타지키스탄 축구 국가대표팀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연맹 | 타지키스탄 축구 연맹 |
---|---|
대륙 | 아시아 축구 연맹 |
감독 | ![]() |
최다 출전자 | 파트훌로 파트훌로에프 (64) |
최다 득점자 | 마누체흐르 잘릴로프 (17) |
홈 구장 | 파미르 스타디움 |
FIFA 코드 | TJK |
FIFA 랭킹 | 이 페이지에서 확인하세요 최고 순위: 114위 (1997년 7월) 최저 순위: 180위 (2003년 7월) |
첫 국제 경기 출전 |
![]() ![]() (타지키스탄, 두샨베; 1992년 6월 17일) |
최다 점수차 승리 |
![]() ![]() (이란, 타브리즈; 2000년 11월 26일, 2002년 FIFA 월드컵 아시아 지역 예선) |
최다 점수차 패배 |
![]() ![]() (일본, 오사카; 2011년 10월 11일, 2014년 FIFA 월드컵 아시아 지역 예선) |
유니폼 | |
AFC 챌린지컵 | |
출전 횟수 | 4회 (2006년에 처음 출전) |
최고 성적 | 우승 (2006년) |
타지키스탄 축구 국가대표팀은 타지키스탄을 대표하는 축구 국가대표팀으로 타지키스탄 축구 연맹에서 관리하고 있다. 대표팀 별칭은 '페르시안의 사자들', '파미르 사람들' 등이며 1992년 6월 17일 우즈베키스탄과의 친선 경기에서 국제 A매치 데뷔전을 치뤘다. 홈 구장은 파미르 스타디움이며 감독은 우즈베키스탄 출신의 우스몬 토셰프이다.
목차
개요[편집]
FIFA 월드컵과 AFC 아시안컵 본선 경험은 전무하다. 다만 가장 좋은 성적을 거둔 월드컵 지역 예선은 1998년 FIFA 월드컵 아시아 지역 예선으로 6경기에서 4승 1무 1패를 기록했고 이 과정에서 터뜨린 득점은 15골이며 실점은 단 2점에 불과했다. 그리고 AFC 챌린지컵 본선에는 4번 출전하여 2006년 대회에서 AFC 주관 대회 및 모든 국제 대회를 통틀어 사상 첫 우승을 차지했고 2008년 대회에서는 준우승을 차지했다. 아시안 게임 축구에는 U-23 대표팀까지 포함해 3번 참가하여 1998년과 2014년 대회에서 16강에 진출했고 방글라데시에서 열린 2018년 방가반두컵에서는 팔레스타인에게 결승에서 0-1로 패하면서 준우승을 차지했다. 이밖에도 1993년 에코컵에서 3위에 입상했고 1997년 서아시아 경기 대회에서도 4위의 성적을 거두었으며 2005년 이슬라믹 솔리대리티 경기 대회에서는 조별리그에서 탈락했다.
FIFA 월드컵 (본선)[편집]
년도 | 결과 | 순위 | 경기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승점 |
---|---|---|---|---|---|---|---|---|---|
![]() |
소련으로 참가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없음[1] | ||||||||
![]() |
예선 탈락 | ||||||||
![]() ![]() | |||||||||
![]() | |||||||||
![]() | |||||||||
![]() | |||||||||
![]() | |||||||||
합계 |
FIFA 월드컵 (예선)[편집]
년도 | 경기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승점 | ||
---|---|---|---|---|---|---|---|---|---|
![]() |
소련으로 참가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없음[2] | ||||||||
![]() |
6 | 4 | 1 | 1 | 15 | 2 | 13 | ||
![]() ![]() |
2 | 1 | 0 | 1 | 16 | 2 | 3 | ||
![]() |
8 | 4 | 1 | 3 | 9 | 9 | 13 | ||
![]() |
4 | 1 | 2 | 1 | 7 | 4 | 5 | ||
![]() |
8 | 2 | 1 | 5 | 7 | 18 | 7 | ||
![]() |
8 | 1 | 2 | 5 | 9 | 20 | 5 | ||
합계 | 36 | 13 | 7 | 16 | 63 | 55 | 46 | ||
순위 | 월드컵 예선 승점 순위 : 125위 (아시아 25위) |
AFC 아시안컵[편집]
AFC 아시안컵 (예선)[편집]
AFC 아시안컵 예선 기록 | |||||||||
---|---|---|---|---|---|---|---|---|---|
년도 | 경기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승점 | ||
![]() |
없음(소련의 일원)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없음(독립국가연합으로 유로 대회 참가) | ||||||||
![]() |
2 | 1 | 0 | 1 | 4 | 5 | 3 | ||
![]() |
3 | 2 | 0 | 1 | 6 | 5 | 6 | ||
![]() |
6 | 2 | 2 | 2 | 3 | 5 | 8 | ||
![]() ![]() ![]() ![]() |
AFC 챌린지컵 배정 | ||||||||
![]() | |||||||||
![]() | |||||||||
![]() |
16 | 5 | 3 | 8 | 25 | 29 | 18 | ||
합계 | 27 | 10 | 5 | 12 | 38 | 44 | 35 |
AFC 챌린지컵[편집]
년도 | 결과 | 경기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승점 |
---|---|---|---|---|---|---|---|---|
![]() |
우승 | 6 | 5 | 0 | 1 | 18 | 2 | 15 |
![]() |
준우승 | 5 | 2 | 2 | 1 | 7 | 5 | 8 |
![]() |
3위 | 5 | 3 | 0 | 2 | 8 | 5 | 9 |
![]() |
조별리그 | 3 | 1 | 0 | 2 | 3 | 4 | 3 |
![]() |
예선 탈락 | |||||||
합계 | 우승(1회) | 19 | 11 | 2 | 6 | 36 | 16 | 35 |
아시안 게임[편집]
아시안 게임 기록 | |||||||||
---|---|---|---|---|---|---|---|---|---|
년도 | 결과 | 순위 | 경기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승점 |
![]() |
없음(소련으로 참가)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불참 | ||||||||
![]() |
16강 | 14위 | 5 | 1 | 1 | 3 | 8 | 13 | 4 |
![]() |
불참 | ||||||||
![]() |
예선탈락 | 25위 | 3 | 1 | 2 | 0 | 7 | 3 | 5 |
![]() |
불참 | ||||||||
![]() |
16강 | 13위 | 4 | 2 | 0 | 2 | 5 | 6 | 6 |
합계 | 3회 출전(3/6[8]) | 16강(2회) | 12 | 4 | 3 | 5 | 20 | 22 | 15 |
주목할 만한 선수[편집]
- 시요푸시 아스로로프
- 아흐탐 나자로프
- 아미르벡 유라보예프
- 야혼기르 예르가셰프
- 파르비존 우마르바예프
- 콤론 투르수노프
- 압두아지즈 마하모프
- 마누체흐르 잘릴로프
각주[편집]
- ↑ 타지키스탄 축구협회 창립 이전
- ↑ 타지키스탄 축구협회 창립 이전
- ↑ 2차 예선에서 시리아와 만나 원정 1:2, 홈 0:4로 2연패를 당하며 탈락이 확정됐으나 3차예선 조 추첨 직후에 시리아가 부정 선수를 출전시킨 것이 드러나 출전권을 박탈당했고, 덕분에 시리아의 빈 자리를 대신 채우면서 어부지리로 3차 예선에 올라갈 수 있었다. 그러나 우즈베키스탄, 일본, 북한에 1무 5패, 1득점 18실점으로 무기력하게 탈락했다.
- ↑ 모든 연령의 선수 참가에서 23세 이하로 변경
- ↑ 모든 연령의 선수 참가에서 23세 이하로 변경
- ↑ 모든 연령의 선수 참가에서 23세 이하로 변경
- ↑ 모든 연령의 선수 참가에서 23세 이하로 변경
- ↑ 본선 진출 횟수. 독립 이후로 계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