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축구 국가대표팀
![]() | |||
---|---|---|---|
연맹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축구 협회 | ||
대륙 | 아시아 축구 연맹 | ||
감독 | 윤정수 | ||
주장 | 정일관 | ||
최다 출전자 | 리명국 (118) | ||
최다 득점자 | 정일관 (26) | ||
홈 구장 | 김일성 경기장 양각도축구경기장 | ||
FIFA 코드 | PRK | ||
| |||
FIFA 랭킹 | |||
현재 | 이 페이지에서 확인하세요 | ||
최고 순위 | 57위 (1993년 11월) | ||
최저 순위 | 181위 (1998년 10월) | ||
첫 국제 경기 출전 | |||
![]() ![]() (중화인민공화국 베이징; 1956년 10월 7일) | |||
최다 점수차 승리 | |||
![]() ![]() (대만 타이베이; 2005년 3월 11일, 2005년 동아시아 축구 선수권 대회 예선 라운드) | |||
최다 점수차 패배 | |||
![]() ![]() (남아프리카공화국 케이프타운; 2010년 6월 21일, 2010년 FIFA 월드컵) | |||
월드컵 | |||
출전 횟수 | 2회 (1966년에 처음 출전) | ||
최고 성적 | 8강 (1966년) | ||
아시안컵 | |||
출전 횟수 | 5회 (1980년에 처음 출전) | ||
최고 성적 | 4위 (1980년) | ||
AFC 챌린지컵 | |||
출전 횟수 | 3회 (2008년에 처음 출전) | ||
최고 성적 | 우승 (2010년, 2012년)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축구 국가대표팀(朝鮮民主主義人民共和國 蹴球 國家代表팀, 문화어: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국가종합팀)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을 대표하는 축구 국가대표팀이다.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축구 협회에서 관리하고 있는 축구 국가대표팀으로 '천리마 군단'이라는 별칭을 보유하고 있으며 현재 감독은 윤정수이다.
국제 대회 경력[편집]
FIFA 월드컵[편집]
1966년 FIFA 월드컵을 통해 사상 첫 월드컵 본선에 올랐음에도 불구하고 사다리 전술을 활용하여 강호 이탈리아를 1-0으로 꺾으면서 아시아 국가 최초의 8강 진출을 이뤄냈고 이 기록은 지금까지도 월드컵 최대의 이변들 중 하나로 남아있으며 대한민국이 2002년 FIFA 월드컵에서 4위를 기록하기 전까지 아시아 국가들의 월드컵 출전 역사상 최고 성적이기도 했다. 이후 1970년 FIFA 월드컵부터 2006년 FIFA 월드컵까지 본선 진출에 실패하다가 2010년 FIFA 월드컵을 통해 44년만에 통산 2번째 본선 진출에 성공하면서 대한민국과 더불어 사상 첫 월드컵 남북 공동진출이라는 역사를 이뤄냈으나 본선 32개국 중 가장 적은 골득실을 기록하며 조별리그에서 탈락했다. 그리고 2010년 대회에 이어 2회 연속 월드컵 본선 진출을 노렸으나 2014년 FIFA 월드컵 아시아 지역 3차 예선에서 탈락하면서 본선 진출에 실패했고 2018년 FIFA 월드컵에서도 아시아 지역 2차 예선에서 탈락하면서 또 다시 본선 진출에 실패했다. 2022년 FIFA 월드컵에서는 아시아 지역 2차 예선에서 코로나 19 범유행의 여파로 인해 기권하자 투르크메니스탄이 억울하게 탈락했으며 이로 인해 징계를 받아 2026년 FIFA 월드컵도 무기한 출전 금지 당했다.
AFC 챌린지컵[편집]
AFC 챌린지컵 본선에는 3번 출전하여 2번의 대회(2010년, 2012년)에서 연속 우승을 거머쥐면서 2011년 AFC 아시안컵과 2015년 AFC 아시안컵 본선 티켓을 획득했으나 2014년 대회에서는 불참을 선언했다.
AFC 아시안컵[편집]
아시안컵 본선에는 5번 출전하여 이 중 처음으로 출전한 1980년 대회에서 4위에 입상하는 기염을 토했으나 이후 4번의 대회에서는 2무 10패의 처참한 성적에 그치며 조별리그 탈락의 고배를 마셨고 특히 2015년과 2019년 대회에서는 모두 3전 전패 및 대회 꼴찌라는 최악의 성적표를 받아들였다.
아시안 게임 축구[편집]
성인대표팀으로는 5번 참가하여 이 중 1978년 대회에서 대한민국과 함께 공동 우승으로 금메달을 획득했고 1990년 대회에서는 은메달을 따냈으며 U-23 대표팀으로도 역시 5번 출전하여 2014년 대회에서 은메달을 목에 걸었다.
EAFF E-1 풋볼 챔피언십[편집]
EAFF E-1 풋볼 챔피언십에는 전신인 다이너스티컵을 포함해 6번 출전하여 4번의 대회에서는 3위, 2번의 대회에서는 최하위인 4위에 머물렀고 결승 리그 통산 18경기에서 3승 7무 8패의 저조한 성적을 거두었지만 이 중 3승을 모두 일본을 상대로 거두었다.
국제대회 기록[편집]
FIFA 월드컵[편집]
FIFA 월드컵 본선 기록 | FIFA 월드컵 예선 기록 | |||||||||||||||
---|---|---|---|---|---|---|---|---|---|---|---|---|---|---|---|---|
년도 | 결과 | 순위 | 경기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승점 | 경기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승점 |
![]() |
독립 이전(일제강점기) | 독립 이전(일제강점기) | ||||||||||||||
![]() | ||||||||||||||||
![]() | ||||||||||||||||
![]() |
비회원국 | 비회원국 | ||||||||||||||
![]() | ||||||||||||||||
![]() | ||||||||||||||||
![]() |
불참 | 불참 | ||||||||||||||
![]() |
8강 | 8위 | 4 | 1 | 1 | 2 | 5 | 9 | 4 | 2[1] | 2 | 0 | 0 | 9 | 2 | 6 |
![]() |
기권 | 기권[2] | ||||||||||||||
![]() |
예선 탈락 | 6[3] | 1 | 3 | 2 | 5 | 5 | 6 | ||||||||
![]() |
기권 | 기권[4] | ||||||||||||||
![]() |
예선 탈락 | 5[5] | 3 | 1 | 1 | 9 | 6 | 10 | ||||||||
![]() |
4[6] | 1 | 2 | 1 | 3 | 2 | 5 | |||||||||
![]() |
11[7] | 5 | 2 | 4 | 13 | 9 | 17 | |||||||||
![]() |
13[8] | 8 | 1 | 4 | 24 | 18 | 25 | |||||||||
![]() |
불참 | 불참 | ||||||||||||||
![]() ![]() | ||||||||||||||||
![]() |
예선 탈락 | 12[9] | 4 | 2 | 6 | 16 | 16 | 14 | ||||||||
![]() |
조별리그 | 32위 | 3 | 0 | 0 | 3 | 1 | 12 | 0 | 16[10] | 8 | 6 | 2 | 20 | 7 | 30 |
![]() |
예선 탈락 | 6[11] | 2 | 1 | 3 | 3 | 4 | 7 | ||||||||
![]() |
8[12] | 5 | 1 | 2 | 14 | 8 | 16 | |||||||||
![]() |
기권 | 기권[13] | ||||||||||||||
![]() ![]() ![]() |
출전 금지(전 대회 예선에서의 징계로 인해) | 자격박탈(전 대회 징계)[14] | ||||||||||||||
합계 | 2회 진출(2/19[15]) | 8강(1회) | 7 | 1 | 1 | 5 | 6 | 21 | 4 | 83 | 39 | 19 | 25 | 116 | 77 | 136 |
순위 | FIFA 월드컵 역대 순위 : 58위 | 월드컵 예선 승점 순위 : 67위 (아시아 12위) |
자세한 내용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FIFA 월드컵 성적 참조.
AFC 아시안컵[편집]
아시안컵 본선 기록 | 아시안컵 예선 기록 | |||||||||||||||
---|---|---|---|---|---|---|---|---|---|---|---|---|---|---|---|---|
년도 | 결과 | 순위 | 경기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승점 | 경기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승점 |
![]() |
비회원국 | 비회원국 | ||||||||||||||
![]() | ||||||||||||||||
![]() | ||||||||||||||||
![]() | ||||||||||||||||
![]() | ||||||||||||||||
![]() |
예선 통과 후 기권 | 5 | 3 | 1 | 1 | 7 | 4 | 10 | ||||||||
![]() |
4강 | 4위 | 6 | 3 | 0 | 3 | 10 | 12 | 9 | 5 | 4 | 1 | 0 | 9 | 2 | 13 |
![]() |
출전 금지 | 출전 금지 | ||||||||||||||
![]() |
예선 탈락 | 4 | 2 | 1 | 1 | 3 | 2 | 7 | ||||||||
![]() |
조별리그 | 8위 | 3 | 0 | 1 | 2 | 2 | 5 | 1 | 3 | 2 | 1 | 0 | 8 | 0 | 7 |
![]() |
불참 | 불참 | ||||||||||||||
![]() |
예선 탈락 | 6 | 3 | 2 | 1 | 11 | 7 | 11 | ||||||||
![]() |
8 | 1 | 2 | 5 | 5 | 15 | 5 | |||||||||
![]() ![]() ![]() ![]() |
출전 금지 | 출전 금지[16] | ||||||||||||||
![]() |
조별리그 | 12위 | 3 | 0 | 1 | 2 | 0 | 2 | 1 | 자동 진출(2010년 AFC 챌린지컵 우승국) | ||||||
![]() |
조별리그 | 13위 | 3 | 0 | 0 | 3 | 2 | 7 | 0 | 자동 진출(2012년 AFC 챌린지컵 우승국) | ||||||
![]() |
조별리그 | 24위 | 3 | 0 | 0 | 3 | 1 | 14 | 0 | 14 | 8 | 3 | 3 | 27 | 18 | 27 |
![]() |
기권 | 기권[17] | ||||||||||||||
합계 | 5회 진출(5/18) | 4위(1회) | 18 | 3 | 2 | 13 | 15 | 40 | 11 | 45 | 23 | 11 | 11 | 70 | 48 | 80 |
순위 | AFC 아시안컵 역대 순위 : 16위 |
자세한 내용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AFC 아시안컵 성적 참조.
하계 올림픽[편집]
하계 올림픽 기록 | |||||||||
---|---|---|---|---|---|---|---|---|---|
년도 | 결과 | 순위 | 경기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승점 |
![]() |
불참 | ||||||||
![]() |
불참(한국 전쟁) | ||||||||
![]() |
참가 거부 | ||||||||
![]() | |||||||||
![]() |
기권 | ||||||||
![]() |
참가 거부 | ||||||||
![]() | |||||||||
![]() |
8강 | 8위 | 3 | 1 | 0 | 2 | 3 | 9 | 3 |
![]() |
불참 | ||||||||
![]() |
참가 거부[18] | ||||||||
![]() | |||||||||
합계 | 1회 진출(1/11[19]) | 8강(1회) | 3 | 1 | 0 | 2 | 3 | 9 | 3 |
아시안 게임[편집]
아시안 게임 기록 | |||||||||
---|---|---|---|---|---|---|---|---|---|
년도 | 결과 | 순위 | 경기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승점 |
![]() |
불참(한국 전쟁) | ||||||||
![]() |
불참 | ||||||||
![]() | |||||||||
![]() | |||||||||
![]() | |||||||||
![]() | |||||||||
![]() |
4강 | 4위 | 7 | 3 | 1 | 3 | 11 | 8 | 10 |
![]() |
금메달 | 우승* | 6 | 4 | 2 | 0 | 12 | 3 | 14 |
![]() |
대회 도중 실격[20] | 4강 | 5 | 2 | 2 | 1 | 9 | 6 | 8 |
![]() |
불참 | ||||||||
![]() |
은메달 | 준우승 | 5 | 1 | 3 | 1 | 2 | 2 | 6 |
![]() |
불참 | ||||||||
![]() |
16강 | 13위 | 4 | 1 | 2 | 1 | 6 | 8 | 5 |
합계 | 5회 출전(5/13) | 우승(1회) | 28 | 11 | 10 | 7 | 40 | 29 | 43 |
- *: 공동 우승을 나타낸다.
다이너스티컵 / 동아시안컵[편집]
EAFF 동아시안컵 기록 | |||||||||
---|---|---|---|---|---|---|---|---|---|
년도 | 순위 | 경기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승점 | |
다이너스티컵 기록 | |||||||||
![]() |
3위 | 3 | 1 | 0 | 2 | 1 | 3 | 3 | |
![]() |
3위 | 3 | 0 | 2 | 1 | 4 | 7 | 2 | |
![]() |
불참 | ||||||||
![]() | |||||||||
동아시안컵 기록 | |||||||||
![]() |
기권 | ||||||||
![]() |
3위 | 3 | 1 | 1 | 1 | 1 | 2 | 4 | |
![]() |
4위 | 3 | 0 | 2 | 1 | 3 | 5 | 2 | |
![]() |
예선 탈락 | ||||||||
![]() | |||||||||
![]() |
3위 | 3 | 1 | 1 | 1 | 2 | 3 | 4 | |
![]() |
4위 | 3 | 0 | 1 | 2 | 1 | 3 | 1 | |
![]() |
예선 탈락 | ||||||||
합계 | 5회 진출(5/10) | 18 | 3 | 7 | 8 | 12 | 23 | 16 |
AFC 챌린지컵[편집]
챌린지컵 기록 | |||||||||
---|---|---|---|---|---|---|---|---|---|
년도 | 순위 | 경기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승점 | |
![]() |
참가 대상 아님 | ||||||||
![]() |
3위 | 5 | 4 | 0 | 1 | 9 | 1 | 12 | |
![]() |
우승 | 5 | 3 | 2 | 0 | 14 | 2 | 11 | |
![]() |
우승 | 5 | 5 | 0 | 0 | 12 | 1 | 15 | |
![]() |
참가 대상 아님 | ||||||||
합계 | 우승(2회) | 15 | 12 | 2 | 1 | 35 | 4 | 38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축구 협회는 2012년 네팔 대회에서 우승한 이후 AFC 챌린지컵 참가 대상에서 제외되었다.
역대 감독과 수석코치[편집]
감독 | 수석코치 | 승 | 무 | 패 | 승률 (%) | 취임 | 사임 |
---|---|---|---|---|---|---|---|
![]() |
이은경 | ? | ? | ? | ? | 2019년 7월 | |
![]() |
이은경 | ? | ? | ? | ? | 2018년 12월 | 2019년 ?월 |
![]() |
정왕교 | ? | ? | ? | ? | 2016년 5월 | 2018년 3월 |
![]() |
? | ? | ? | ? | ? | 2015년 ?월 | 2016년 3월 |
![]() |
? | ? | ? | ? | ? | 2014년 12월[21] | 2015년 ?월 |
![]() |
? | ? | ? | ? | ? | 2011년 ?월 | 2014년 ?월 |
![]() |
? | ? | ? | ? | ? | 2010년 10월 | 2011년 5월 |
![]() |
? | ? | ? | ? | ? | 2007년 12월 | 2010년 10월 |
![]() |
? | ? | ? | ? | ? | 1999년 12월 | 2005년 11월 |
![]() |
? | ? | ? | ? | ? | 1960년 3월 | 1966년 7월 |
역대 대표팀 주장[편집]
# | 선수 | 기간 | 주장으로 출전한 대회 |
---|---|---|---|
1 | 박승진 | ? | 1966년 FIFA 월드컵 |
2 | 홍영조 | ? | 2010년 FIFA 월드컵 |
3 | 리명국 | 2012~2017 | |
4 | 정일관 | 2018~현재 |
현재 선수 명단[편집]
최종 선수 명단 (2015년 5월 17일, 5월 20일 기준)
|
최근 제외된 선수[편집]
아래 명단은 최근 1년 사이에 제외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대표팀 선수 명단이다.
|
각주[편집]
- ↑ 당시 아시아, 아프리카, 오세아니아를 하나로 묶어 1장이 주어졌는데 아프리카가 이에 항의하면서 17개국 모두 기권했고, 대한민국마저 기권하면서 호주와 단판 승부로 펼쳐졌다. 캄보디아 프놈펜에서 호주에 2승(6:1, 3:1)하면서 처음으로 본선에 진출, 이탈리아를 누르고 8강에 오르는 이변을 일으켰다.
- ↑ 이스라엘과 한 조에 속해 경기를 거부하며 기권하였다.
- ↑ 1차예선 B그룹 1조에서 이란, 시리아에 밀려 3위를 기록하며 2라운드 진출에 실패했다.
- ↑ 이스라엘, 대한민국, 일본과 한 조에 속해 경기를 거부하며 기권하였다.
- ↑ 1차예선 4조 결정전에서 마카오를 3:0으로 이기고 B조에 속하였다. 4조 B그룹에서 1승 1무(홍콩 2:2, 싱가포르 1:0) 조 1위로 준결승에 진출해 일본마저 1:0으로 누르고 결승에 올랐다. 그러나 결승에 중국에 2:4(연장전)로 패배, 최종예선에는 가지 못했다.
- ↑ 이 대회에서는 1,2그룹은 중동, 3,4그룹은 동아시아+남아시아로 지역을 나눠 각각 1장씩 티켓을 부여했다. 1차예선 4그룹 B조에서 1승 2무 1패(일본 0:0-0:1, 싱가포르 1:1-2:0)로 일본에 밀려 2위로 다음 라운드 진출에 실패했다.
- ↑ 1차예선 6조에서 4승 1무 1패(일본 1:2-2:0, 인도네시아 0:0-2:1, 홍콩 2:1-4:1) 1위로 최종예선에 진출했지만, 1승 1무 3패(아랍에미리트 0:0, 대한민국 0:1, 카타르 2:0, 중국 0:1, 사우디 0:2) 최하위로 탈락했다.
- ↑ 1차예선 C조에서 7승 1무(카타르 2:1-2:2, 싱가포르 2:1-3:1, 인도네시아 4:0-2:1, 베트남 3:0-1:0) 조 1위로 최종예선에 진출했다(유일한 무승부도 이미 7연승으로 진출을 확정짓고 나서 열린 마지막 경기였다.). 그러나 4년 전과 마찬가지로 최종예선에서는 1승 4패(이라크 3:2, 사우디 1:2, 일본 0:3, 이란 1:2, 대한민국 0:3) 최하위로 탈락했다. 특히 첫 경기 이후 내리 4연패했고, 대한민국과 일본에 0:3 대패한 것이 충격이었는지 이후 두 대회에서는 월드컵에 나올 실력이 안 된다는 표면적인 이유로 불참을 선언했다.
- ↑ 1차예선 없이 2차부터 참여했다. 2차예선 5조에서 3승 2무 1패(아랍에미리트 0:0-0:1, 태국 4:1-4:1, 예멘 1:1-2:1) 조 1위로 최종예선에 진출했으나 B조에서 1승 5패(일본 1:2-0:2, 이란 0:2-0:1, 바레인 1:2-3:2) 최하위로 탈락했다. 5경기 모두 5연패하며 일찌감치 탈락이 확정됐으나 마지막 경기에서 바레인을 이기면서 전패는 면했다.
- ↑ 1차예선에서 몽골에 2승(원정 4:1, 홈 5:1)을 거두고 3차예선으로 직행, 3조에서 3승 3무(대한민국 0:0-0:0, 요르단 1:0-2:0, 투르크메니스탄 0:0-1:0) 2위로 최종예선에 진출, B조에서 4승 4무(대한민국 1:1-0:1, 사우디 1:0-0:0, 이란 1:2-0:0, 아랍에미리트 2:1-2:0) 최종 2위를 기록하며 44년만에 본선에 진출했다. 대한민국 사우디 이란과 한 조가 되어 어려운 승부가 예상되었으나 의외로 선전하여 2위를 차지함으로써 남북이 동시에 진출한 첫 월드컵이 되었다.
- ↑ 1,2차예선 없이 3차부터 참여했다. 3차예선 C조에서 2승 1무 3패(우즈베키스탄 0:1-0:1, 일본 0:1-1:0, 타지키스탄 1:0-1:1) 조 3위로 최종예선에 진출에 실패했다.
- ↑ 1차예선 없이 2차부터 참가했다. 2차예선 H조에서 5승1무2패(우즈베키스탄 4-2-1-3, 바레인 2-0-1-0, 필리핀 2-3-0-0, 예멘 1-0-3-0) 조2위가 됐으나 2위팀 끼리의 순위결정에서 밀려 3차예선(최종예선)에 진출에 실패했다.
- ↑ 1차예선 없이 2차부터 참가했다. 2차예선 H조에서 2019년에 중간 성적 2승2무1패(대 레바논 홈 2-0 승, 원정 0-0 무, 대 스리랑카 원정 1-0 승, 대 대한민국 홈 0-0 무, 대 투르크메니스탄 원정 1-3 패) 조4위 승점 8점 골득실차 +1을 기록하였으나 2020년 초반부터 코로나-19 대유행이 계속되어서 남은 일정이 2021년 6월까지 계속 연기되었고, 잔여 일정들이 대한민국에서 집중개최로 결정되자, 2021년 4월 30일, 조선축구협회는 남은 경기들에 대해 기권할 것을 선언하였다. 이 기권으로 인해 투르크메니스탄이 탈락했으며 레바논이 최종 예선에 진출했다.
-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축구 국가대표팀의 기권으로 인해 투르크메니스탄 축구 국가대표팀이 억울하게 탈락했기 때문.
- ↑ 본선 진출 횟수 비율. 독립 이후로 계산
- ↑ 2004년 AFC 아시안컵 예선에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당국이 요르단 선수단의 입국을 거부한 사실이 문제가 되어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0-3 몰수패로 처리되었다. 아시아 축구 연맹(AFC)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축구 협회에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대표팀이 1년 동안 아시아 축구 연맹 주관 대회에 참가하는 것을 금지하는 조치를 내렸으며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대표팀이 2007년 AFC 아시안컵에 참가하는 것조차 금지시켰다.
- ↑ 1차예선 없이 2차부터 참가했다. 2차예선 H조에서 2019년에 중간 성적 2승2무1패(대 레바논 홈 2-0 승, 원정 0-0 무, 대 스리랑카 원정 1-0 승, 대 대한민국 홈 0-0 무, 대 투르크메니스탄 원정 1-3 패) 조4위 승점 8점 골득실차 +1을 기록하였으나 2020년 초반부터 코로나-19 대유행이 계속되어서 남은 일정이 2021년 6월까지 계속 연기되었고, 잔여 일정들이 대한민국에서 집중개최로 결정되자, 2021년 4월 30일, 조선축구협회는 남은 경기들에 대해 기권할 것을 선언하였다.
- ↑ 1984년 LA 올림픽은 대다수 공산 진영 국가들이 보이콧하였는데,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역시 이에 동참하여 예선 참가조차 하지 않았다. 1988년 서울 올림픽 역시 대한민국에서 개최하는 바람에 공산국가 대다수가 참석했음에도 끝내 참가를 거부했다.
- ↑ 본선 진출 횟수. 독립 당시만 계산
- ↑ A조 1위로, 8강을 거쳐 4강에서 쿠웨이트에 2:3으로 패하며 3·4위전을 앞두고 있었지만 심판 폭행 혐의가 인정되어 실격처리되고 동메달은 사우디에게 수여되었다.
- ↑ 아시안컵 북한대표팀 사령탑에 조동섭 감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