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년 동남아시아 축구 연맹 선수권 대회
2022년 동남아시아 축구 연맹 선수권 대회 2022 AFF Championship | |
---|---|
개최국 | ![]() |
개최기간 | 2022년 12월 20일 ~ 2023년 1월 16일 |
경기장 | 12 |
결과 | |
우승 | ![]() |
준우승 | ![]() |
3위 | ![]() ![]() |
최다 득점 | ![]() ![]() |
최우수 선수 | ![]() |
통계 | |
총 경기 | 26경기 |
총 득점 | 90골 (경기당 3.46골) |
총 관중 | 460,265명 (경기당 17,703명) |
« 2020 2024 » |
2022년 동남아시아 축구 연맹 선수권 대회(2022 AFF Championship) 또는 2022년 AFF 미츠비시일렉트릭컵(2022 AFF Mitsubishi Electric Cup)은 2022년 12월 20일부터 2023년 1월 16일까지 동남아시아 10개국에서 개최된 14번째 아세안 축구 선수권 대회이다. 본 대회는 일본의 주요 전자 기업 중 하나인 미쓰비시 전기가 메인스폰서로 나선 첫번째 대회이며 디펜딩 챔피언은 태국이다.
대회 방식[편집]
전 대회와 마찬가지로 5팀씩 2개조로 나누어 한팀당 조별리그 4경기씩 치러 각조 상위 2팀만 4강에 진출하며 4강전과 결승전은 전 대회와 동일하게 모두 2경기씩 치러 1·2차전 합산 결과를 바탕으로 결승 진출팀 및 우승팀을 결정짓는다.
참가팀[편집]
다음 1개국이 예선을 통해 본선에 진출했다.
예선[편집]
본래 1차전은 브루나이에서, 2차전은 동티모르에서 예선전 경기가 진행될 예정이었으나 동티모르의 경기장 시설이 열악한 관계로 1·2차전 모두 브루나이에서 예선전이 진행되었다.
팀 1 | 합계 | 팀 2 | 1차전 | 2차전 |
---|---|---|---|---|
브루나이 ![]() |
6 - 3 | ![]() |
6 - 2 | 0 - 1 |
2022년 11월 5일 15:45 (UTC+08:00) | ||||||
브루나이 ![]() |
6 - 2 | ![]() |
반다르스리브가완, 술탄 하사날 볼키아 스타디움 관중: 600 심판: ![]() | |||
2022년 11월 8일 14:30 (UTC+08:00) | ||||||
![]() |
1 - 0 | 브루나이 ![]() |
반다르스리브가완, 술탄 하사날 볼키아 스타디움 관중: 1,207 심판: ![]() | |||
시드 배정[편집]
포트 1 | 포트 2 | 포트 3 | 포트 4 | 포트 5 |
---|---|---|---|---|
![]() ![]() |
![]() ![]() |
![]() ![]() |
![]() ![]() |
![]() ![]() |
조별리그[편집]
A조[편집]
팀 | 승점 | 경기 | 승 | 무 | 패 | 득 | 실 | 득실차 |
---|---|---|---|---|---|---|---|---|
![]() |
10 | 4 | 3 | 1 | 0 | 13 | 2 | 11 |
![]() |
10 | 4 | 3 | 1 | 0 | 12 | 3 | 9 |
![]() |
6 | 4 | 2 | 0 | 2 | 10 | 8 | 2 |
![]() |
3 | 4 | 1 | 0 | 3 | 8 | 10 | -2 |
![]() |
0 | 4 | 0 | 0 | 4 | 2 | 22 | -20 |
2022년 12월 20일 17:00 (UTC+07:00) | ||||||
![]() |
3 - 2 | 필리핀 ![]() |
프놈펜, 모로독 테초 국립 경기장 관중: 4,860 심판: ![]() | |||
2022년 12월 20일 20:30 (UTC+08:00) | ||||||
![]() |
0 - 5 | 태국 ![]() |
쿠알라룸푸르, 쿠알라룸푸르 스타디움 관중: 480 심판: ![]() | |||
2022년 12월 23일 18:00 (UTC+08:00) | ||||||
![]() |
5 - 1 | 브루나이 ![]() |
마닐라, 리살 기념 경기장 관중: 1,650 심판: ![]() | |||
2022년 12월 23일 16:30 (UTC+07:00) | ||||||
![]() |
2 - 1 | 캄보디아 ![]() |
자카르타, 겔로라 붕 카르노 스타디움 관중: 25,332 심판: ![]() | |||
2022년 12월 26일 18:00 (UTC+08:00) | ||||||
![]() |
0 - 7 | 인도네시아 ![]() |
쿠알라룸푸르, 쿠알라룸푸르 스타디움 관중: 5,439 심판: ![]() | |||
2022년 12월 26일 19:30 (UTC+07:00) | ||||||
![]() |
4 - 0 | 필리핀 ![]() |
랑싯, 탐마삿 스타디움 관중: 6,567 심판: ![]() | |||
2022년 12월 29일 17:00 (UTC+07:00) | ||||||
![]() |
5 - 1 | 브루나이 ![]() |
프놈펜, 모로독 테초 국립 경기장 관중: 6,169 심판: ![]() | |||
2022년 12월 29일 16:30 (UTC+07:00) | ||||||
![]() |
1 - 1 | 태국 ![]() |
자카르타, 겔로라 붕 카르노 스타디움 관중: 4,9985 심판: ![]() | |||
2023년 1월 2일 19:30 (UTC+07:00) | ||||||
![]() |
3 - 1 | 캄보디아 ![]() |
랑싯, 탐마삿 스타디움 심판: ![]() | |||
2023년 1월 2일 20:30 (UTC+08:00) | ||||||
![]() |
1 - 2 | 인도네시아 ![]() |
마닐라, 리살 기념 경기장 관중: 2,370 심판: ![]() | |||
B조[편집]
팀 | 승점 | 경기 | 승 | 무 | 패 | 득 | 실 | 득실차 |
---|---|---|---|---|---|---|---|---|
![]() |
10 | 4 | 3 | 1 | 0 | 12 | 0 | 12 |
![]() |
9 | 4 | 3 | 0 | 1 | 10 | 4 | 6 |
![]() |
7 | 4 | 2 | 1 | 1 | 6 | 6 | 0 |
![]() |
1 | 4 | 0 | 1 | 3 | 4 | 9 | -5 |
![]() |
1 | 4 | 0 | 1 | 3 | 2 | 15 | -13 |
2022년 12월 21일 16:30 (UTC+06:30) | ||||||
미얀마 ![]() |
0 - 1 | ![]() |
양곤, 투운나 스타디움 관중: 4,500 심판: ![]() | |||
2022년 12월 21일 20:30 (UTC+08:00) | ||||||
![]() |
0 - 6 | 베트남 ![]() |
비엔티안, 라오스 신국립경기장 관중: 10,240 심판: ![]() | |||
2022년 12월 24일 18:00 (UTC+08:00) | ||||||
![]() |
3 - 2 | 미얀마 ![]() |
싱가포르, 잘란브사르 스타디움 관중: 5,370 심판: ![]() | |||
2022년 12월 24일 20:30 (UTC+08:00) | ||||||
![]() |
5 - 0 | 라오스 ![]() |
쿠알라룸푸르, 부킷 잘릴 국립경기장 관중: 29,961 심판: ![]() | |||
2022년 12월 27일 17:00 (UTC+09:00) | ||||||
![]() |
0 - 2 | 싱가포르 ![]() |
비엔티안, 라오스 신국립경기장 관중: 1,087 심판: ![]() | |||
2022년 12월 27일 19:30 (UTC+07:00) | ||||||
![]() |
3 - 0 | 말레이시아 ![]() |
하노이, 미딘 국립경기장 관중: 17,545 심판: ![]() | |||
2022년 12월 30일 16:30 (UTC+06:30) | ||||||
![]() |
2 - 2 | 라오스 ![]() |
양곤, 투운나 스타디움 관중: 4,100 심판: ![]() | |||
2022년 12월 30일 20:30 (UTC+08:00) | ||||||
![]() |
0 - 0 | 베트남 ![]() |
싱가포르, 잘란브사르 스타디움 관중: 5,434 심판: ![]() | |||
2023년 1월 3일 19:00 (UTC+07:00) | ||||||
![]() |
3 - 0 | 미얀마 ![]() |
하노이, 미딘 국립경기장 심판: ![]() | |||
2022년 1월 3일 20:30 (UTC+08:00) | ||||||
![]() |
4 - 1 | 싱가포르 ![]() |
쿠알라룸푸르, 부킷 잘릴 국립경기장 심판: ![]() | |||
결선 토너먼트[편집]
준결승전[편집]
팀 1 | 합계 | 팀 2 | 1차전 | 2차전 |
---|---|---|---|---|
인도네시아 ![]() |
0 - 2 | ![]() |
0 - 0 | 0 - 2 |
말레이시아 ![]() |
1 - 3 | ![]() |
1 - 0 | 0 - 3 |
2023년 1월 6일 16:30 (UTC+07:00) | ||||||
![]() |
0 - 0 | ![]() |
자카르타, 겔로라 붕 카르노 스타디움 관중: 49,595 심판: ![]() | |||
2022년 1월 7일 20:30 (UTC+08:00) | ||||||
말레이시아 ![]() |
1 - 0 | ![]() |
쿠알라룸푸르, 부킷 잘릴 국립경기장 관중: 62,989 심판: ![]() | |||
2023년 1월 9일 19:30 (UTC+07:00) | ||||||
베트남 ![]() |
2 - 0 | ![]() |
하노이, 미딘 국립경기장 관중: 40,192 심판: ![]() | |||
2023년 1월 10일 19:30 (UTC+07:00) | ||||||
태국 ![]() |
3 - 0 | ![]() |
랑싯, 탐마삿 스타디움 관중: 23,989 심판: ![]() | |||
베트남이 합계 2 - 0으로 결승전에 진출했다.
태국이 합계 3 - 1로 결승전에 진출했다.
결승전[편집]
팀 1 | 합계 | 팀 2 | 1차전 | 2차전 |
---|---|---|---|---|
베트남 ![]() |
2 - 3 | ![]() |
2 - 2 | 0 - 1 |
2023년 1월 13일 19:30 (UTC+07:00) | ||||||
베트남 ![]() |
2 - 2 | ![]() |
하노이, 미딘 국립경기장 관중: 38,539 심판: ![]() | |||
2023년 1월 16일 19:30 (UTC+07:00) | ||||||
태국 ![]() |
1 - 0 | ![]() |
랑싯, 탐마삿 스타디움 심판: ![]() | |||
태국이 합계 3 - 2로 우승을 차지했다.
우승[편집]
2022년 AFF 미츠비시일렉트릭컵 |
---|
![]() 태국 7번째 우승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