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메룬 축구 국가대표팀
![]() | ||||
---|---|---|---|---|
![]() | ||||
별칭 | Les Lions Indomptables (불굴의 사자) | |||
협회 | 카메룬 축구 연맹 | |||
대륙 연맹 | CAF (아프리카) | |||
감독 | 리고베르 송 | |||
주장 | 뱅상 아부바카르 | |||
최다 출전자 | 리고베르 송 (137) | |||
최다 득점자 | 사뮈엘 에토 (56) | |||
홈 구장 | 스타드 아마두 아히조 | |||
FIFA 코드 | CMR | |||
| ||||
FIFA 랭킹 | ||||
현재 | 이 페이지에서 확인하세요 | |||
최고 순위 | 11위 (2006년 11월) | |||
최저 순위 | 79위 (2013년 2월) | |||
첫 국제 경기 출전 | ||||
![]() ![]() (벨기에령 콩고; 1956년 9월) | ||||
최다 점수차 승리 | ||||
![]() ![]() (콩고 민주 공화국; 1965년 4월) | ||||
최다 점수차 패배 | ||||
![]() ![]() (노르웨이, 오슬로; 1990년 10월 31일) ![]() ![]() (미국, 팰러앨토; 1994년 6월 28일, 1994년 FIFA 월드컵) ![]() ![]() (코스타리카, 산호세; 1997년 3월 9일) ![]() ![]() (대한민국, 서울; 1984년 10월 4일) | ||||
FIFA 월드컵 | ||||
출전 횟수 | 8회 (1982년에 처음 출전) | |||
최고 성적 | 8강 (1990년) | |||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 ||||
출전 횟수 | 17회 (1970년에 처음 출전) | |||
최고 성적 | 우승 (1984년, 1988년, 2000년, 2002년, 2017년) | |||
아프리카 네이션스 챔피언십 | ||||
출전 횟수 | 4회 (2011년에 처음 출전) | |||
최고 성적 | 8강 (2011년, 2016년) | |||
컨페더레이션스컵 | ||||
출전 횟수 | 3회 (2001년에 처음 출전) | |||
최고 성적 | 준우승 (2003년) |
메달 기록 | |||
---|---|---|---|
남자 축구 | |||
금 | 2000 시드니 | 축구 |
카메룬 축구 국가대표팀(프랑스어: Équipe du Cameroun de football)은 카메룬을 대표하는 축구 국가대표팀으로 카메룬 축구 협회에서 관리·운영한다. '불굴의 사자'라는 별칭으로 알려져 있는 아프리카의 축구 강호 중 하나로 1956년 9월 콩고 민주 공화국을 상대로 국제 A매치 첫 경기를 치렀으며 현재 스타드 아마두 아히조를 홈 구장으로 사용하고 있다.
국제 대회 경력[편집]
FIFA 월드컵[편집]
1982년 FIFA 월드컵 본선에 첫 발을 디딘 이후 총 8번의 월드컵 본선 무대를 밟았고 이 가운데 로제 밀라가 맹활약하던 1990년 대회에서 아프리카팀으로는 사상 처음으로 월드컵 8강에 오르는 돌풍을 일으켰고 특히 디펜딩 챔피언 아르헨티나를 개막전에서 1-0으로 꺾는 파란을 일으키며 전 세계 축구팬들을 충격에 빠트렸다. 그러나 이후 6번의 대회에서는 최악의 경기력과 비신사적인 행위 등을 선보이며 조별리그 탈락의 쓴 맛을 봤고 또한 사우디아라비아를 상대로 사뮈엘 에토의 결승골에 힘입어 승리를 거둔 2002년 대회 E조 조별리그 2차전을 제외한 나머지 14경기에서 4무 10패에 그쳤다. 그리고 2022년 대회에서도 비록 16강에는 오르지 못했지만 강호 브라질을 조별리그 최종전에서 1-0으로 꺾고 2002년 사우디전 이후 20년만에 월드컵에서 1승을 추가했다.
아프리카 네이션스컵[편집]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본선에는 무려 19번 출전하여 이 중 무려 5번의 대회(1984년, 1988년, 2000년, 2002년, 2017년)에서 우승컵을 들어올렸고 2번의 대회(1986년, 2008년)에서 준우승을 차지하는 등 14번의 대회에서 16강 혹은 8강 이상의 성적을 거둬들였다. 또한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5회 우승으로 7회 우승팀인 이집트에 이어 2번째 가장 많은 우승 타이틀을 보유하고 있다.
아프리카 네이션스 챔피언십[편집]
자국 리그에서 활동하는 선수들만 참가할 수 있는 아프리카 네이션스 챔피언십 본선에는 4번 출전하여 이 중 2011년과 2016년 대회에서 8강에 진출했다.
FIFA 컨페더레이션스컵[편집]
컨페드컵에는 3번 출전하여 이 중 2002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우승팀 자격으로 출전한 2003년 대회에서 준우승을 차지하는 성과를 거두었다. 그러나 콜롬비아와의 준결승전 경기 도중 팀의 미드필더인 마르크비비앙 푀가 심장마비로 사망하는 사고가 발생했고 이는 컨페드컵 개최 주기가 월드컵 개최전후 2년에서 월드컵 개최전 4년으로 조정되는 결정적인 계기가 되었다.
하계 올림픽[편집]
올림픽 축구 본선에는 3번 출전하여 이 중 U-23 대표팀으로 출전한 2000년 대회에서 금메달을 목에 걸었고 2008년 대회에서는 8강에 이름을 올렸다.
국제대회 기록[편집]
FIFA 월드컵[편집]
FIFA 월드컵 본선 기록 | FIFA 월드컵 예선 기록 | |||||||||||||||
---|---|---|---|---|---|---|---|---|---|---|---|---|---|---|---|---|
년도 | 결과 | 순위 | 경기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승점 | 경기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승점 |
![]() |
독립 이전 | 독립 이전 | ||||||||||||||
![]() | ||||||||||||||||
![]() | ||||||||||||||||
![]() | ||||||||||||||||
![]() | ||||||||||||||||
![]() | ||||||||||||||||
![]() |
없음[1] | 없음[2] | ||||||||||||||
![]() |
기권 | 기권 | ||||||||||||||
![]() |
예선 탈락 | 2 | 0 | 1 | 1 | 3 | 4 | 1 | ||||||||
![]() |
3 | 1 | 0 | 2 | 1 | 3 | 3 | |||||||||
![]() |
2 | 0 | 1 | 1 | 2 | 4 | 1 | |||||||||
![]() |
조별리그 | 17위 | 3 | 0 | 3 | 0 | 1 | 1 | 3 | 8 | 5 | 1 | 2 | 16 | 5 | 16 |
![]() |
예선 탈락 | 2 | 0 | 1 | 1 | 2 | 5 | 1 | ||||||||
![]() |
8강 | 7위 | 5 | 3 | 0 | 2 | 7 | 9 | 9 | 8 | 6 | 1 | 1 | 12 | 6 | 19 |
![]() |
조별리그 | 22위 | 3 | 0 | 1 | 2 | 3 | 11 | 1 | 8 | 5 | 2 | 1 | 14 | 4 | 17 |
![]() |
조별리그 | 25위 | 3 | 0 | 2 | 1 | 2 | 5 | 2 | 6 | 4 | 2 | 0 | 10 | 4 | 14 |
![]() ![]() |
조별리그 | 20위 | 3 | 1 | 1 | 1 | 2 | 3 | 4 | 10 | 8 | 1 | 1 | 20 | 4 | 25 |
![]() |
예선 탈락 | 10 | 6 | 3 | 1 | 18 | 10 | 21 | ||||||||
![]() |
조별리그 | 31위 | 3 | 0 | 0 | 3 | 2 | 5 | 0 | 12 | 9 | 2 | 1 | 23 | 4 | 29 |
![]() |
조별리그 | 32위 | 3 | 0 | 0 | 3 | 1 | 9 | 0 | 8 | 5 | 2 | 1 | 12 | 4 | 17 |
![]() |
예선 탈락 | 8 | 2 | 5 | 1 | 10 | 9 | 11 | ||||||||
![]() |
조별리그 | 19위 | 3 | 1 | 1 | 1 | 4 | 4 | 4 | 8 | 6 | 0 | 2 | 14 | 5 | 18 |
합계 | 8회 진출(8/15[3]) | 8강(1회) | 26 | 5 | 7 | 13 | 22 | 47 | 23 | 95 | 57 | 22 | 16 | 157 | 71 | 193 |
순위 | FIFA 월드컵 역대 순위 : 33위 | 월드컵 예선 승점 순위 : 47위 (아프리카 4위) |
아프리카 네이션스컵[편집]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본선 기록 |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예선 기록 | |||||||||||||||
---|---|---|---|---|---|---|---|---|---|---|---|---|---|---|---|---|
년도 | 결과 | 순위 | 경기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승점 | 경기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승점 |
![]() |
독립 이전 | 독립 이전 | ||||||||||||||
![]() | ||||||||||||||||
![]() |
불참 | 불참 | ||||||||||||||
![]() | ||||||||||||||||
![]() | ||||||||||||||||
![]() |
예선 탈락 | 3 | 1 | 0 | 2 | 3 | 6 | 3 | ||||||||
![]() |
조별리그 | 5위 | 3 | 2 | 0 | 1 | 7 | 6 | 6 | 4 | 2 | 2 | 0 | 7 | 4 | 8 |
![]() |
준결승 | 3위 | 5 | 3 | 1 | 1 | 10 | 5 | 10 | 자동참가(개최국) | ||||||
![]() |
예선 탈락 | 2 | 1 | 0 | 1 | 2 | 3 | 3 | ||||||||
![]() |
2 | 1 | 0 | 1 | 3 | 4 | 3 | |||||||||
![]() |
2 | 1 | 0 | 1 | 2 | 4 | 3 | |||||||||
![]() |
2 | 1 | 0 | 1 | 3 | 3 | 3 | |||||||||
![]() |
조별리그 | 5위 | 3 | 0 | 3 | 0 | 1 | 1 | 3 | 4 | 2 | 1 | 1 | 12 | 5 | 7 |
![]() |
우승 | 1위 | 5 | 3 | 1 | 1 | 9 | 3 | 10 | 4 | 2 | 0 | 2 | 9 | 5 | 6 |
![]() |
준우승 | 2위 | 5 | 3 | 2 | 0 | 8 | 5 | 11 | 자동참가(전 대회 우승국) | ||||||
![]() |
우승 | 1위 | 5 | 3 | 2 | 0 | 4 | 1 | 11 | 4 | 2 | 0 | 2 | 8 | 5 | 6 |
![]() |
조별리그 | 5위 | 3 | 1 | 0 | 2 | 2 | 3 | 3 | 자동참가(전 대회 우승국) | ||||||
![]() |
준결승 | 4위 | 5 | 2 | 2 | 1 | 4 | 3 | 8 | 6 | 3 | 3 | 0 | 5 | 1 | 12 |
![]() |
예선 탈락 | 6 | 3 | 3 | 0 | 7 | 0 | 12 | ||||||||
![]() |
조별리그 | 9위 | 3 | 1 | 1 | 1 | 5 | 7 | 4 | 6 | 3 | 1 | 2 | 7 | 7 | 10 |
![]() |
8강 | 8위 | 4 | 2 | 1 | 1 | 5 | 4 | 7 | 6 | 2 | 4 | 0 | 8 | 3 | 10 |
![]() ![]() |
우승 | 1위 | 6 | 3 | 2 | 1 | 11 | 5 | 11 | 4 | 3 | 1 | 0 | 8 | 1 | 10 |
![]() |
우승 | 1위 | 6 | 5 | 1 | 0 | 9 | 0 | 16 | 자동참가(전 대회 우승국) | ||||||
![]() |
8강 | 6위 | 4 | 1 | 2 | 1 | 7 | 6 | 5 | 자동참가(전 대회 우승국) | ||||||
![]() |
8강 | 5위 | 4 | 3 | 1 | 0 | 8 | 2 | 10 | 10 | 6 | 3 | 1 | 18 | 10 | 21 |
![]() |
준우승 | 2위 | 6 | 4 | 0 | 2 | 14 | 8 | 12 | 6 | 5 | 0 | 1 | 13 | 4 | 15 |
![]() |
8강 | 8위 | 4 | 1 | 1 | 2 | 6 | 8 | 4 | 12 | 9 | 2 | 1 | 23 | 4 | 29 |
![]() ![]() |
예선 탈락 | 6 | 3 | 2 | 1 | 12 | 5 | 11 | ||||||||
![]() |
4 | 3 | 0 | 1 | 4 | 3 | 9 | |||||||||
![]() |
조별리그 | 13위 | 3 | 0 | 2 | 1 | 2 | 3 | 2 | 6 | 4 | 2 | 0 | 9 | 1 | 14 |
![]() |
우승 | 1위 | 6 | 3 | 3 | 0 | 7 | 3 | 12 | 6 | 4 | 2 | 0 | 7 | 2 | 14 |
![]() |
16강 | 13위 | 4 | 1 | 2 | 1 | 4 | 3 | 5 | 6 | 3 | 2 | 1 | 6 | 3 | 11 |
합계 | 19회 진출(19/30[4]) | 우승(5회) | 84 | 41 | 27 | 16 | 123 | 76 | 150 | 111 | 64 | 28 | 19 | 176 | 83 | 223 |
순위 |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역대 순위 : 4위 |
FIFA 컨페더레이션스컵[편집]
FIFA 컨페더레이션스컵 기록 | |||||||||
---|---|---|---|---|---|---|---|---|---|
년도 | 결과 | 순위 | 경기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승점 |
![]() |
진출 실패 | ||||||||
![]() | |||||||||
![]() | |||||||||
![]() | |||||||||
![]() ![]() |
조별리그 | 6위 | 3 | 1 | 0 | 2 | 2 | 4 | 3 |
![]() |
준우승 | 2위 | 5 | 3 | 1 | 1 | 3 | 1 | 10 |
![]() |
진출 실패 | ||||||||
![]() | |||||||||
![]() | |||||||||
![]() |
조별리그 | 7위 | 3 | 0 | 1 | 2 | 2 | 6 | 1 |
합계 | 3회 진출(3/10) | 준우승(1회) | 11 | 4 | 2 | 5 | 7 | 11 | 14 |
순위 | FIFA 컨페더레이션스컵 역대 순위: 11위 |
하계 올림픽[편집]
올림픽 축구 기록 | |||||||||
---|---|---|---|---|---|---|---|---|---|
년도 | 결과 | 순위 | 경기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승점 |
![]() |
진출 실패 | ||||||||
![]() | |||||||||
![]() | |||||||||
![]() |
불참 | ||||||||
![]() |
진출 실패 | ||||||||
![]() |
조별리그 | 11위 | 3 | 1 | 0 | 2 | 3 | 5 | 3 |
![]() |
진출 실패 | ||||||||
23세 이하 대표팀 경기로 규칙 변경[5] | |||||||||
합계 | 1회 진출(1/19[6]) | 조별리그(1회) | 3 | 1 | 0 | 2 | 3 | 5 | 3 |
주목할 만한 선수[편집]
- 로제 밀라(1978-1994)
- 프랑수아 오맘비크(1986-1998)
- 토마 은코노(1976-1994)
- 이드리스 카를로스 카메니(2001- )
- 티모테 에투바(1999- 현재)
- 세바스티앵 바송(2009- 현재)
- 제레미 은지타프(1996-2010)
- 리고베르 송(1994-2010)
- 사뮈엘 에토(1997-2014)
- 장 마쿤(2003- 현재)
- 모데스트 음바미(2005- 현재)
- 스테판 음비아(2005- )
- 알렉상드르 송(2008- )
- 에리크 막심 슈포모팅(2010- )
특이 사항[편집]
카메룬은 2000년대에 들어서 특이한 유니폼을 착용한 것으로 유명하다. 특히 2002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에서 민소매 유니폼을 착용하여 우승을 차지했고 이후에 열린 2002년 FIFA 월드컵에서도 착용하려고 하였으나 국제축구연맹에서 규정 위반이라는 이유로 반대하였으며 본 대회에서는 소매가 있는 셔츠를 받쳐입고 참가하였다.[7] 이후, 2004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에서는 원피스형 유니폼을 착용하였으나 이 또한 국제축구연맹이 반대를 하였고 심지어는 월드컵 예선 승점 삭감 및 벌금 부과까지 검토하기도 하였다.[8]
각주[편집]
- ↑ 카메룬 축구협회 창립 이전
- ↑ 카메룬 축구협회 창립 이전
- ↑ 본선 진출 횟수 비율. 독립 이후로 계산
- ↑ 본선 진출 횟수 비율. 독립 이후로 계산
- ↑ 본문에서는 1988년 서울 올림픽까지만을 기술한다. 이후의 기록에 관해서는 카메룬 U-23 축구 국가대표팀을 참고하시오.
- ↑ 본선 진출 횟수 비율. 독립 이후로 계산
- ↑ 민소매-반소매 절충 카메룬 ‘튀는’ 유니폼
- ↑ FIFA "원피스 유니폼 카메룬 축구팀 징계 풀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