라이부르크
MF 가마다 다이치 1996년 8월 5일(1996-08-05)(26세) 27 6 독일 아인트라흐트 프랑크푸르트
MF 구보 다케후사 2001년 6월 4일(2001-06-04)(21세) 22 1 스페인 레알 소시에다드
MF 모리타 히데마사 1995년 5월 10일(1995-05-10)(27세) 20 2 포르투갈 스포르팅 CP
MF 다나카 아오 1998년 9월 10일(1998-09-10)(24세) 19 3 독일 포르투나 뒤셀도르프
MF 미토마 가오루 1997년 5월 20일(1997-05-20)(25세) 14 5 잉글랜드 브라이턴 & 호브 앨비언
MF 나카무라 케이토 2000년 7월 28일(2000-07-28)(22세) 1 0 오스트리아 LASK
FW 아사노 다쿠마 1994년 11월 10일(1994-11-10)(28세) 42 8 독일 VfL 보훔
FW 우에다 아야세 1998년 8월 28일(1998-08-28)(24세) 13 0 벨기에 세르클러 브뤼허
FW 마에다 다이젠 1997년 10월 20일(1997-10-20)(25세) 11 2 스코틀랜드 셀틱
FW 마치노 슈토 1999년 9월 30일(1999-09-30)(23세) 4 3 일본 쇼난 벨마레
FW 니시무라 다쿠마 1996년 10월 22일(1996-10-22)(26세) 4 3 일본 요코하마 F. 마리노스

최근 차출된 선수[편집]

아래 명단은 최근 1년 사이에 차출된 일본 대표팀 선수 명단이다.

위치 선수 생년월일 (나이) 출전 득점 소속 최근 소집
GK 곤다 슈이치 1989년 3월 3일(1989-03-03)(34세) 38 0 일본 시미즈 에스펄스 2022년 FIFA 월드컵
GK 가와시마 에이지 1983년 3월 20일(1983-03-20)(40세) 95 0 프랑스 RC 스트라스부르 2022년 FIFA 월드컵은퇴
GK 스즈키 시온 2002년 8월 22일(2002-08-22)(20세) 1 0 일본 우라와 레드 다이아몬즈 2022년 EAFF E-1 풋볼 챔피언십
DF 도미야스 다케히로 1998년 11월 5일(1998-11-05)(24세) 32 1 잉글랜드 아스널 2023년 3월 24일 우루과이 우루과이부상
DF 쓰노다 료타로 1999년 6월 27일(1999-06-27)(23세) 0 0 일본 요코하마 F. 마리노스 2023년 3월 24일 우루과이 우루과이부상
DF 나가토모 유토 1986년 9월 12일(1986-09-12)(36세) 142 4 일본 FC 도쿄 2022년 FIFA 월드컵
DF 요시다 마야 (주장) 1988년 8월 24일(1988-08-24)(34세) 126 12 독일 샬케 04 2022년 FIFA 월드컵
DF 사카이 히로키 1990년 4월 12일(1990-04-12)(32세) 74 1 일본 우라와 레드 다이아몬즈 2022년 FIFA 월드컵
DF 다니구치 쇼고 1991년 7월 15일(1991-07-15)(31세) 16 0 카타르 알라이얀 2022년 FIFA 월드컵
DF 야마네 미키 1993년 12월 22일(1993-12-22)(29세) 16 2 일본 가와사키 프론탈레 2022년 FIFA 월드컵
DF 나카야마 유타 1997년 2월 16일(1997-02-16)(26세) 17 0 잉글랜드 허더즈필드 타운 2022년 FIFA 월드컵부상
DF 사사키 쇼 1989년 10월 2일(1989-10-02)(33세) 15 2 일본 산프레체 히로시마 2022년 EAFF E-1 풋볼 챔피언십
DF 하타나카 신노스케 1995년 8월 25일(1995-08-25)(27세) 10 0 일본 요코하마 F. 마리노스 2022년 EAFF E-1 풋볼 챔피언십
DF 나카타니 신노스케 1996년 3월 24일(1996-03-24)(27세) 5 0 일본 나고야 그램퍼스 2022년 EAFF E-1 풋볼 챔피언십
DF 스기오카 다이키 1998년 9월 8일(1998-09-08)(24세) 5 0 일본 쇼난 벨마레 2022년 EAFF E-1 풋볼 챔피언십
DF 고이케 류타 1995년 8월 29일(1995-08-29)(27세) 2 0 일본 요코하마 F. 마리노스 2022년 EAFF E-1 풋볼 챔피언십
DF 아라키 하야토 1996년 8월 7일(1996-08-07)(26세) 1 0 일본 산프레체 히로시마 2022년 EAFF E-1 풋볼 챔피언십
DF 오미나미 다쿠마 1997년 12월 13일(1997-12-13)(25세) 1 0 일본 가와사키 프론탈레 2022년 EAFF E-1 풋볼 챔피언십
DF 우에다 나오미치 1994년 10월 24일(1994-10-24)(28세) 16 1 일본 가시마 앤틀러스 2022년 3월 29일, 베트남 베트남
MF 시바사키 가쿠 1992년 5월 28일(1992-05-28)(30세) 60 3 스페인 CD 레가네스 2022년 FIFA 월드컵
MF 미나미노 다쿠미 1995년 1월 16일(1995-01-16)(28세) 47 17 프랑스 AS 모나코[2] 2022년 FIFA 월드컵
MF 소마 유키 1997년 2월 25일(1997-02-25)(26세) 9 4 포르투갈 카사 피아 2022년 FIFA 월드컵
MF 하라구치 겐키 1991년 5월 9일(1991-05-09)(31세) 74 11 독일 VfB 슈투트가르트 2022년 9월 27일, 에콰도르 에콰도르
MF 하타테 레오 1997년 11월 21일(1997-11-21)(25세) 1 0 스코틀랜드 셀틱 2022년 9월 27일, 에콰도르 에콰도르
MF 하시모토 겐토 1993년 8월 16일(1993-08-16)(29세) 15 1 스페인 SD 우에스카 2022년 EAFF E-1 풋볼 챔피언십
MF 미야이치 료 1992년 12월 14일(1992-12-14)(30세) 5 0 일본 요코하마 F. 마리노스 2022년 EAFF E-1 풋볼 챔피언십
MF 이와타 도모키 1997년 4월 7일(1997-04-07)(25세) 4 0 스코틀랜드 셀틱 2022년 EAFF E-1 풋볼 챔피언십
MF 모리시마 쓰카사 1997년 4월 25일(1997-04-25)(25세) 4 0 일본 산프레체 히로시마 2022년 EAFF E-1 풋볼 챔피언십
MF 와키자카 야스토 1995년 6월 11일(1995-06-11)(27세) 4 0 일본 가와사키 프론탈레 2022년 EAFF E-1 풋볼 챔피언십
MF 후지타 조에루 치마 2002년 2월 16일(2002-02-16)(21세) 2 0 일본 요코하마 F. 마리노스 2022년 EAFF E-1 풋볼 챔피언십
MF 미즈누마 고타 1990년 2월 22일(1990-02-22)(33세) 2 0 일본 요코하마 F. 마리노스 2022년 EAFF E-1 풋볼 챔피언십
MF 노쓰다 가쿠토 1994년 6월 6일(1994-06-06)(28세) 1 0 일본 산프레체 히로시마 2022년 EAFF E-1 풋볼 챔피언십
FW 후루하시 쿄고 1995년 1월 20일(1995-01-20)(28세) 16 3 스코틀랜드 셀틱 2022년 9월 27일, 에콰도르 에콰도르
FW 무토 요시노리 1992년 7월 15일(1992-07-15)(30세) 29 3 일본 비셀 고베 2022년 EAFF E-1 풋볼 챔피언십부상
FW 미쓰타 마코토 1999년 7월 20일(1999-07-20)(23세) 2 0 일본 산프레체 히로시마 2022년 EAFF E-1 풋볼 챔피언십
FW 호소야 마오 2001년 9월 7일(2001-09-07)(21세) 1 0 일본 가시와 레이솔 2022년 EAFF E-1 풋볼 챔피언십
FW 이와사키 유토 1998년 6월 11일(1998-06-11)(24세) 1 0 일본 사간 도스 2022년 EAFF E-1 풋볼 챔피언십
FW 하야시 다이치 1997년 5월 23일(1997-05-23)(25세) 0 0 벨기에 신트트라위던 VV 2022년 3월 29일, 베트남 베트남

주요 성적[편집]

개인 기록[편집]

선수 기록[편집]

감독 기록[편집]

팀 기록[편집]

국제대회 기록[편집]

FIFA 월드컵[편집]

FIFA 월드컵 본선 기록 FIFA 월드컵 예선 기록
년도 결과 순위 경기 무* 득점 실점 승점 경기 무* 득점 실점 승점
우루과이 1930년 불참 불참
이탈리아 왕국 1934년
프랑스 1938년 기권 기권
브라질 1950년 출전 금지 출전 금지
스위스 1954년 예선 탈락 2 0 1 1 3 7 1
스웨덴 1958년 불참 불참
칠레 1962년 예선 탈락 2 0 0 2 1 4 0
잉글랜드 1966년 불참 불참
멕시코 1970년 예선 탈락 4 0 2 2 4 8 2
서독 1974년 4 1 0 3 5 4 3
아르헨티나 1978년 4 0 1 3 0 5 1
스페인 1982년 4 2 0 2 4 2 6
멕시코 1986년 8 5 1 2 15 5 16
이탈리아 1990년 6 2 3 1 7 3 9
미국 1994년 13 9 3 1 35 6 30
프랑스 1998년 조별리그 31위 3 0 0 3 1 4 0 15 9 5 1 51 12 32
대한민국일본 2002년 16강 9위 4 2 1 1 5 3 7 자동참가(개최국)
독일 2006년 조별리그 28위 3 0 1 2 2 7 1 12 11 0 1 25 5 33
남아프리카 공화국 2010년 16강 9위 4 2 1 1 4 2 7 14 8 4 2 23 9 28
브라질 2014년 조별리그 29위 3 0 1 2 2 6 1 14 8 3 3 30 8 27
러시아 2018년 16강 15위 4 1 1 2 6 7 4 18 13 3 2 44 7 42
카타르 2022년 16강 9위 4 2 1 1 5 4 7 18 15 1 2 58 6 46
캐나다멕시코미국 2026년 미정 미정
합계 7회 진출(7/22) 16강(4회) 25 7 6 12 25 33 27 134 80 26 28 305 91 266
순위 FIFA 월드컵 역대 순위 : 35위 월드컵 예선 승점 순위 : 23위 (아시아 5위)

FIFA 컨페더레이션스컵[편집]

FIFA 컨페드컵 기록
년도 결과 순위 경기 무* 득점 실점 승점
사우디아라비아 1992년 불참
사우디아라비아 1995년 조별리그 6위 2 0 0 2 1 8 0
사우디아라비아 1997년 진출 실패
멕시코 1999년
대한민국일본 2001년 준우승 2위 5 3 1 1 6 1 10
프랑스 2003년 조별리그 6위 3 1 0 2 4 3 3
독일 2005년 조별리그 5위 3 1 1 1 4 4 4
남아프리카 공화국 2009년 진출 실패
브라질 2013년 조별리그 7위 3 0 0 3 4 9 0
러시아 2017년 진출 실패
합계 5회 진출(5/10) 준우승(1회) 16 5 2 9 19 25 17
순위 FIFA 컨페더레이션스컵 역대 순위: 9위페지

하계 올림픽[편집]

올림픽 축구 기록
년도 결과 순위 경기 무* 득점 실점 승점
프랑스 1900년 불참
미국 1904년
영국 1908년
스웨덴 1912년
벨기에 1920년
프랑스 1924년
네덜란드 1928년
나치 독일 1936년 8강 8위 2 1 0 1 3 10 3
영국 1948년 출전 금지
핀란드 1952년 불참
오스트레일리아 1956년 1라운드 10위 1 0 0 1 0 2 0
이탈리아 1960년 진출 실패
일본 1964년 8강 8위 3 1 0 2 5 9 3
멕시코 1968년 동메달 3위 6 3 2 1 9 8 11
서독 1972년 진출 실패
캐나다 1976년
소련 1980년 불참[3]
미국 1984년 진출 실패
대한민국 1988년
합계 4회 진출(4/17) 동메달(1회) 12 5 2 5 17 29 17

AFC 아시안컵[편집]

AFC 아시안컵 본선 기록 AFC 아시안컵 예선 기록
년도 결과 순위 경기 무* 득점 실점 승점 경기 무* 득점 실점 승점
홍콩 1956년 기권 기권
대한민국 1960년
이스라엘 1964년
이란 1968년 예선 탈락 4 3 1 0 8 4 10
태국 1972년 기권 기권
이란 1976년 예선 탈락 5 2 1 2 4 4 7
쿠웨이트 1980년 기권 기권
싱가포르 1984년
카타르 1988년 조별리그 10위 4 0 1 3 0 6 1 4 2 1 1 6 3 7
일본 1992년 우승 1위 5 3 2 0 6 3 11 자동참가(개최국)
아랍에미리트 1996년 8강 5위 4 3 0 1 7 3 9 자동참가(전 대회 우승)
레바논 2000년 우승 1위 6 5 1 0 21 6 16 3 3 0 0 15 0 9
중국 2004년 우승 1위 6 4 2 0 13 6 14 자동참가(전 대회 우승)
인도네시아말레이시아태국베트남 2007년 준결승 4위 6 2 3 1 11 7 9 6 5 0 1 15 2 15
카타르 2011년 우승 1위 6 4 2 0 14 6 14 6 5 0 1 17 4 15
오스트레일리아 2015년 8강 5위 4 3 1 0 8 1 10 자동참가(전 대회 우승)
아랍에미리트 2019년 준우승 2위 7 6 0 1 12 6 18 8 7 1 0 27 0 22
border 링크= 2023년 본선 진출 8 8 0 0 46 2 24
합계 10회 진출(10/18) 우승(4회) 48 30 12 6 92 44 102 44 35 4 5 138 19 109
순위 AFC 아시안컵 역대 순위 : 3위

CONMEBOL 코파 아메리카[편집]

남미 대회이지만 일본은 특별 초청팀으로 1993년 이후 일부 대회에 참가했다.

코파 아메리카 기록
년도 결과 순위 경기 무* 득점 실점 승점
파라과이 1999년 예선탈락 10위 3 0 1 2 3 8 1
콜롬비아 2001년 불참
페루 2004년
베네수엘라 2007년
아르헨티나 2011년 기권
칠레 2015년
브라질 2019년 예선탈락 9위 3 0 2 1 3 7 2
합계 2회(초청) 예선탈락(2회) 6 0 3 3 6 15 3
순위 CONMEBOL 코파 아메리카 순위 : 16위

아시안 게임[편집]

아시안 게임 기록
년도 결과 순위 경기 무* 득점 실점 승점
인도 1951년 동메달 3위 3 1 1 1 4 3 4
필리핀 1954년 조별리그 10위 2 0 0 2 5 8 0
일본 1958년 조별리그 12위 2 0 0 2 0 3 0
인도네시아 1962년 조별리그 6위 3 1 0 2 3 4 3
태국 1966년 동메달 3위 7 6 0 1 18 5 18
태국 1970년 준결승 4위 7 5 0 2 8 5 15
이란 1974년 조별리그 9위 3 1 1 1 5 4 4
태국 1978년 조별리그 9위 3 1 0 2 5 5 3
인도 1982년 8강 5위 4 3 0 1 6 3 9
대한민국 1986년 조별리그 9위 4 2 0 2 9 4 6
중화인민공화국 1990년 8강 8위 3 1 0 2 3 3 3
일본 1994년 8강 7위 4 1 2 1 9 5 5
태국 1998년 16강 9위 5 3 0 2 8 4 9
합계 13회 출전(13/13) 동메달(2회) 50 25 4 21 83 56 79

EAFF 동아시안컵[편집]

EAFF 동아시안컵 기록
년도 순위 경기 무* 득점 실점 승점
다이너스티컵 기록
중화인민공화국 1990년 4위 3 0 0 3 0 4 0
중화인민공화국 1992년 우승 4 2 2 0 8 3 8
홍콩 1995년 우승 4 2 2 0 8 4 8
일본 1998년 우승 3 2 0 1 7 4 6
동아시안컵 기록
일본 2003년 준우승 3 2 1 0 3 0 7
대한민국 2005년 준우승 3 1 1 1 3 3 4
중화인민공화국 2008년 준우승 3 1 2 0 3 2 5
일본 2010년 3위 3 1 1 1 4 3 4
대한민국 2013년 우승 3 2 1 0 8 6 7
중화인민공화국 2015년 4위 3 0 2 1 3 4 2
E-1 풋볼 챔피언십 기록
일본 2017년 준우승 3 2 0 1 4 5 6
대한민국 2019년 준우승 3 2 0 1 7 2 6
합계 우승(4회) 38 17 12 9 58 40 63

같이 보기[편집]

각주[편집]

  1. 2011년 코파 아메리카 때는 초청을 받았지만 같은 해 도호쿠 지방 태평양 해역 지진이 발생하면서 기권했고, 2015년 코파 아메리카 때도 초청을 받았으나 마찬가지로 기권했다.
  2. AS 모나코프랑스 축구 리그 시스템에서 뛰는 모네가스크 클럽이다.
  3. 1980년 하계 올림픽은 대다수 서방 세계 국가들이 보이콧했고 일본 역시 이에 동참했기 때문에 예선 참가조차 하지 않았다.

외부 링크[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