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트남 축구 국가대표팀
베트남 | |||
---|---|---|---|
![]() | |||
연맹 | 베트남 축구 연맹 | ||
대륙 | 아시아 축구 연맹 | ||
감독 | ![]() | ||
주장 | 꾸에응옥하이 | ||
최다 출전자 | 레꽁빈 (83) | ||
최다 득점자 | 레꽁빈 (52) | ||
홈 구장 | 미딘 국립경기장 | ||
FIFA 코드 | VIE | ||
| |||
FIFA 랭킹 | |||
현재 | 이 페이지에서 확인하세요 | ||
최고 순위 | 84위 (1998년 9월) | ||
최저 순위 | 172위 (2006년 12월) | ||
첫 국제 경기 출전 | |||
![]() ![]() (중국; 1956년 10월 4일) ![]() ![]() (필리핀; 1991년 11월 26일) | |||
최다 점수차 승리 | |||
![]() ![]() (베트남, 호찌민 시; 2000년 1월 23일, 2000년 AFC 아시안컵 예선) | |||
최다 점수차 패배 | |||
![]() ![]() (말레이시아, 쿠알라룸푸르; 1997년 2월 26일) ![]() ![]() (대한민국, 인천; 2003년 9월 29일, 2004년 AFC 아시안컵 예선) ![]() ![]() (대한민국, 인천; 2003년 9월 25일, 2004년 AFC 아시안컵 예선) | |||
AFC 아시안컵 | |||
출전 횟수 | 5회 (1956년에 처음 출전) | ||
최고 성적 | 8강 (2007년, 2019년) |
베트남 축구 국가대표팀(베트남어: Đội tuyển bóng đá quốc gia Việt Nam)은 베트남을 대표하는 축구 국가대표팀으로 베트남 축구 연맹에서 운영하고 있다. 태국과는 동남아시아 축구 최대 라이벌 관계에 있으며 현재 동남아시아 축구 강호로 급부상하고 있다.
개요[편집]
남북이 분단되었을 당시에는 남베트남이 유일한 베트남의 합법적인 축구협회로 인정받았으나 1975년에 북베트남에 의해 통일이 되면서 지금은 단일 대표팀으로 출전하고 있다. 또한 1954년부터 1976년 사이의 남베트남의 기록이 공식 이관되면서 남베트남 축구 대표팀 기록은 현재의 베트남 축구 국가대표팀 역사에 공식적으로 승계되고 있다.
역사[편집]
박항서 감독 부임 이전[편집]
아시안컵[편집]
베트남이 예선통과 후 처음으로 아시안컵 본선 무대를 밟은 건 1956년 대회였으며 이 대회에 이어 1960년 대회에서 4위를 차지했지만 그 당시 결선리그에 출전한 팀은 단 4팀 뿐이었기 때문에 이 기록은 실질적으로 무의미하며 이후 44년동안 한번도 아시안컵 본선에 나가지 못했다가 동남아 4개국에서 열린 2007년 대회에서 공동 개최국 자격으로 47년만에 본선에 올라 이 대회에서 사상 첫 8강 진출을 이뤄냈는데 이는 개최한 동남아 4개국 가운데 3팀(인도네시아, 태국, 말레이시아)은 모두 조별리그에서 탈락하고 베트남만 유일하게 8강 토너먼트에 진출한 대회가 되었다. 그러나 2011년 대회와 2015년 대회에서는 모두 예선에서 탈락하면서 본선 진출에 실패했다.
아시안 게임[편집]
베트남은 1954년 아시안 게임 축구를 통해 처음으로 아시안 게임 무대를 밟았으며 이후 1958년 대회에서는 8강에 올랐고 그 다음 대회인 1962년 대회에선 사상 처음으로 아시안 게임 축구 4강에 진출했다. 이후 U-23 대표팀을 포함한 5번의 대회에서는 모두 조별리그에서 탈락했고 2010년 대회와 2014년 대회에서는 2회 연속으로 16강에 진출하면서 1962년 대회 4강 이후 오랜만에 토너먼트 진출에 성공했다.
박항서 감독 부임 이후[편집]
베트남의 돌풍[편집]
2017년 9월 베트남 축구 연맹이 박항서 창원시청 축구단 감독을 선임한 후 약체였던 베트남은 2018년 AFC U-23 챔피언십에서 준우승의 돌풍을 일으켰고 2018년 아시안 게임에서는 1962년 대회 이후 무려 56년만에 아시안 게임 축구 4강에 올랐으며 2018년 AFF 스즈키컵에서는 말레이시아를 상대로 결승 1·2차전 합계 3-2로 꺾고 6승 2무의 성적으로 2008년 대회 이후 무려 10년만에 통산 2번째 우승컵을 품에 안으면서 5회 우승의 태국, 4회 우승의 싱가포르에 이어 3번째로 가장 많은 우승을 차지했으며 아울러 A매치 16경기 연속 무패 행진으로 2018년 FIFA 월드컵 우승팀 프랑스의 A매치 15경기 연속 무패 기록을 경신하면서 기존의 약체의 이미지를 벗어나 동남아시아의 최강팀으로 우뚝 섰다. 이런 엄청난 활약에 힘입어 FIFA 랭킹도 100위까지 끌어올렸다.
12년만의 아시안컵 8강 신화[편집]
2018년 AFF 스즈키컵 우승 이후 벌어진 북한과의 평가전에서 1-1로 비겼고 2019년 AFC 아시안컵 처녀 출전팀이자 2014년 AFC 챌린지컵 준우승팀인 필리핀과의 경기에서는 4-2로 승리를 거두면서 A매치 연속 무패 기록을 18경기로 늘렸다. 그리고 이에 앞서 2019년 AFC 아시안컵 3차 예선 C조에서 2승 4무로 요르단에 이어 조 2위로 2007년 대회 이후 12년만에 통산 4번째 아시안컵 본선에 진출했다. 12년만에 출전한 4번째 본선에서 D조 첫 상대이자 2007년 대회 우승팀인 이라크를 상대로 대등한 경기력을 펼쳤지만 결국 2-3으로 아쉽게 석패하면서 A매치 무패 기록이 18경기에서 멈춰섰고 아시안컵 3회 우승에 빛나는 아시아 최강팀인 이란과의 2차전에서도 0-2로 패하면서 조별리그 탈락의 위기를 맞았다. 그러나 조 최약체이자 아시안컵 첫 출전국인 예멘과의 조별리그 최종전에서 에이스 응우옌꽝하이와 주장 꾸에응옥하이의 연속골로 2-0의 승리를 거두면서 대회 첫 승이자 아시안컵 통산 2승째를 신고했고 E조 3위 레바논과 승점, 다득점, 득실차에서 모두 동률을 이뤘으나 페어플레이 점수에서 앞서면서 극적으로 16강 토너먼트 진출에 성공했다. 그 후 요르단과의 16강전에서는 승부차기까지 가는 혈전 끝에 4-2로 승리를 거두며 2007년 대회 이후 12년만에 8강에 진출하는 기염을 토했다. 비록 8강에서 일본에게 0-1로 졌지만 12년만의 8강 신화를 작성하면서 또 한번 동남아시아 최강국의 입지를 다졌다.
60년만의 우승[편집]
1959년 동남아시아반도 경기 대회 금메달 이후 58년동안 은메달 4개, 동메달 5개를 따내는데 그친 베트남은 60년만이자 U-23 대표팀 최초의 동남아시아 경기 대회 우승 도전을 위해 나섰다. 그리고 B조 조별리그에서 4승 1무의 성적을 거두며 4승 1패를 기록한 인도네시아, 3승 1무 1패를 기록한 최대의 라이벌 태국을 따돌리고 조 1위로 가볍게 4강 티켓을 따냈다. 그리고 사상 처음으로 동남아시아 경기 대회 4강에 오른 캄보디아를 4-0으로 꺾고 결승에 진출하며 60년만의 정상 탈환 문턱까지 다다랐다. 그리고 조별리그에서 이미 한번 이겨본 경험이 있는 인도네시아를 상대로 또 다시 3-0의 압승을 거두며 1959년 이후 60년만에 통산 2번째 금메달을 따내면서 오랫동안 풀지 못했던 동남아시아 경기 대회 우승의 한을 마침내 풀었으며 U-23 대표팀으로는 사상 최초로 동남아시아 경기 대회에서 우승을 거머쥐었다.
월드컵 최종 예선 진출[편집]
2022년 FIFA 월드컵 아시아 지역 2차 예선에서 중동의 강호 아랍에미리트를 비롯해 같은 동남아시아 국가인 인도네시아, 태국, 말레이시아와 G조에 편성된 베트남은 1차전에서 태국과 0-0으로 비겼고 이후 2차전부터 4차전까지 말레이시아, 인도네시아, 아랍에미리트를 상대로 3연승을 거두었다. 그 뒤 태국과의 5차전에서도 득점없이 비겼고 코로나19 범유행의 여파로 중립 지역인 아랍에미리트 두바이에서 열린 6차전과 7차전에서 인도네시아와 말레이시아를 연거푸 잡아내며 사상 첫 최종 예선 진출의 8부 능선을 넘었으며 비록 홈팀인 아랍에미리트와의 최종전에서는 2-3으로 아쉽게 석패하며 조 2위를 마크했지만 와일드카드 4위로 동남아시아 국가로는 2018년 FIFA 월드컵 아시아 지역 최종 예선에 올랐던 라이벌 태국에 이어 2번째로 최종 예선 진출 및 통산 5번째 아시안컵 본선 진출에 성공하며 베트남 축구 역사에 또 다른 한 획을 그었다.
월드컵 최종 예선 첫 승[편집]
사상 처음으로 월드컵 아시아 지역 최종 예선 진출에 성공한 베트남은 호주, 일본, 오만, 중국, 사우디아라비아 등의 강호들과 함께 B조에 편성되며 조 최약체로 평가받기에 이르렀다. 그리고 예상대로 7경기에서 승점 1점도 따지 못하고 전패를 당하면서 결국 일찌감치 월드컵 본선 출전이 좌절되고 말았다. 그러나 2022년 2월 1일 홈에서 열린 8차전에서 전반 9분 호딴따이, 전반 16분 응우옌띠엔린, 후반 30분 판반득의 릴레이골로 후반 종료 직전 쉬신이 1골 만회한 데 그친 중국을 3-1로 꺾고 3차전에서의 패배를 설욕함과 동시에 동남아시아 국가로는 최초로 월드컵 지역 최종 예선에서의 역사적인 첫 승을 올리면서 베트남 홈 팬들에게 큰 기쁨을 안겨주었다. 그리고 1달 후 일본 원정에서 열린 최종 10차전에서 1-1 무승부를 거두는 파란을 일으키면서 중국과의 8차전 승리 이후 또 다시 승점을 추가하며 유종의 미를 거두었다.
기타 국제 대회 경력[편집]
베트남 독립컵에서는 무려 6번의 우승컵을 들어올렸고 준우승도 2번 차지했다. 또한 1966년 메르데카 국제축구대회 우승, 1999년 던힐컵 4강, 2006년과 2019년 킹스컵 준우승, 2006년 VTV-T&T컵 3위, VFF컵 3회 준우승, 2016년 아야뱅크컵 우승, 2018년 비나폰 4개국 초청 대회 우승 등 아시아에서 열린 다른 국제 대회에서도 상당히 준수한 성적들을 거두었다.
FIFA 월드컵 (본선)[편집]
년도 | 결과 | 순위 | 경기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승점 |
---|---|---|---|---|---|---|---|---|---|
![]() |
독립 이전(프랑스 식민지) | ||||||||
![]() | |||||||||
![]() | |||||||||
![]() | |||||||||
![]() | |||||||||
![]() |
불참[1] | ||||||||
![]() | |||||||||
![]() | |||||||||
![]() | |||||||||
![]() |
예선 탈락 | ||||||||
![]() |
불참 | ||||||||
![]() | |||||||||
![]() | |||||||||
![]() | |||||||||
![]() |
예선 탈락 | ||||||||
![]() | |||||||||
![]() ![]() | |||||||||
![]() | |||||||||
![]() | |||||||||
![]() | |||||||||
![]() | |||||||||
![]() | |||||||||
합계 |
FIFA 월드컵 (예선)[편집]
년도 | 경기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승점 |
---|---|---|---|---|---|---|---|
![]() |
독립 이전 | ||||||
![]() | |||||||
![]() | |||||||
![]() | |||||||
![]() | |||||||
![]() |
불참[3] | ||||||
![]() | |||||||
![]() | |||||||
![]() | |||||||
![]() |
3 | 1 | 0 | 2 | 1 | 5 | 3 |
![]() |
불참 | ||||||
![]() | |||||||
![]() | |||||||
![]() | |||||||
![]() |
8 | 1 | 0 | 7 | 4 | 18 | 3 |
![]() |
6 | 0 | 0 | 6 | 2 | 21 | 0 |
![]() ![]() |
6 | 3 | 1 | 2 | 9 | 9 | 10 |
![]() |
6 | 1 | 1 | 4 | 5 | 9 | 4 |
![]() |
2 | 0 | 0 | 2 | 0 | 6 | 0 |
![]() |
4 | 3 | 0 | 1 | 15 | 5 | 9 |
![]() |
6 | 2 | 1 | 3 | 7 | 8 | 7 |
![]() |
18 | 6 | 3 | 9 | 20 | 24 | 21 |
합계 | 58 | 17 | 5 | 36 | 62 | 104 | 56 |
순위 | 월드컵 예선 승점 순위 : 139위 (아시아 28위) |
AFC 아시안컵 (본선)[편집]
AFC 아시안컵 기록 | |||||||||
---|---|---|---|---|---|---|---|---|---|
년도 | 결과 | 순위 | 경기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승점 |
![]() |
결선리그 | 4위 | 3 | 0 | 1 | 2 | 6 | 9 | 1 |
![]() |
결선리그 | 4위 | 3 | 0 | 0 | 3 | 2 | 12 | 0 |
![]() |
예선 탈락 | ||||||||
![]() | |||||||||
![]() |
기권 | ||||||||
![]() |
예선 탈락 | ||||||||
![]() |
기권 | ||||||||
![]() |
불참 | ||||||||
![]() | |||||||||
![]() | |||||||||
![]() |
예선 탈락 | ||||||||
![]() | |||||||||
![]() | |||||||||
![]() ![]() ![]() ![]() |
8강 | 8위 | 4 | 1 | 1 | 2 | 4 | 7 | 4 |
![]() |
예선 탈락 | ||||||||
![]() | |||||||||
![]() |
8강 | 8위 | 5 | 1 | 1 | 3 | 5 | 7 | 4 |
![]() |
본선 진출 | ||||||||
합계 | 4회 진출(5/18) | 8강(2회) | 15 | 2 | 3 | 10 | 17 | 35 | 9 |
순위 | AFC 아시안컵 역대 순위 : 20위 |
AFC 아시안컵 (예선)[편집]
AFC 아시안컵 예선 기록 | |||||||||
---|---|---|---|---|---|---|---|---|---|
년도 | 경기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승점 | ||
![]() |
2 | 1 | 1 | 0 | 7 | 3 | 4 | ||
![]() |
2 | 2 | 0 | 0 | 5 | 1 | 6 | ||
![]() |
3 | 2 | 0 | 1 | 9 | 7 | 6 | ||
![]() |
4 | 2 | 0 | 2 | 4 | 4 | 6 | ||
![]() |
기권 | ||||||||
![]() |
4 | 0 | 0 | 4 | 1 | 10 | 0 | ||
![]() |
기권 | ||||||||
![]() |
불참 | ||||||||
![]() | |||||||||
![]() | |||||||||
![]() |
3 | 2 | 0 | 1 | 13 | 5 | 6 | ||
![]() |
3 | 2 | 0 | 1 | 14 | 2 | 6 | ||
![]() |
6 | 3 | 0 | 3 | 8 | 13 | 9 | ||
![]() ![]() ![]() ![]() |
자동참가(개최국) | ||||||||
![]() |
6 | 1 | 2 | 3 | 6 | 11 | 5 | ||
![]() |
6 | 1 | 0 | 5 | 5 | 15 | 3 | ||
![]() |
12 | 4 | 5 | 3 | 16 | 11 | 17 | ||
![]() |
8 | 5 | 2 | 1 | 12 | 5 | 17 | ||
합계 | 59 | 25 | 10 | 24 | 100 | 87 | 85 |
아시안 게임[편집]
- 23세 전환 이전까지의 기록이다.
아시안 게임 기록 | |||||||||
---|---|---|---|---|---|---|---|---|---|
년도 | 결과 | 순위 | 경기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승점 |
![]() |
불참 | ||||||||
![]() |
조별리그 | 7위 | 2 | 1 | 0 | 1 | 5 | 5 | 3 |
![]() |
8강 | 7위 | 3 | 1 | 1 | 1 | 8 | 5 | 4 |
![]() |
4강 | 4위 | 5 | 2 | 0 | 3 | 12 | 8 | 6 |
![]() |
조별리그 | 7위 | 3 | 1 | 1 | 1 | 2 | 6 | 4 |
![]() |
조별리그 | 9위 | 2 | 0 | 0 | 2 | 0 | 3 | 0 |
![]() |
기권 | ||||||||
![]() |
불참 | ||||||||
![]() | |||||||||
![]() | |||||||||
![]() | |||||||||
![]() | |||||||||
합계 | 5회 출전(5/11) | 4강(4위 1회) | 13 | 5 | 2 | 19 | 54 | 51 | 46 |
동남아시아 축구 선수권 대회[편집]
AFF 스즈키컵 기록 | |||||||||
---|---|---|---|---|---|---|---|---|---|
년도 | 결과 | 순위 | 경기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승점 |
![]() |
4강 | 3위 | 6 | 3 | 2 | 1 | 14 | 10 | 11 |
![]() |
준우승 | 2위 | 5 | 3 | 1 | 1 | 8 | 2 | 10 |
![]() |
4강 | 4위 | 6 | 3 | 1 | 2 | 14 | 6 | 10 |
![]() ![]() |
4강 | 3위 | 6 | 4 | 1 | 1 | 21 | 12 | 13 |
![]() ![]() |
조별리그 | 6위 | 4 | 2 | 1 | 1 | 13 | 5 | 7 |
![]() ![]() |
4강 | 3위 | 5 | 1 | 3 | 1 | 10 | 3 | 6 |
![]() ![]() |
우승 | 1위 | 7 | 4 | 2 | 1 | 11 | 6 | 14 |
![]() ![]() |
4강 | 3위 | 5 | 2 | 1 | 2 | 8 | 5 | 7 |
![]() ![]() |
조별리그 | 6위 | 3 | 0 | 1 | 2 | 2 | 5 | 1 |
![]() ![]() |
4강 | 3위 | 5 | 3 | 1 | 1 | 12 | 8 | 10 |
![]() ![]() |
4강 | 3위 | 5 | 3 | 1 | 1 | 8 | 6 | 10 |
아세안 2018년 | 우승 | 1위 | 8 | 6 | 2 | 0 | 15 | 4 | 20 |
합계 | 12회 출전(12/12) | 우승(2회) | 65 | 34 | 17 | 14 | 136 | 72 | 119 |
주요 선수[편집]
코칭스태프[편집]
직위 | 이름 |
---|---|
감독 | ![]() |
수석 코치 | |
코치 | |
골키퍼 코치 | |
피지컬 코치 | |
코치 | |
코치 | |
통역사 |
선수단[편집]
현재 선수 명단[편집]
2021년 8월 27일 베트남 축구협회에서 발표한 9월 2일, 7일 사우디아라비아, 호주과의 월드컵 3차 예선에 출전하는 선수 명단
A매치 출전 횟수와 골 수는 2021년 6월 15일 열린 아랍에미리트과의 경기 이후 기준.
|
최근 A매치 경기 결과와 일정[편집]
승리 무승부 패배
2021[편집]
친선경기 2021년 5월 31일 | 베트남 ![]() |
1 - 1 | ![]() |
샤르자, 아랍에미리트 | ||
21:00 UTC+4 | ? ![]() |
![]() |
경기장: 할리드 빈 모하메드 경기장
| |||
2022년 FIFA 월드컵 아시아 지역 2차 예선 2021년 6월 7일 | 베트남 ![]() |
4 – 0 | ![]() |
두바이, 아랍에미리트 | ||
20:45 UTC+4 | 응우옌 띠엔 린 ![]() 응우옌 꽝 하이 ![]() 응우옌 꽁 프엉 ![]() 부 반 타인 ![]() |
경기장: 알막툼 스타디움 관중 수: ?명 심판: 아흐마드 알-알리 (쿠웨이트)
| ||||
2022년 FIFA 월드컵 아시아 지역 2차 예선 2021년 6월 11일 | 말레이시아 ![]() |
1 – 2 | ![]() |
두바이, 아랍에미리트 | ||
20:45 UTC+4 | 루크레시오 ![]() |
응우옌 띠엔 린 ![]() 꿰 응옥 하이 ![]() |
경기장: 알막툼 스타디움 관중 수: ?명 심판: 알리 사바 (이라크)
| |||
2022년 FIFA 월드컵 아시아 지역 2차 예선 2021년 6월 15일 | 아랍에미리트 ![]() |
3 – 2 | ![]() |
두바이, 아랍에미리트 | ||
20:45 UTC+4 | 알리 살민 ![]() 알리 맙쿠트 ![]() 마흐무드 카미스 ![]() |
응우옌 띠엔 린 ![]() 쩐 민 브엉 ![]() |
경기장: 자벨 스타디움 관중 수: ?명
| |||
2022년 FIFA 월드컵 아시아 지역 3차 예선 2021년 9월 2일 | 사우디아라비아 ![]() |
3 - 1 | ![]() |
리야드, 사우디아라비아 | ||
20:00 UTC+3 | 경기장: 사우드 국왕 대학경기장
| |||||
2022년 FIFA 월드컵 아시아 지역 3차 예선 2021년 9월 7일 | 베트남 ![]() |
0 - 1 | ![]() |
하노이, 베트남 | ||
19:00 UTC+7 | 경기장: 미딘 국립경기장 관중 수: 0
| |||||
2022년 FIFA 월드컵 아시아 지역 3차 예선 2021년 10월 7일 | 중화인민공화국 ![]() |
3 - 2 | ![]() |
샤르자, 아랍에미레이트 | ||
21:00 UTC+4 | 경기장: 샤르자 스타디움
| |||||
2022년 FIFA 월드컵 아시아 지역 3차 예선 2021년 10월 12일 | 오만 ![]() |
3 - 1 | ![]() |
무스카트, 오만 | ||
--:-- UTC+4 | 경기장: 술탄 카부스 종합운동장
| |||||
2022년 FIFA 월드컵 아시아 지역 3차 예선 2021년 11월 11일 | 베트남 ![]() |
0 - 1 | ![]() |
하노이, 베트남 | ||
19:00 UTC+7 | 경기장: 미딘 국립경기장
| |||||
2022년 FIFA 월드컵 아시아 지역 3차 예선 2021년 11월 16일 | 베트남 ![]() |
0 - 1 | ![]() |
하노이, 베트남 | ||
19:00 UTC+7 | 경기장: 미딘 국립경기장
| |||||
2021년 12월 12일 18:30 (UTC+09:00) | ||||||
![]() |
1 - 5 | 인도네시아 ![]() |
싱가포르, 비샨 스타디움 | |||
2021년 12월 12일 21:00 (UTC+09:00) | ||||||
![]() |
3 - 0 | 말레이시아 ![]() |
싱가포르, 비샨 스타디움 | |||
2021년 12월 15일 18:30 (UTC+09:00) | ||||||
![]() |
3 - 0 | 라오스 ![]() |
싱가포르, 비샨 스타디움 | |||
2021년 12월 15일 21:00 (UTC+09:00) | ||||||
![]() |
0 - 0 | 베트남 ![]() |
싱가포르, 비샨 스타디움 | |||
2021년 12월 19일 21:00 (UTC+09:00) | ||||||
![]() |
4 - 0 | 캄보디아 ![]() |
싱가포르, 비샨 스타디움 | |||
2021년 12월 19일 21:00 (UTC+09:00) | ||||||
![]() |
1 - 4 | 인도네시아 ![]() |
싱가포르, 싱가포르 국립경기장 | |||
2022년[편집]
2022년 FIFA 월드컵 아시아 지역 3차 예선 2022년 1월 27일 | 오스트레일리아 ![]() |
4 - 0 | ![]() |
멜버른, 호주 | ||
20:10 UTC+11 | 경기장: 멜버른 렉탱귤러 스타디움
| |||||
2022년 FIFA 월드컵 아시아 지역 3차 예선 2022년 2월 1일 | 베트남 ![]() |
3 - 1 | ![]() |
하노이, 베트남 | ||
19:00 UTC+7 | 경기장: 미딘 국립경기장 관중 수: 0
| |||||
2022년 FIFA 월드컵 아시아 지역 3차 예선 2022년 3월 24일 | 베트남 ![]() |
0 - 1 | ![]() |
하노이, 베트남 | ||
19:00 UTC+7 | ![]() |
경기장: 미딘 국립경기장
| ||||
2022년 FIFA 월드컵 아시아 지역 3차 예선 2022년 3월 29일 | 일본 ![]() |
1 - 1 | ![]() |
사이타마, 일본 | ||
19:35 UTC+9 | 요시다 마야 ![]() |
![]() |
경기장: 사이타마 스타디움 2002
| |||
각주[편집]
- ↑ 남베트남이 유일한 베트남의 공식 축구협회로 인정받았고, 북베트남은 참가를 금지당했다.
- ↑ 남베트남으로 참가
- ↑ 남베트남이 유일한 베트남의 공식 축구협회로 인정받았고, 북베트남은 참가를 금지당했다.
- ↑ 남베트남으로 참가
- ↑ 남베트남으로 참가
- ↑ 남베트남으로 참가
- ↑ 남베트남으로 참가
- ↑ 남베트남으로 참가
- ↑ 남베트남으로 참가
- ↑ 남베트남으로 참가
- ↑ 남베트남으로 참가
- ↑ 남베트남으로 참가
- ↑ 남베트남으로 참가
- ↑ 남베트남으로 참가
- ↑ 남베트남으로 참가
- ↑ 남베트남으로 참가
- ↑ 남베트남으로 참가
- ↑ 남베트남으로 참가
- ↑ 남베트남으로 참가
- ↑ 남베트남으로 참가
- ↑ 남베트남으로 참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