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EFA 유로 2008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UEFA 유로 2008
UEFA EURO 2008 logo.svg
원어 명칭Fußball-Europameisterschaft 2008
Championnat d'Europe de football 2008
Campionato Europeo di calcio 2008
Campiunadis Europeans da ballape 2008
개최국오스트리아의 기 오스트리아
스위스의 기 스위스
개최기간6월 7일 ~ 6월 29일
경기장8 (8개 도시)
참가국16개국개국
결과
우승 (2번째 우승)
3위튀르키예 튀르키예
Flag of Russia.svg 러시아
최다 득점스페인 다비드 비야 (4골)
최우수 선수스페인 사비 에르난데스
총 경기31경기
총 득점77 (경기당 2.48골)골 (경기당 표현식 오류: "small" 낱말을 알 수 없습니다.골)
총 관중1,140,902명
(경기당 36,803명)명 (경기당 수식 오류: 알 수 없는 "," 구두점 문자입니다.명)
« 포르투갈 2004
2012 폴란드우크라이나 »

2008년 UEFA 유럽 축구 선수권 대회(독일어: Fußball-Europameisterschaft 2008, 프랑스어: Championnat d'Europe de football 2008, 이탈리아어: Campionato Europeo di calcio 2008, 로만슈어: Campiunadis Europeans da ballape 2008) 또는 UEFA 유로 2008(UEFA Euro 2008)은 2008년 6월 7일부터 6월 29일까지 오스트리아스위스가 공동 개최한 13번째 UEFA 유럽 축구 선수권 대회이다.

이 대회는 UEFA 유로 2000(벨기에-네덜란드 공동 개최)에 이어 역사상 2번째로 2개 이상의 나라에서 공동으로 개최된 UEFA 유럽 축구 선수권 대회이다. 오스트리아스위스는 공동 개최국 자격으로 본선 진출권을 자동으로 획득했으며 나머지 14개 팀은 2006년 8월부터 2007년 11월까지 진행된 예선을 통해 본선에 진출했다. 한편, 이 대회의 우승 팀인 스페인은 2009년 FIFA 컨페더레이션스컵 진출 티켓도 획득했다.

개최국 선정[편집]

2002년 6월까지 12개 나라가 입후보를 신청했다. 입후보를 신청했던 국가는 다음과 같다.

UEFA 집행위원회는 2002년 12월 12일에 열린 회의에서 최종 후보를 선정했다. 최종 후보로 선정된 국가는 다음과 같다.

UEFA 집행위원회의 투표 결과 오스트리아와 스위스가 UEFA 유로 2008 개최국으로 선정되었다.

개최 도시 및 경기장[편집]

스위스는 모든 조별 리그 경기를 바젤에서 치렀고 오스트리아는 모든 조별 리그 경기를 에서 치렀다.

2004년에는 취리히의 대회 경기장이 조직 위원들에게 문제가 되었다. 원래 하르투름을 개보수하여 취리히의 경기장으로 사용될 예정이었으나 법률에 위배되는 사항이 있어 계획대로 2008년에 경기장을 사용할 수 없게 되었다. 이것은 큰 문제를 야기했는데 조직 위원들과 UEFA 사이의 협약에서 각 나라당 4개의 경기장을 사용하기로 명문화했기 때문이다. 이 문제는 조직 위원들이 대신에 레치그룬트를 보수하기로 제안하면서 해결되었다. UEFA는 수정된 계획을 2005년 1월에 승인했다. 레치그룬트2007년 9월 23일 재개장 후 첫 축구 경기를 치렀다.[1]

오스트리아 오스트리아
클라겐푸르트 잘츠부르크 인스부르크
에른스트 하펠 슈타디온 뵈르터제 슈타디온 발스지첸하임 슈타디온 티볼리 노이
수용 인원: 53,295명 수용 인원: 31,957명 수용 인원: 31,020명 수용 인원: 31,600명
EHStadion040606w.jpg Hypo Group Arena - Westansicht.JPG Em stadion salzburg.jpg Umbau Tivoli Neu.JPG
Euro2008 Venues.PNG
스위스 스위스
바젤 베른 제네바 취리히
장크트 야콥 파크 스타드 드 스위스 스타드 드 제네브 레치그룬트
수용 인원: 42,000명 수용 인원: 31,907명 수용 인원: 31,228명 수용 인원: 30,000명
St. Jakob-Park 2004-01-09.jpg Stadedesuisse-2.jpg CH-AL Geneva 2003-06-11.jpg Letzigrund 2007ii.jpg

예선[편집]

예선 조 추첨은 2006년 1월 27일 12시(중부 유럽시 기준)에 스위스몽트뢰에서 있었다.

예선전은 2006년 FIFA 월드컵이 끝난 지 한 달 뒤부터 시작되었으며, 개최국인 오스트리아스위스는 자동적으로 본선 티켓을 획득하였다.

예선전 형식은 이전과 비교에 바뀌었는데, 7개 조에서 각 조의 1위와 2위 팀이 16개 팀이 참여하는 본선에서 두 자리를 차지한 개최국들과 함께 자동적으로 본선 티켓을 획득한다. 이 말은 즉 조에서 2위로 마친 팀들끼리의 별도의 플레이오프가 없다는 뜻이다. 2위로 마친 팀들도 본선에 직행하게 된다. 3위 혹은 그 밑의 결과를 얻은 팀들에게는 더 이상의 본선 티켓 획득 기회가 주어지지 않는다.

아래는 모든 7개의 예선 조들을 포함하는 표로, 유로 2008의 본선 티켓을 확보한 팀들은 초록색으로 강조되었고, 본선 진출에 실패한 팀들은 빨간색으로 강조되었다.

A조 B조 C조 D조 E조 F조 G조
Flag of Poland.svg 폴란드
Flag of Portugal.svg 포르투갈
Flag of France (1794–1815, 1830–1974, 2020–present).svg 프랑스
Flag of Italy.svg 이탈리아
Flag of Greece.svg 그리스
Flag of Turkey.svg 튀르키예
Flag of the Czech Republic.svg 체코
Flag of Germany.svg 독일
Flag of Croatia.svg 크로아티아
Flag of Russia.svg 러시아
Flag of Spain.svg 스페인
Flag of Sweden.svg 스웨덴
Flag of Romania.svg 루마니아
Flag of the Netherlands.svg 네덜란드
Flag of Serbia.svg 세르비아
Flag of Finland.svg 핀란드
Flag of Belgium (civil).svg 벨기에
Flag of Armenia.svg 아르메니아
Flag of Azerbaijan.svg 아제르바이잔
Flag of Kazakhstan.svg 카자흐스탄
Flag of Scotland.svg 스코틀랜드
Flag of Ukraine.svg 우크라이나
Flag of Lithuania.svg 리투아니아
Flag of Georgia.svg 조지아
Flag of the Faroe Islands.svg 페로 제도
Flag of Norway.svg 노르웨이
Flag of Bosnia and Herzegovina.svg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Flag of Moldova.svg 몰도바
Flag of Hungary.svg 헝가리
Flag of Malta.svg 몰타
Flag of Ireland.svg 아일랜드
Flag of Slovakia.svg 슬로바키아
Flag of Wales.svg 웨일스
Flag of Cyprus.svg 키프로스
Flag of San Marino.svg 산마리노
Flag of England.svg 잉글랜드
Flag of Israel.svg 이스라엘
Flag of Estonia.svg 에스토니아
Flag of North Macedonia.svg 북마케도니아
Flag of Andorra.svg 안도라
Flag of Northern Ireland (1953–1972).svg 북아일랜드
Flag of Denmark.svg 덴마크
Flag of Latvia.svg 라트비아
Flag of Iceland.svg 아이슬란드
Flag of Liechtenstein.svg 리히텐슈타인
Flag of Bulgaria.svg 불가리아
Flag of Slovenia.svg 슬로베니아
Flag of Albania.svg 알바니아
Flag of Belarus.svg 벨라루스
Flag of Luxembourg.svg 룩셈부르크

본선 진출 팀[편집]

본선 참가국
본선 진출 경로 본선 진출 날짜 과거 출전 대회
Flag of Austria.svg 오스트리아 공동 개최국 2002년 12월 12일 첫 출전
Flag of Switzerland.svg 스위스 공동 개최국 2002년 12월 12일 2회 (1996, 2004)
Flag of Germany.svg 독일 예선 D조 2위 2007년 10월 13일 9회 (19721, 19761, 19801, 19841, 19881, 1992, 1996, 2000, 2004)
Flag of Greece.svg 그리스 예선 C조 1위 2007년 10월 17일 2회 (1980, 2004)
Flag of the Czech Republic.svg 체코 예선 D조 1위 2007년 10월 17일 6회 (19602, 19762, 19802, 1996, 2000, 2004)
Flag of Romania.svg 루마니아 예선 G조 1위 2007년 10월 17일 3회 (1984, 1996, 2000)
Flag of Poland.svg 폴란드 예선 A조 1위 2007년 11월 17일 첫 출전
Flag of Italy.svg 이탈리아 예선 B조 1위 2007년 11월 17일 6회 (1968, 1980, 1988, 1996, 2000, 2004)
Flag of France (1794–1815, 1830–1974, 2020–present).svg 프랑스 예선 B조 2위 2007년 11월 17일 6회 (1960, 1984, 1992, 1996, 2000, 2004)
Flag of Croatia.svg 크로아티아 예선 E조 1위 2007년 11월 17일 2회 (1996, 2004)
Flag of Spain.svg 스페인 예선 F조 1위 2007년 11월 17일 7회 (1964, 1980, 1984, 1988, 1996, 2000, 2004)
Flag of the Netherlands.svg 네덜란드 예선 G조 2위 2007년 11월 17일 7회 (1976, 1980, 1988, 1992, 1996, 2000, 2004)
Flag of Portugal.svg 포르투갈 예선 A조 2위 2007년 11월 21일 4회 (1984, 1996, 2000, 2004)
Flag of Turkey.svg 튀르키예 예선 C조 2위 2007년 11월 21일 2회 (1996, 2000)
Flag of Russia.svg 러시아 예선 E조 2위 2007년 11월 21일 8회 (19603, 19643, 19683, 19723, 19883, 19924, 1996, 2004)
Flag of Sweden.svg 스웨덴 예선 F조 2위 2007년 11월 21일 3회 (1992, 2000, 2004)
  1. 서독으로 출전
  2. 체코슬로바키아로 출전
  3. 소련으로 출전
  4. 독립국가연합으로 출전

굵은 글씨는 우승한 대회를, 이탤릭체는 개최한 대회를 의미한다.

시드 배정[편집]

최종 토너먼트의 대진 결정은 2007년 12월 2일 12:00 CET스위스루체른에 위치한 컬처 컨벤션 센터에서 아래의 사람들이 추첨을 하였다.[2]

UEFA 유로 1992UEFA 유로 1996에서 사용되었던 방식과 같이 각 조별 경기는 단 두 개의 경기장에서 이루어진다. 그중 시드를 받은 팀은 같은 도시에서 세 경기 모두를 하게 된다. 2000년과 2004년 대회 본선처럼, 본선 진출팀들은 2006년 FIFA 월드컵 예선과 유로 2008 예선 성적에 따라 네 개의 시드 포트로 나뉘고 각각의 포트에서 각 조별 1팀씩 배정된다.

UEFA 유로 2008 본선에 진출한 팀들의 시드는 2006년 FIFA 월드컵 유럽 지역 예선, UEFA 유로 2008 예선에서 획득한 경기당 평균 승점을 기준으로 하여 배정되었다. 공동 개최국인 오스트리아스위스, 그리고 지난 대회 우승 팀인 그리스는 먼저 자동적으로 시드를 배정받았다.[3][4] 네덜란드가 UEFA 유로 2008 본선 진출국 순위의 UEFA 계수를 따라 시드를 배정받았다.

포트 1
경기당 평균 승점
Flag of Switzerland.svg 스위스 (공동 개최국, A1에 배정됨) 1.800점
Flag of Austria.svg 오스트리아 (공동 개최국, B1에 배정됨) 1.500점
Flag of Greece.svg 그리스 (UEFA 유로 2004 우승 팀) 2.167점
Flag of the Netherlands.svg 네덜란드 2.417점
포트 2
경기당 평균 승점
크로아티아 크로아티아 2.409점
Flag of Italy.svg 이탈리아 2.364점
체코 체코 2.333점
Flag of Sweden.svg 스웨덴 2.273점
포트 3
경기당 평균 승점
Flag of Romania.svg 루마니아 2.250점
Flag of Germany.svg 독일 2.250점
포르투갈 포르투갈 2.192점
스페인 스페인 2.182점
포트 4
경기당 평균 승점
Flag of Poland.svg 폴란드 2.167점
Flag of France (1794–1815, 1830–1974, 2020–present).svg 프랑스 2.091점
튀르키예 튀르키예 1.958점
Flag of Russia.svg 러시아 1.958점

편성 결과[편집]

A조 B조 C조 D조
Flag of Switzerland.svg 스위스
체코 체코
포르투갈 포르투갈
튀르키예 튀르키예
Flag of Austria.svg 오스트리아
크로아티아 크로아티아
Flag of Germany.svg 독일
Flag of Poland.svg 폴란드
Flag of the Netherlands.svg 네덜란드
Flag of Italy.svg 이탈리아
Flag of Romania.svg 루마니아
Flag of France (1794–1815, 1830–1974, 2020–present).svg 프랑스
Flag of Greece.svg 그리스
Flag of Sweden.svg 스웨덴
스페인 스페인
Flag of Russia.svg 러시아

순위 결정 방식[편집]

UEFA 유로 2008 조별 리그에서 2개 이상의 팀의 승점이 같다면 다음 순서에 따른다.

  1. 승점이 동률인 팀간 경기에서의 승점
  2. 승점이 동률인 팀간 경기에서의 골득실
  3. 승점이 동률인 팀간 경기에서의 다득점
  4. 전체 경기에서의 골득실
  5. 전체 경기에서의 다득점
  6. UEFA 유로 2008 예선과 2006년 FIFA 월드컵 유럽 지역 예선에서 얻은 점수/경기 수
  7. UEFA 유로 2008 페어플레이 점수
  8. 추첨

선수 명단[편집]

조별 리그[편집]

  • 모든 시간은 현지 시간(CEST/UTC+2)을 따름.
  • 녹색()으로 표시된 팀은 8강에 진출한 팀이다.
  • 홍색()으로 표시된 팀은 8강에 진출하지 못한 팀이다.

A조[편집]

승점 경기수 득점 실점 골득실
Flag of Portugal.svg 포르투갈 6 3 2 0 1 5 3 +2
Flag of Turkey.svg 튀르키예 6 3 2 0 1 5 5 0
Flag of the Czech Republic.svg 체코 3 3 1 0 2 4 6 −2
Flag of Switzerland.svg 스위스 3 3 1 0 2 3 3 0
  • 승점 6점의 포르투갈과 터키, 승점 3점의 체코와 스위스는 서로의 전적에 따라 순위가 결정되었다.
    • 터키를 2 – 0으로 이긴 포르투갈이 1위가 되었으며, 터키는 2위가 되었다.
    • 스위스를 1 – 0으로 이긴 체코가 3위가 되었으며, 스위스는 4위가 되었다.

2008년 6월 7일
18:00
스위스 Flag of Switzerland.svg 0 – 1 Flag of the Czech Republic.svg 체코 장크트 야콥 파크, 바젤
관중수: 39,730명
심판: 로베르토 로세티 이탈리아
리포트 스베르코시 71분에 득점 71′

2008년 6월 7일
20:45
포르투갈 Flag of Portugal.svg 2 – 0 Flag of Turkey.svg 튀르키예 스타드 드 제네브, 제네바
관중수: 29,106명
심판: 헤르베르트 판델 독일
페페 61분에 득점 61′
메이렐레스 90+3분에 득점 90+3′
리포트

2008년 6월 11일
18:00
체코 Flag of the Czech Republic.svg 1 – 3 Flag of Portugal.svg 포르투갈 스타드 드 제네브, 제네바
관중수: 29,016명
심판: 키로스 바사라스 그리스
시온코 17분에 득점 17′ 리포트 데쿠 8분에 득점 8′
호날두 63분에 득점 63′
콰레스마 90+1분에 득점 90+1′

2008년 6월 11일
20:45
스위스 Flag of Switzerland.svg 1 – 2 Flag of Turkey.svg 튀르키예 장크트 야콥 파크, 바젤
관중수: 39,730명
심판: 류보시 미헬 슬로바키아
야킨 32분에 득점 32′ 리포트 세미흐 57분에 득점 57′
아르다 90+2분에 득점 90+2′

2008년 6월 15일
20:45
스위스 Flag of Switzerland.svg 2 – 0 Flag of Portugal.svg 포르투갈 장크트 야콥 파크, 바젤
관중수: 39,730명
심판: 콘라트 플라우츠 오스트리아
야킨 71분, 83분에 득점 71′83′ (페널티킥) 리포트

2008년 6월 15일
20:45
튀르키예 Flag of Turkey.svg 3 – 2 Flag of the Czech Republic.svg 체코 스타드 드 제네브, 제네바
관중수: 29,016명
심판: 페테르 프뢰이드펠트 스웨덴
아르다 75분에 득점 75′
니하트 87분, 89분에 득점 87′89′
리포트 콜레르 34분에 득점 34′
플라실 62분에 득점 62′

B조[편집]

승점 경기수 득점 실점 골득실
Flag of Croatia.svg 크로아티아 9 3 3 0 0 4 1 +3
Flag of Germany.svg 독일 6 3 2 0 1 4 2 +2
Flag of Austria.svg 오스트리아 1 3 0 1 2 1 3 −2
Flag of Poland.svg 폴란드 1 3 0 1 2 1 4 −3
  • 승점 1점의 오스트리아와 폴란드는 상대 전적이 동률을 이루어 전체 전적으로 순위가 결정되었다.
    • 오스트리아는 득점 1에 실점 3으로, 득점 1에 실점 4를 기록한 폴란드보다 골 득실에서 1골 앞서 3위가 되었다.

2008년 6월 8일
18:00
오스트리아 Flag of Austria.svg 0 – 1 Flag of Croatia.svg 크로아티아 에른스트 하펠 슈타디온,
관중수: 51,428명
심판: 피터르 핑크 네덜란드
리포트 모드리치 4분에 득점 4′ (페널티골)

2008년 6월 8일
20:45
독일 Flag of Germany.svg 2 – 0 Flag of Poland.svg 폴란드 뵈르터제 슈타디온, 클라겐푸르트
관중수: 30,461명
심판: 톰 헨닝 외브레뵈 노르웨이
포돌스키 20분, 72분에 득점 20′72′ 리포트

2008년 6월 12일
18:00
크로아티아 Flag of Croatia.svg 2 – 1 Flag of Germany.svg 독일 뵈르터제 슈타디온, 클라겐푸르트
관중수: 30,461명
심판: 프랑크 더 블레이케러 벨기에
스르나 24분에 득점 24′
올리치 62분에 득점 62′
리포트 포돌스키 79분에 득점 79′

2008년 6월 12일
20:45
오스트리아 Flag of Austria.svg 1 – 1 Flag of Poland.svg 폴란드 에른스트 하펠 슈타디온,
관중수: 51,428명
심판: 하워드 웹 잉글랜드
바스티치 90+3분에 득점 90+3′ (페널티골) 리포트 게레이루 30분에 득점 30′

2008년 6월 16일
20:45
폴란드 Flag of Poland.svg 0 – 1 Flag of Croatia.svg 크로아티아 뵈르터제 슈타디온, 클라겐푸르트
관중수: 30,461명
심판: 키로스 바사라스 그리스
리포트 클라스니치 53분에 득점 53′

2008년 6월 16일
20:45
오스트리아 Flag of Austria.svg 0 – 1 Flag of Germany.svg 독일 에른스트 하펠 슈타디온,
관중수: 51,428명
심판: 마누엘 메후토 곤살레스 스페인
리포트 발락 49분에 득점 49′

C조[편집]

승점 경기수 득점 실점 골득실
Flag of the Netherlands.svg 네덜란드 9 3 3 0 0 9 1 +8
Flag of Italy.svg 이탈리아 4 3 1 1 1 3 4 −1
Flag of Romania.svg 루마니아 2 3 0 2 1 1 3 −2
Flag of France (1794–1815, 1830–1974, 2020–present).svg 프랑스 1 3 0 1 2 1 6 −5

2008년 6월 9일
18:00
루마니아 Flag of Romania.svg 0 – 0 Flag of France (1794–1815, 1830–1974, 2020–present).svg 프랑스 레치그룬트, 취리히
관중수: 30,585명
심판: 마누엘 메후토 곤살레스 스페인
리포트

2008년 6월 9일
20:45
네덜란드 Flag of the Netherlands.svg 3 – 0 Flag of Italy.svg 이탈리아 스타드 드 스위스, 베른
관중수: 30,777명
심판: 페테르 프뢰이드펠트 스웨덴
판 니스털로이 26분에 득점 26′
스네이더르 31분에 득점 31′
판 브롱크호르스트 79분에 득점 79′
리포트

2008년 6월 13일
18:00
이탈리아 Flag of Italy.svg 1 – 1 Flag of Romania.svg 루마니아 레치그룬트, 취리히
관중수: 30,585명
심판: 톰 헨닝 외브레뵈 노르웨이
파누치 56분에 득점 56′ 리포트 무투 55분에 득점 55′

2008년 6월 13일
20:45
네덜란드 Flag of the Netherlands.svg 4 – 1 Flag of France (1794–1815, 1830–1974, 2020–present).svg 프랑스 스타드 드 스위스, 베른
관중수: 30,777명
심판: 헤르베르트 판델 독일
카윗 9분에 득점 9′
판 페르시 59분에 득점 59′
로번 72분에 득점 72′
스네이더르 90+2분에 득점 90+2′
리포트 앙리 71분에 득점 71′

2008년 6월 17일
20:45
네덜란드 Flag of the Netherlands.svg 2 – 0 Flag of Romania.svg 루마니아 스타드 드 스위스, 베른
관중수: 30,777명
심판: 마시모 부사카 스위스
휜털라르 54분에 득점 54′
판 페르시 87분에 득점 87′
리포트

2008년 6월 17일
20:45
프랑스 Flag of France (1794–1815, 1830–1974, 2020–present).svg 0 – 2 Flag of Italy.svg 이탈리아 레치그룬트, 취리히
관중수: 30,585명
심판: 류보시 미헬 슬로바키아
리포트 피를로 25분에 득점 25′ (페널티골)
데 로시 62분에 득점 62′

D조[편집]

승점 경기수 득점 실점 골득실
Flag of Spain.svg 스페인 9 3 3 0 0 8 3 +5
Flag of Russia.svg 러시아 6 3 2 0 1 4 4 0
Flag of Sweden.svg 스웨덴 3 3 1 0 2 3 4 −1
Flag of Greece.svg 그리스 0 3 0 0 3 1 5 −4

2008년 6월 10일
18:00
스페인 Flag of Spain.svg 4 – 1 Flag of Russia.svg 러시아 티볼리 노이, 인스부르크
관중수: 30,772명
심판: 콘라트 플라우츠 오스트리아
비야 20분, 44분, 75분에 득점 20′44′75′
파브레가스 90+1분에 득점 90+1′
리포트 파블류첸코 86분에 득점 86′

2008년 6월 10일
20:45
그리스 Flag of Greece.svg 0 – 2 Flag of Sweden.svg 스웨덴 발스지첸하임 슈타디온, 잘츠부르크
관중수: 31,063명
심판: 마시모 부사카 스위스
리포트 이브라히모비치 67분에 득점 67′
한손 72분에 득점 72′

2008년 6월 14일
18:00
스웨덴 Flag of Sweden.svg 1 – 2 Flag of Spain.svg 스페인 티볼리 노이, 인스부르크
관중수: 30,772명
심판: 피터르 핑크 네덜란드
이브라히모비치 34분에 득점 34′ 리포트 토레스 15분에 득점 15′
비야 90+2분에 득점 90+2′

2008년 6월 14일
20:45
그리스 Flag of Greece.svg 0 – 1 Flag of Russia.svg 러시아 발스지첸하임 슈타디온, 잘츠부르크
관중수: 31,063명
심판: 로베르토 로세티 이탈리아
리포트 지랴노프 33분에 득점 33′

2008년 6월 18일
20:45
그리스 Flag of Greece.svg 1 – 2 Flag of Spain.svg 스페인 발스지첸하임 슈타디온, 잘츠부르크
관중수: 30,883명
심판: 하워드 웹 잉글랜드
하리스테아스 42분에 득점 42′ 리포트 데 라 레드 61분에 득점 61′
귀사 88분에 득점 88′

2008년 6월 18일
20:45
러시아 Flag of Russia.svg 2 – 0 Flag of Sweden.svg 스웨덴 티볼리 노이, 인스부르크
관중수: 30,772명
심판: 프랑크 더 블레이케러 벨기에
파블류첸코 24분에 득점 24′
아르샤빈 50분에 득점 50′
리포트

결선 토너먼트[편집]

 
8강준결승결승
 
          
 
6월 19일 - 바젤
 
 
Flag of Portugal.svg 포르투갈2
 
6월 25일 - 바젤
 
Flag of Germany.svg 독일3
 
Flag of Germany.svg 독일3
 
6월 20일 -
 
Flag of Turkey.svg 튀르키예2
 
Flag of Croatia.svg 크로아티아1 (1)
 
6월 29일 -
 
Flag of Turkey.svg 튀르키예 (PSO)1 (3)
 
Flag of Germany.svg 독일0
 
6월 21일 - 바젤
 
Flag of Spain.svg 스페인1
 
Flag of the Netherlands.svg 네덜란드1
 
6월 26일 -
 
Flag of Russia.svg 러시아 (연장)3
 
Flag of Russia.svg 러시아0
 
6월 22일 -
 
Flag of Spain.svg 스페인3
 
Flag of Spain.svg 스페인 (PSO)0 (4)
 
 
Flag of Italy.svg 이탈리아0 (2)
 

8강전[편집]


2008년 6월 19일
20:45
포르투갈 Flag of Portugal.svg 2 – 3 Flag of Germany.svg 독일 장크트 야콥 파크, 바젤
관중수: 39,374명
심판: 페테르 프뢰이드펠트 스웨덴
누누 고메스 40분에 득점 40′
푸스티가 87분에 득점 87′
리포트 슈바인슈타이거 22분에 득점 22′
클로제 26분에 득점 26′
발락 61분에 득점 61′

2008년 6월 20일
20:45
크로아티아 Flag of Croatia.svg 1 – 1 (연장전) Flag of Turkey.svg 튀르키예 에른스트 하펠 슈타디온,
관중수: 51,428명
심판: 로베르토 로세티 이탈리아
클라스니치 119분에 득점 119′ 리포트 세미흐 120+2분에 득점 120+2′
    승부차기  
모드리치 실패
스르나 성공
라키티치 실패
페트리치 실패
1 – 3 성공 아르다
성공 세미흐
성공 알튼토프

2008년 6월 21일
20:45
네덜란드 Flag of the Netherlands.svg 1 – 3 (연장전) Flag of Russia.svg 러시아 장크트 야콥 파크, 바젤
관중수: 38,374명
심판: 류보시 미헬 슬로바키아
판 니스털로이 86분에 득점 86′ 리포트 파블류첸코 56분에 득점 56′
토르빈스키 112분에 득점 112′
아르샤빈 116분에 득점 116′

2008년 6월 22일
20:45
스페인 Flag of Spain.svg 0 – 0 (연장전) Flag of Italy.svg 이탈리아 에른스트 하펠 슈타디온,
관중수: 48,000명
심판: 헤르베르트 판델 독일
리포트
    승부차기  
비야 성공
카소를라 성공
세나 성공
귀사 실패
파브레가스 성공
4 – 2 성공 그로소
실패 데 로시
성공 카모라네시
실패 디 나탈레

준결승전[편집]


2008년 6월 25일
20:45
독일 Flag of Germany.svg 3 – 2 Flag of Turkey.svg 튀르키예 장크트 야콥 파크, 바젤
관중수: 39,374명
심판: 마시모 부사카 스위스
슈바인슈타이거 26분에 득점 26′
클로제 79분에 득점 79′
90분에 득점 90′
리포트 보랄 22분에 득점 22′
세미흐 86분에 득점 86′

2008년 6월 26일
20:45
러시아 Flag of Russia.svg 0 – 3 Flag of Spain.svg 스페인 에른스트 하펠 슈타디온,
관중수: 51,428명
심판: 프랑크 더 블레이케러 벨기에
리포트 사비 50분에 득점 50′
귀사 73분에 득점 73′
실바 82분에 득점 82′

결승전[편집]


2008년 6월 29일
20:45
독일 Flag of Germany.svg 0 – 1 Flag of Spain.svg 스페인 에른스트 하펠 슈타디온,
관중수: 51,428명
심판: 로베르토 로세티 이탈리아
리포트 토레스 33분에 득점 33′

우승[편집]

UEFA 유로 2008 우승
Flag of Spain.svg
스페인
2번째 우승

수상[편집]

UEFA 올스타 팀
골키퍼 수비수 미드필더 공격수
스페인 이케르 카시야스
이탈리아 잔루이지 부폰
네덜란드 에드윈 판 데르 사르
스페인 카를로스 마르체나
스페인 카를레스 푸욜
포르투갈 조제 보싱와
포르투갈 페페
독일 필리프 람
러시아 유리 지르코프
스페인 마르코스 세나
스페인 사비 에르난데스
스페인 안드레스 이니에스타
스페인 세스크 파브레가스
독일 미하엘 발락
독일 루카스 포돌스키
러시아 콘스탄틴 지랴노프
튀르키예 하미트 알튼토프
네덜란드 베슬러이 스네이더르
크로아티아 루카 모드리치
스페인 다비드 비야
스페인 페르난도 토레스
러시아 안드레이 아르샤빈
러시아 로만 파블류첸코
골든 부츠
UEFA 토너먼트 최우수 선수

최종 순위[편집]

순위 경기수 득실차 승점
1 Flag of Spain.svg 스페인 6 5 1 0 12 3 +9 16
2 Flag of Germany.svg 독일 6 4 0 2 10 7 +3 12
3 Flag of Russia.svg 러시아 5 3 0 2 7 8 -1 9
4 Flag of Turkey.svg 튀르키예 5 2 1 2 8 9 -1 7
5 Flag of Croatia.svg 크로아티아 4 3 1 0 5 2 +3 10
6 Flag of the Netherlands.svg 네덜란드 4 3 0 1 10 4 +6 9
7 Flag of Portugal.svg 포르투갈 4 2 0 2 7 6 +1 6
8 Flag of Italy.svg 이탈리아 4 1 2 1 3 4 -1 5
9 Flag of Switzerland.svg 스위스 3 1 0 2 3 3 0 3
10 Flag of Sweden.svg 스웨덴 3 1 0 2 3 4 -1 3
11 Flag of the Czech Republic.svg 체코 3 1 0 2 4 6 -2 3
12 Flag of Romania.svg 루마니아 3 0 2 1 1 3 -2 2
13 Flag of Austria.svg 오스트리아 3 0 1 2 1 3 -2 1
14 Flag of Poland.svg 폴란드 3 0 1 2 1 4 -3 1
15 Flag of France (1794–1815, 1830–1974, 2020–present).svg 프랑스 3 0 1 2 1 6 -5 1
16 Flag of Greece.svg 그리스 3 0 0 3 1 5 -4 0
  • 우승에서 준우승까지는 결승전 결과로 순위를 가린다. 이전 단계에서 탈락한 팀들의 순위는 조별 리그와 동일하게 승점-골득실차-다득점순으로 가리며 모두 같을 경우 공동 순위로 한다.
  • 4강에서 탈락한 팀은 최고 3위에서 최하 4위까지이다.
  • 8강에서 탈락한 팀은 최고 5위에서 최하 8위까지이다.
  • 조별 리그에서 탈락한 팀은 최고 9위에서 최하 16위까지이다.
  • 토너먼트에서 승부차기로 경기가 가려진 경우에는 FIFA의 규정에 따라 무승부로 기재한다.

상금[편집]

UEFA 유로 2008 본선에 진출한 16개 팀은 기본 상금으로 7,500,000 유로를 받게 된다. 그 외에 본선 성적에 따라 다음과 같은 상금을 추가로 받게 된다.[5]

성적 상금 팀 수
조별 리그 1,000,000 유로 (승리)
500,000 유로 (무승부)
16개 팀
8강 2,000,000 유로 8개 팀
준결승 3,000,000 유로 4개 팀
준우승 4,500,000 유로 1개 팀
우승 7,500,000 유로 1개 팀

UEFA 유로 2008 본선에 참가한 16개 팀은 본선 성적에 따라 다음과 같은 상금을 받았다.

본선 성적 상금 (유로)
우승 (조별 리그 3승) 스페인 스페인 23,000,000 유로
준우승 (조별 리그 2승 1패) Flag of Germany.svg 독일 19,000,000 유로
준결승 (조별 리그 2승 1패) Flag of Russia.svg 러시아
튀르키예 튀르키예
14,500,000 유로
8강 (조별 리그 3승) 크로아티아 크로아티아
Flag of the Netherlands.svg 네덜란드
12,500,000 유로
8강 (조별 리그 2승 1패) 포르투갈 포르투갈 11,500,000 유로
8강 (조별 리그 1승 1무 1패) Flag of Italy.svg 이탈리아 11,000,000 유로
조별 리그 1승 2패 체코 체코
Flag of Sweden.svg 스웨덴
Flag of Switzerland.svg 스위스
8,500,000 유로
조별 리그 2무 1패 Flag of Romania.svg 루마니아 8,500,000 유로
조별 리그 1무 2패 Flag of Austria.svg 오스트리아
Flag of France (1794–1815, 1830–1974, 2020–present).svg 프랑스
Flag of Poland.svg 폴란드
8,000,000 유로
조별 리그 3패 Flag of Greece.svg 그리스 7,500,000 유로

기록과 통계[편집]

득점 선수[편집]

통계[편집]

  • 최다 득점팀은 스페인으로 모두 12골을 기록했다. 그 뒤를 따르는 팀은 네덜란드·독일로, 모두 10골을 기록했다. 다만, 네덜란드와 독일은 치른 경기의 수가 다르다. 네덜란드의 1경기당 평균 득점은 2.5골이고, 독일의 1경기당 평균 득점은 2골이다.
  • 최다 실점팀은 9골을 허용한 터키이며, 그 뒤를 따르는 팀은 8골을 허용한 러시아이다.
  • 최소 득점팀은 오스트리아·폴란드·루마니아·프랑스·그리스이며, 모두 1골밖에 기록하지 못했다.
  • 최소 실점팀은 단 2골만을 허용한 크로아티아이며, 3골을 허용한 스페인이 그 뒤를 따르고 있다.
  • 패가 없는 팀은 크로아티아와 스페인이다.[6]
  • 16개 출전 팀 중 그리스만 유일하게 승점을 얻지 못했다.(3패)
  • 승점이 가장 높은 팀은 승점 16점의 스페인[6]이다. 그 뒤를 따르는 팀은 독일로 승점12점이다.
  • 골 득실차가 가장 넓게 벌어져 있는 팀은 아래와 같다.
    • 득점 쪽으로 가장 넓게 벌어져 있는 팀은 스페인으로, 9점이나 벌어져 있다. 그 뒤를 따르는 팀은 네덜란드와 독일로, 6점이 벌어져 있다.
    • 실점 쪽으로 가장 넓게 벌어져 있는 팀은 프랑스로, 5점이나 벌어져 있다. 그 뒤로는 그리스(-4)와 폴란드(-3)가 따르고 있다.

각주[편집]

  1. 취리히 레치그룬트 슈타디온 (영어)
  2. “Draw sets up heavyweight contests”. uefa.com. 2007년 12월 2일. 2007년 12월 2일에 확인함. 
  3. Format from UEFA Website
  4. UEFA Euro 2008 Information
  5. “UEFA raises 2008 prize money”. 
  6. 승부차기는 무승부로 계산된다.

외부 링크[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