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5년 동아시아 축구 선수권 대회

2005년 동아시아 축구 선수권 대회 | |
---|---|
2005 East Asian Football Championship | |
개최국 | ![]() |
개최기간 | 7월 31일 ~ 8월 7일 |
참가팀 | (1개 대륙) |
경기장 | 본선 대전・전주・대구 예선 타이베이 |
결과 | |
3위 | ![]() |
4위 | ![]() |
통계 | |
총 경기 | 6경기 |
총 득점 | 10골 (경기당 1.67골) |
총 관중 | 140,559명 (경기당 23,427명) |
최다 득점 | 수상자 없음 |
최우수 선수 | ![]() |
« 2003 2008 » |
2005년 동아시아 축구 선수권 대회는 동아시아 축구 연맹의 가맹국 남자 축구 국가대표팀들이 참가하는 동아시안컵의 제2회 대회이다. 2005년부터 동아시안컵에 여자부 대회가 별도로 창설되어 추후의 동아시안컵에서는 남자부 대회와 여자부 대회가 모두 열린다. 당해 대회와 동일한 성격의 여자부 대회로는 2005년 동아시아 여자 축구 선수권 대회가 있다.
대회는 예선 대회와 결승 대회로 구성된다. 예선 대회는 중화 타이베이에서 2005년 3월 5일부터 2005년 3월 13일까지 개최되었다. 예선 대회에는 총 5개국이 출전하였고, 참가국은 1차례의 리그전을 통해 결승 대회에 진출할 1개국을 선발한다. 마카오는 국제 축구 연맹(FIFA)으로부터 자격 정지 처분을 받아 당해 대회에 불참하였다.
결승 대회는 대한민국에서 2005년 7월 31일부터 2005년 8월 7일까지 개최되었다. 동아시아 축구 연맹 가맹국 중에서 FIFA 랭킹 기준 상위 3개국 자격으로 대한민국, 일본, 중국은 결승 대회에 자동으로 진출한다. 결승 대회 자동 진출 3개국 및 예선 대회를 통과한 1개국은 1차례의 리그전을 통해 당해 대회의 승자를 결정한다.
예선 대회[편집]
예선 대회는 중화 타이베이에서 2005년 3월 5일부터 2005년 3월 13일까지 개최되었다. 예선 대회에는 총 5개국이 출전하였고, 참가국은 1차례의 리그전을 통해 결승 대회에 진출할 1개국을 선발한다. 마카오는 국제 축구 연맹(FIFA)으로부터 자격 정지 처분을 받아 당해 대회에 불참하였다.
경기장[편집]
제2회 동아시안컵 예선 대회는 중화 타이베이의 중산 축구장에서 열렸다.
중산 축구장 |
---|
![]() |
수용인원: 20,000명 |
![]() |
대회 순위[편집]
순위 | 국가 | 승점 | 경기 | 승 | 무 | 패 | 득 | 실 | 차 |
---|---|---|---|---|---|---|---|---|---|
1 | ![]() |
12 | 4 | 4 | 0 | 0 | 31 | 0 | +31 |
2 | ![]() |
9 | 4 | 3 | 0 | 1 | 26 | 2 | +24 |
3 | ![]() |
4 | 4 | 1 | 1 | 2 | 9 | 7 | +2 |
4 | ![]() |
4 | 4 | 1 | 1 | 2 | 4 | 13 | -9 |
5 | ![]() |
0 | 4 | 0 | 0 | 4 | 1 | 49 | -48 |
일정 및 결과[편집]
- 1차전
2005년 3월 5일 14:00 UTC+8 | ||||||
중화 타이베이 ![]() |
9 – 0 | ![]() |
중산 축구장, 타이베이 | |||
투밍펑 ![]() 궈인훙 ![]() 장스루 ![]() 허밍잔 ![]() |
||||||
2005년 3월 5일 16:30 UTC+8 | ||||||
홍콩 ![]() |
6 – 0 | ![]() |
중산 축구장, 타이베이 | |||
추시우케이 ![]() 라우춘봉 ![]() 웡춘위에 ![]() 람카와이 ![]() 찬이우룬 ![]() |
||||||
- 2차전
2005년 3월 7일 14:00 UTC+8 | ||||||
괌 ![]() |
0 – 15 | ![]() |
중산 축구장, 타이베이 | |||
찬와이호 ![]() 찬시우키 ![]() 찬이우룬 ![]() 웡춘위에 ![]() 추시우케이 ![]() 푼만틱 ![]() | ||||||
2005년 3월 7일 16:30 UTC+8 |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 |
6 – 0 | ![]() |
중산 축구장, 타이베이 | |||
김광혁 ![]() 리혁철 ![]() 홍영조 ![]() |
||||||
- 3차전
2005년 3월 9일 14:00 UTC+8 | ||||||
중화 타이베이 ![]() |
0 – 2 | ![]() |
중산 축구장, 타이베이 | |||
최철만 ![]() | ||||||
2005년 3월 9일 16:30 UTC+8 | ||||||
몽골 ![]() |
4 – 1 | ![]() |
중산 축구장, 타이베이 | |||
툭스바야르 ![]() 바야르조릭 ![]() 부만우치랄 ![]() |
팬절리넌 ![]() | |||||
- 4차전
2005년 3월 11일 14:00 UTC+8 | ||||||
중화 타이베이 ![]() |
0 – 5 | ![]() |
중산 축구장, 타이베이 | |||
찬이우룬 ![]() 람카와이 ![]() 푼이우척 ![]() 장스하오 ![]() | ||||||
2005년 3월 11일 16:30 UTC+8 | ||||||
괌 ![]() |
0 – 21 | ![]() |
중산 축구장, 타이베이 | |||
홍영조 ![]() 최철만 ![]() 김광혁 ![]() 김영준 ![]() 강진혁 ![]() 박남철 ![]() | ||||||
- 5차전
2005년 3월 13일 14:00 UTC+8 | ||||||
중화 타이베이 ![]() |
0 – 0 | ![]() |
중산 축구장, 타이베이 | |||
2005년 3월 13일 16:30 UTC+8 | ||||||
홍콩 ![]() |
0 – 2 | ![]() |
중산 축구장, 타이베이 | |||
강진혁 ![]() 리명삼 ![]() | ||||||
수상 내역[편집]
페어플레이상 | 최우수 골키퍼상 | 최우수 수비수상 | 득점상 | MVP |
---|---|---|---|---|
![]() |
![]() |
![]() |
![]() |
![]() |
결승 대회[편집]
결승 대회는 대한민국에서 2005년 7월 31일부터 2005년 8월 7일까지 개최되었다. 동아시아 축구 연맹 가맹국 중에서 FIFA 랭킹 기준 상위 3개국 자격으로 대한민국, 일본, 중국은 결승 대회에 자동으로 진출한다. 결승 대회 자동 진출 3개국 및 예선 대회를 통과한 1개국은 1차례의 리그전을 통해 당해 대회의 승자를 결정한다.
경기장[편집]
제2회 동아시안컵 결승 대회는 대한민국의 대전월드컵경기장(대전 하나 시티즌 홈구장), 전주월드컵경기장(전북 현대 모터스 홈구장) 및 대구월드컵경기장(대구 FC 홈구장)에서 열렸다.
대전월드컵경기장 | 전주월드컵경기장 | 대구월드컵경기장 |
---|---|---|
![]() |
![]() |
![]() |
수용인원: 42,176명 | 수용인원: 42,477명 | 수용인원: 66,422명 |
![]() |
선수 명단[편집]
대회 순위[편집]
순위 | 국가 | 승점 | 경기 | 승 | 무 | 패 | 득 | 실 | 차 |
---|---|---|---|---|---|---|---|---|---|
1 | ![]() |
5 | 3 | 1 | 2 | 0 | 5 | 3 | +2 |
2 | ![]() |
4 | 3 | 1 | 1 | 1 | 3 | 3 | 0 |
3 | ![]() |
4 | 3 | 1 | 1 | 1 | 1 | 2 | -1 |
4 | ![]() |
2 | 3 | 0 | 2 | 1 | 1 | 2 | -1 |
일정 및 결과[편집]
- 1차전
2005년 7월 31일 공한증 17:00 UTC+9 | ||||||
대한민국 ![]() |
1 – 1 | ![]() |
대전월드컵경기장, 대전 관중: 25,374명 심판: ![]() | |||
김진규 ![]() |
리포트 | 쑨샹 ![]() | ||||
2005년 7월 31일 19:30 UTC+9 |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 |
1 – 0 | ![]() |
대전월드컵경기장, 대전 관중: 23,150명 심판: ![]() | |||
김영준 ![]() |
리포트 | |||||
- 2차전
2005년 8월 3일 20:20 UTC+9 | ||||||
일본 ![]() |
2 – 2 | ![]() |
대전월드컵경기장, 대전 관중: 1,827명 심판: ![]() | |||
모니와 ![]() 다나카 ![]() |
리포트 | 리진위 ![]() 장융하이 ![]() | ||||
2005년 8월 4일 남북전 20:00 UTC+9 | ||||||
대한민국 ![]() |
0 – 0 | ![]() |
전주월드컵경기장, 전주 관중: 27,455명 심판: ![]() | |||
리포트 | ||||||
- 3차전
2005년 8월 7일 17:15 UTC+9 | ||||||
중국 ![]() |
2 – 0 | ![]() |
대구월드컵경기장, 대구 관중: 20,000명 심판: ![]() | |||
리얀 ![]() 셰후이 ![]() |
리포트 | |||||
2005년 8월 7일 한일전 20:00 UTC+9 | ||||||
대한민국 ![]() |
0 – 1 | ![]() |
대구월드컵경기장, 대구 관중: 42,753명 심판: ![]() | |||
리포트 | 나카자와 ![]() | |||||
우승국[편집]
동아시아 축구 선수권 대회 우승 |
---|
![]() |
제2대 동아시아 챔피언 (1회 우승) |
2005년 |
최종 순위[편집]
순위 | 국가 | 경기 | 승 | 무 | 패 | 득 | 실 | 차 | 승점 |
---|---|---|---|---|---|---|---|---|---|
1 | ![]() |
3 | 1 | 2 | 0 | 5 | 3 | +2 | 5 |
2 | ![]() |
3 | 1 | 1 | 1 | 3 | 3 | 0 | 4 |
3 | ![]() |
3 | 1 | 1 | 1 | 1 | 2 | -1 | 4 |
4 | ![]() |
3 | 0 | 2 | 1 | 1 | 2 | -1 | 2 |
▲ 결승 대회 진출 | |||||||||
5 | ![]() |
4 | 3 | 0 | 1 | 26 | 2 | +24 | 9 |
6 | ![]() |
4 | 1 | 1 | 2 | 9 | 7 | +2 | 4 |
7 | ![]() |
4 | 1 | 1 | 2 | 4 | 13 | -9 | 4 |
8 | ![]() |
4 | 0 | 0 | 4 | 1 | 49 | -48 | 0 |
▲ 예선 대회 진출 |
- 예선 대회에서 우승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경우 결승 대회에서의 성적만을 기재한다.
수상 내역[편집]
페어플레이상 | 최우수 골키퍼상 | 최우수 수비수상 | 득점상 | MVP |
---|---|---|---|---|
![]() |
![]() |
![]() |
수상자 없음 | ![]() |
기록과 통계[편집]
트리비아[편집]
- 2005년 동아시안컵 여자부 대회가 창설되어 이후부터는 남자부 대회와 여자부 대회가 모두 열린다. 다이너스티컵 시대에는 남자부 대회만 있었기 때문에 동아시안컵 여자부 대회는 최초의 "동아시아 여자 축구 대회"가 된다. 참고로 아시아 축구 연맹(AFC) 산하 지역연맹들은 각각 아세안 축구 연맹(AFF)이 2004년, 동아시아 축구 연맹(EAFF)과 서아시아 축구 연맹(WAFF)이 2005년, 남아시아 축구 연맹(SAFF)이 2010년에 최초로 지역 여자 축구 선수권 대회를 개최한다. 중앙아시아 축구 연맹(CAFA)에서는 2017년 기준 U-19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을 대상으로 하는 대회만 창설한 상태다.
- 당해 대회에서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은 2무 1패의 저조한 성적을 거둔다. 이를 계기로 대한민국에서는 당시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을 이끌던 본프레레 감독에 대한 경질론이 강하게 제기되었다. 이후 2006년 FIFA 월드컵 아시아 지역 예선에서 사우디아라비아 축구 국가대표팀에게 패하면서 최종적으로 본프레레 감독은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 지휘봉을 내려놓게 된다.[1]
각주[편집]
- ↑ 김종력 (2005년 8월 23일). “본프레레, '취임부터 경질까지 위기의 순간들'”. 조이뉴스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