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련 축구 국가대표팀
![]() | |||
---|---|---|---|
연맹 | 소련 축구 협회 | ||
대륙 | 유럽 축구 연맹 | ||
최다 출전자 | 올레흐 블로힌 (112) | ||
최다 득점자 | 올레흐 블로힌 (42) | ||
FIFA 코드 | URS | ||
| |||
첫 국제 경기 출전 | |||
![]() ![]() (스웨덴 스톡홀름; 1912년 6월 30일) | |||
마지막 국제 경기 출전l | |||
![]() ![]() (키프로스 라르나카; 1991년 11월 13일, UEFA 유로 1992 예선) | |||
최다 점수차 승리 | |||
![]() ![]() (소련 모스크바; 1955년 9월 16일) ![]() ![]() (핀란드 헬싱키; 1957년 8월 15일, 1958년 FIFA 월드컵 유럽 지역 예선) | |||
최다 점수차 패배 | |||
![]() ![]() (잉글랜드 런던; 1958년 10월 22일) | |||
월드컵 | |||
출전 횟수 | 7회 (1958년에 처음 출전) | ||
최고 성적 | 4위 (1966년) | ||
유럽축구선수권대회 | |||
출전 횟수 | 6회 (1960년에 처음 출전) | ||
최고 성적 | 우승, 1960년 |
메달 기록 | |||
---|---|---|---|
남자 축구 | |||
올림픽 | |||
금 | 1956 멜버른 | 축구 | |
동 | 1972 뮌헨 | 축구 | |
동 | 1976 몬트리올 | 축구 | |
동 | 1980 모스크바 | 축구 | |
금 | 1988 서울 | 축구 |
소련 축구 국가대표팀은 과거 소련을 대표하는 축구 국가대표팀이었다. 이 팀은 1991년에 일어난 소련의 붕괴로 인해 존재하지 않는다. 한때 세계 축구계의 강호 중 하나였다. FIFA는 현재 러시아 축구 국가대표팀의 전신을 소련 축구 국가대표팀으로 인정해, 소련이 작성한 기록에 대한 계승을 그대로 인정하고 있다.[1]
국제대회 기록[편집]
FIFA 월드컵[편집]
FIFA 월드컵 본선 기록 | FIFA 월드컵 예선 기록 | |||||||||||||||
---|---|---|---|---|---|---|---|---|---|---|---|---|---|---|---|---|
년도 | 결과 | 순위 | 경기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승점 | 경기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승점 |
![]() |
불참 | 불참 | ||||||||||||||
![]() | ||||||||||||||||
![]() | ||||||||||||||||
![]() | ||||||||||||||||
![]() | ||||||||||||||||
![]() |
8강 | 6위 | 5 | 2 | 1 | 2 | 5 | 6 | 7 | 5[2] | 4 | 0 | 1 | 18 | 3 | 12 |
![]() |
8강 | 6위 | 4 | 2 | 1 | 1 | 9 | 7 | 7 | 4[3] | 4 | 0 | 0 | 11 | 3 | 12 |
![]() |
4위 | 4위 | 6 | 4 | 0 | 2 | 10 | 6 | 12 | 6[4] | 5 | 0 | 1 | 19 | 6 | 15 |
![]() |
8강 | 5위 | 4 | 2 | 1 | 1 | 6 | 2 | 7 | 4[5] | 3 | 1 | 0 | 8 | 1 | 10 |
![]() |
플레이오프 도중 실격 | 5[6] | 3 | 1 | 1 | 5 | 2 | 10 | ||||||||
![]() |
예선 탈락 | 4[7] | 2 | 0 | 2 | 5 | 3 | 6 | ||||||||
![]() |
2라운드 | 7위 | 5 | 2 | 2 | 1 | 7 | 4 | 8 | 8[8] | 6 | 2 | 0 | 20 | 2 | 20 |
![]() |
16강 | 10위 | 4 | 2 | 1 | 1 | 12 | 5 | 7 | 8[9] | 4 | 2 | 2 | 13 | 8 | 14 |
![]() |
조별리그 | 17위 | 3 | 1 | 0 | 2 | 4 | 4 | 3 | 8[10] | 4 | 3 | 1 | 11 | 4 | 15 |
![]() |
해체(러시아가 승계) | 해체 | ||||||||||||||
합계 | 7회 진출(7/14) | 4강(4위 1회) | 31 | 15 | 6 | 10 | 53 | 34 | 51 | 52 | 35 | 9 | 8 | 110 | 32 | 114 |
UEFA 유럽 축구 선수권 대회[편집]
UEFA 유로 대회 기록 | UEFA 유로 예선전 기록 | |||||||||||||||
---|---|---|---|---|---|---|---|---|---|---|---|---|---|---|---|---|
년도 | 결과 | 순위 | 경기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승점 | 경기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승점 |
![]() |
우승 | 1위 | 2 | 2 | 0 | 0 | 5 | 1 | 6 | 2 | 2 | 0 | 0 | 4 | 1 | 6 |
![]() |
준우승 | 2위 | 2 | 1 | 0 | 1 | 4 | 2 | 3 | 4 | 2 | 2 | 0 | 7 | 3 | 8 |
![]() |
4강 | 4위 | 2 | 0 | 1 | 1 | 0 | 2 | 1 | 8 | 6 | 0 | 2 | 19 | 8 | 18 |
![]() |
준우승 | 2위 | 2 | 1 | 0 | 1 | 1 | 3 | 3 | 8 | 5 | 3 | 0 | 16 | 4 | 18 |
![]() |
예선 탈락 | 8 | 4 | 1 | 3 | 12 | 10 | 13 | ||||||||
![]() |
6 | 1 | 3 | 2 | 7 | 8 | 6 | |||||||||
![]() |
6 | 4 | 1 | 1 | 11 | 2 | 13 | |||||||||
![]() |
준우승 | 2위 | 5 | 3 | 1 | 1 | 7 | 4 | 10 | 8 | 5 | 3 | 0 | 14 | 3 | 18 |
![]() |
조별리그 | 8위 | 3 | 0 | 2 | 1 | 1 | 4 | 2 | 8 | 5 | 3 | 0 | 13 | 2 | 18 |
![]() |
해체(러시아가 승계) | 해체 | ||||||||||||||
합계 | 6회 진출(6/9) | 우승(1회) | 16 | 7 | 4 | 5 | 18 | 16 | 25 | 58 | 34 | 16 | 8 | 103 | 41 | 118 |
하계 올림픽[편집]
올림픽 축구 기록 | |||||||||
---|---|---|---|---|---|---|---|---|---|
년도 | 결과 | 순위 | 경기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승점 |
![]() |
불참 | ||||||||
![]() | |||||||||
![]() | |||||||||
![]() | |||||||||
![]() |
1라운드 | 9위 | 3 | 1 | 1 | 1 | 8 | 9 | 4 |
![]() |
금메달 | 우승 | 5 | 4 | 1 | 0 | 9 | 2 | 13 |
![]() |
진출 실패 | ||||||||
![]() | |||||||||
![]() | |||||||||
![]() |
동메달 | 3위 | 7 | 5 | 1 | 1 | 17 | 6 | 16 |
![]() |
동메달 | 3위 | 5 | 4 | 0 | 1 | 10 | 4 | 12 |
![]() |
동메달 | 3위 | 6 | 5 | 0 | 1 | 19 | 3 | 15 |
![]() |
불참[17] | ||||||||
![]() |
금메달 | 우승 | 6 | 5 | 1 | 0 | 14 | 6 | 16 |
![]() |
진출 실패 | ||||||||
합계 | 6회 진출(6/15) | 금메달(2회) | 32 | 24 | 4 | 4 | 77 | 30 | 76 |
국가대표팀[편집]
구 소비에트 연방 소속 공화국[편집]
나라 | 연맹 | 국제 토너먼트 | 기타 사항 |
---|---|---|---|
![]() |
UEFA | ||
![]() |
UEFA | ||
![]() |
UEFA | ||
![]() |
UEFA | ||
![]() |
UEFA | ||
![]() |
UEFA | 1992–2002 AFC 회원국 | |
![]() |
AFC | 2019년 AFC 아시안컵 | |
![]() |
UEFA | UEFA 유로 2004 | |
![]() |
UEFA | ||
![]() |
UEFA | ||
![]() |
UEFA | 1994년 FIFA 월드컵 UEFA 유로 1996 2002년 FIFA 월드컵 UEFA 유로 2004 UEFA 유로 2008 UEFA 유로 2012 2014년 FIFA 월드컵 UEFA 유로 2016 2018년 FIFA 월드컵 |
|
![]() |
AFC | ||
![]() |
AFC | 2004년 AFC 아시안컵 2019년 AFC 아시안컵 |
|
![]() |
UEFA | 2006년 FIFA 월드컵 UEFA 유로 2012 UEFA 유로 2016 |
|
![]() |
AFC | 1996년 AFC 아시안컵 2000년 AFC 아시안컵 2004년 AFC 아시안컵 2007년 AFC 아시안컵 2011년 AFC 아시안컵 2015년 AFC 아시안컵 2019년 AFC 아시안컵 |
분리 이후 참가한 팀들의 FIFA 월드컵 성적[편집]
팀 | ![]() 1994 |
![]() 1998 |
![]() ![]() 2002 |
![]() 2006 |
![]() 2010 |
![]() 2014 |
![]() 2018 |
![]() 2022 |
합계 |
---|---|---|---|---|---|---|---|---|---|
![]() |
1R | 탈락 | 1R | 탈락 | 탈락 | 1R | 8강 | 자격박탈 | 4 |
![]() |
불참 | 탈락 | 탈락 | 8강 | 탈락 | 탈락 | 탈락 | ? | 1 |
합계 | 1 | 0 | 1 | 1 | 0 | 1 | 1 | ? | 5 |
분리 이후 참가한 팀들의 유럽축구선수권대회 성적[편집]
팀 | ![]() 1992 |
![]() 1996 |
![]() ![]() 2000 |
![]() 2004 |
![]() ![]() 2008 |
![]() ![]() 2012 |
![]() 2016 |
합계 |
---|---|---|---|---|---|---|---|---|
![]() |
1R | 탈락 | 1R | 4강 | 1R | 1R | 5 | |
![]() |
1R | 1 | ||||||
![]() |
탈락 | 탈락 | 1R | 탈락 | 탈락 | 탈락 | 1 | |
![]() |
탈락 | 탈락 | 탈락 | 탈락 | 1R | 1R | 2 | |
합계 | 1 | 1 | 0 | 2 | 1 | 2 | 2 | 9 |
- 참고: UEFA 유럽 축구 선수권 대회는 3위 결정전을 별도로 치르지 않는다.
분리 이후 참가한 팀들의 아시아 대회 기록[편집]
소비에트 연방의 해체 이후 분리된 팀들 중 우즈베키스탄, 카자흐스탄, 키르기스스탄, 타지키스탄, 투르크메니스탄은 아시아 축구 연맹에 편입되었다. 그러나 그 이후 카자흐스탄은 2002년에 다시 유럽 축구 연맹으로 편입되었다.
AFC 아시안컵[편집]
팀 | ![]() 1996 |
![]() 2000 |
![]() 2004 |
![]() ![]() ![]() ![]() 2007 |
![]() 2011 |
![]() 2015 |
![]() 2019 |
합계 |
---|---|---|---|---|---|---|---|---|
![]() |
1R | 1R | 8강 | 8강 | 4위 | 8강 | 16강 | 7 |
![]() |
탈락 | 탈락 | 1R | 불참 | 탈락 | 탈락 | 1R | 2 |
![]() |
탈락 | 탈락 | 탈락 | 불참 | 탈락 | 탈락 | 16강 | 1 |
합계 | 1 | 1 | 2 | 1 | 1 | 1 | 3 | 10 |
AFC 챌린지컵[편집]
팀 | ![]() 2006 |
![]() 2008 |
![]() 2010 |
![]() 2012 |
![]() 2014 |
합계 |
---|---|---|---|---|---|---|
![]() |
우승 | 2위 | 3위 | 1R | 탈락 | 4 |
![]() |
― | 1R | 2위 | 2위 | 1R | 4 |
![]() |
4강 | 탈락 | 1R | 탈락 | 1R | 3 |
합계 | 2 | 2 | 3 | 2 | 2 | 11 |
- 참고:
- 2006년 AFC 챌린지컵은 3위 결정전을 치르지 않았다.
- 투르크메니스탄은 2006년 AFC 챌린지컵 참가 대상 팀이 아니었다.
주목할 만한 선수[편집]
러시아 |
우크라이나 |
벨라루스 조지아 아르메니아 아제르바이잔 |
출처 및 참고자료[편집]
- ↑ “보관된 사본”. 2011년 8월 29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1년 9월 1일에 확인함.
- ↑ 폴란드와 3승 1패로 승점 동률이 되어 플레이오프를 치른 끝에 2:0으로 이기고 올라갔다. 다만 골득실에서 9점이나 앞선 상태였는데, 당시엔 골득실을 계산하지 않았으므로 지금이었다면 플레이오프를 거치지 않고 소련이 본선에 직행했을 것이다.
- ↑ 터키와 노르웨이에 홈&어웨이 전승을 거두며 본선진출에 성공했다.
- ↑ 웨일즈, 그리스, 덴마크와 같은 조에 속해 5승 1패 조 1위로 본선에 직행했다. 당시 덴마크가 조 최하위였는데 이번이 두 번째 참여에다 소련에 6:0으로 패하는 등 당시엔 전력이 아주 낮은 팀이었다.
- ↑ 북아일랜드, 터키와 같은 조에 속해 3승 1무 조 1위로 본선에 올라갔다.
- ↑ 9조에서 프랑스, 아일랜드를 누르고 조 1위를 차지해 남미3조 1위인 칠레와 플레이오프를 치르기로 되어있었다. 홈에서 0:0으로 비긴 후 원정 경기를 앞두고 칠레에서 쿠데타가 일어났는데 이에 항의하면서 참가를 거부했고 결국 실격처리당했다.
- ↑ 9조에서 헝가리에 본선티켓을 내주고 조2위로 탈락했다. 1991년 소련이 해체되면서 지금까지도 소련의 유일한 지역예선 탈락으로 기록되어있다.
- ↑ 체코슬로바키아를 제치고 조 1위로 12년만의 본선진출에 성공했다.
- ↑ 덴마크에 조 1위를 넘겨주고 2위로 본선에 진출했는데, 당시에는 엄청난 이변으로 받아들여졌으나 본선에서 우루과이를 6:1, 서독을 2:0으로 누르고 3전 전승으로 16강에 진출하면서 덴마크가 강팀으로 거듭나는 계기가 되었다. 물론 2위로 미끄러진 소련도 본선에서 좋은 성적을 거두었다.
- ↑ 3조에서 오스트리아, 터키, 동독을 제치고 조 1위로 본선에 올라갔다. 4강 후보로까지 여겨졌으나 이변의 희생양이 되며 일찌감치 탈락했고, 이듬해 소련이 해체되면서 그들의 마지막 월드컵 기록으로 남았다.
- ↑ 프랑스에서 열린 첫 유로컵에서 우승을 차지했다. 준결승에서 체코슬로바키아를 3:0, 결승에서 유고슬라비아를 2:1로 누르며 초대 챔피언 타이틀을 가져가는데 성공했다. 그러나 이후로는 결승전에 몇 번 진출했지만 더 이상의 우승컵을 가져오지 못하고 있다.
- ↑ 전 대회 우승국으로 예선을 통과하여 2연속 본선 진출에 성공했다. 준결승에서 덴마크를 3:0으로 눌렀지만 결승전에서 스페인에게 1:2로 석패하며 2연속 우승에는 실패했다.
- ↑ 3연속 본선 진출에 성공했지만 준결승에서 이탈리아와 비기고 동전 던지기에서 지고 3·4위전으로 밀려났으며(당시엔 승부차기 규정이 없었다), 여기선 잉글랜드에 0:2로 패하며 최종 4위로 대회를 마감했다.
- ↑ 4연속 본선에 진출해 준결승에서 헝가리를 1:0으로 누르고 8년만의 결승에 올랐지만 서독에게 0:3으로 패하며 준우승에 머물렀다.
- ↑ 4연속 진출 이후 다시 3연속 본선 진출에 실패하고 고배를 마셨으나 16년만의 본선 진출에 성공했다. 죽음의 B조(잉글랜드, 네덜란드, 아일랜드)에서 1위로 통과하고 준결승에서 이탈리아마저 2:0으로 누르고 결승에 올라 오랜만에 부활의 신호탄을 쏘아올렸지만, 결승전에서는 예선에서 1:0으로 이겼던 네덜란드에 0:2로 복수당하며 다시 준결승에 머물렀다. 하지만 러시아로 바뀐 최근 25년 동안 이 정도의 성적을 낸 적이 없으며 소비에트 연방으로 진출한 마지막 대회이기도 했다.
- ↑ 예선 3조에서 이탈리아, 노르웨이, 헝가리, 키프로스를 누르고 본선 진출에 성공했지만, 조 추첨 직후인 1991년 12월 소련이 해체되면서 본선에는 독립국가연합으로 참여했다. 독립국가연합에는 발트3국을 제외한 나머지 12개의 공화국이 참여했으나 네덜란드, 독일과 비기고 스코틀랜드에 지면서 2무 1패 조 최하위로 탈락했다.
- ↑ 적성국인 미국에서 경기가 열려 소련을 비롯한 공산 진영 대다수 국가들이 불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