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메룬 축구 국가대표팀
카메룬 | |||
---|---|---|---|
별칭 | Les Lions Indomptables (불굴의 사자) | ||
연맹 | 카메룬 축구 협회 | ||
대륙 | CAF (아프리카) | ||
감독 | 리고베르 송 | ||
주장 | 에리크 막심 슈포모팅 | ||
최다 출전자 | 리고베르 송 (137) | ||
최다 득점자 | 사뮈엘 에토 (56) | ||
홈 구장 | 스타드 아마두 아히조 | ||
FIFA 코드 | CMR | ||
| |||
FIFA 랭킹 | |||
현재 | 이 페이지에서 확인하세요 | ||
최고 순위 | 11위 (2006년 11월) | ||
최저 순위 | 79위 (2013년 2월) | ||
첫 국제 경기 출전 | |||
![]() ![]() (벨기에령 콩고; 1956년 9월) | |||
최다 점수차 승리 | |||
![]() ![]() (콩고 민주 공화국; 1965년 4월) | |||
최다 점수차 패배 | |||
![]() ![]() (노르웨이, 오슬로; 1990년 10월 31일) ![]() ![]() (미국, 팰러앨토; 1994년 6월 28일, 1994년 FIFA 월드컵) ![]() ![]() (코스타리카, 산호세; 1997년 3월 9일) ![]() ![]() (대한민국, 서울; 1984년 10월 4일) | |||
월드컵 | |||
출전 횟수 | 7회 (1982년에 처음 출전) | ||
최고 성적 | 8강 (1990년) | ||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 |||
출전 횟수 | 17회 (1970년에 처음 출전) | ||
최고 성적 | 우승 (1984년, 1988년, 2000년, 2002년, 2017년) | ||
아프리카 네이션스 챔피언십 | |||
출전 횟수 | 4회 (2011년에 처음 출전) | ||
최고 성적 | 8강 (2011년, 2016년) | ||
컨페더레이션스컵 | |||
출전 횟수 | 3회 (2001년에 처음 출전) | ||
최고 성적 | 준우승 (2003년) |
메달 기록 | |||
---|---|---|---|
남자 축구 | |||
금 | 2000 시드니 | 축구 |
카메룬 축구 국가대표팀은 카메룬을 대표하는 축구 국가대표팀으로 카메룬 축구 협회에서 관리·운영한다. '불굴의 사자'라는 별칭으로 알려져 있는 아프리카의 축구 강호 중 하나로 1956년 9월 콩고 민주 공화국을 상대로 국제 A매치 첫 경기를 치렀으며 현재 스타드 아마두 아히조를 홈 구장으로 사용하고 있다.
국제 대회 경력[편집]
FIFA 월드컵[편집]
1982년 FIFA 월드컵 본선에 첫 발을 디딘 이후 총 7번의 월드컵 본선 무대를 밟았고 이 가운데 로제 밀라가 맹활약하던 1990년 대회에서 아프리카팀으로는 사상 처음으로 월드컵 8강에 오르는 돌풍을 일으켰고 특히 디펜딩 챔피언 아르헨티나를 개막전에서 1-0으로 꺾는 파란을 일으키며 전 세계 축구팬들을 충격에 빠트렸다. 그러나 이후 6번의 대회에서는 최악의 경기력과 비신사적인 행위 등을 선보이며 조별리그 탈락의 쓴 맛을 봤고 또한 사우디아라비아를 상대로 사뮈엘 에토의 결승골에 힘입어 승리를 거둔 2002년 대회 E조 조별리그 2차전을 제외한 나머지 14경기에서 4무 10패에 그쳤다.
아프리카 네이션스컵[편집]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본선에는 무려 19번 출전하여 이 중 무려 5번의 대회(1984년, 1988년, 2000년, 2002년, 2017년)에서 우승컵을 들어올렸고 2번의 대회(1986년, 2008년)에서 준우승을 차지하는 등 14번의 대회에서 16강 혹은 8강 이상의 성적을 거둬들였다. 또한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5회 우승으로 7회 우승팀인 이집트에 이어 2번째 가장 많은 우승 타이틀을 보유하고 있다.
아프리카 네이션스 챔피언십[편집]
자국 리그에서 활동하는 선수들만 참가할 수 있는 아프리카 네이션스 챔피언십 본선에는 4번 출전하여 이 중 2011년과 2016년 대회에서 8강에 진출했다.
FIFA 컨페더레이션스컵[편집]
컨페드컵에는 3번 출전하여 이 중 2002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우승팀 자격으로 출전한 2003년 대회에서 준우승을 차지하는 성과를 거두었다. 그러나 콜롬비아와의 4강전 경기 도중 팀의 미드필더인 마르크비비앙 푀가 심장마비로 사망하는 사고가 발생했고 이는 컨페드컵 개최 주기가 월드컵 개최전후 2년에서 월드컵 개최전 4년으로 조정되는 결정적인 계기가 되었다.
하계 올림픽[편집]
올림픽 축구 본선에는 3번 출전하여 이 중 U-23 대표팀으로 출전한 2000년 대회에서 금메달을 목에 걸었고 2008년 대회에서는 8강에 이름을 올렸다.
국제대회 기록[편집]
FIFA 월드컵[편집]
FIFA 월드컵 본선 기록 | FIFA 월드컵 예선 기록 | |||||||||||||||
---|---|---|---|---|---|---|---|---|---|---|---|---|---|---|---|---|
년도 | 결과 | 순위 | 경기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승점 | 경기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승점 |
![]() |
독립 이전 | 독립 이전 | ||||||||||||||
![]() | ||||||||||||||||
![]() | ||||||||||||||||
![]() | ||||||||||||||||
![]() | ||||||||||||||||
![]() | ||||||||||||||||
![]() |
없음[1] | 없음[2] | ||||||||||||||
![]() |
기권 | 기권 | ||||||||||||||
![]() |
예선 탈락 | 2[3] | 0 | 1 | 1 | 3 | 4 | 1 | ||||||||
![]() |
3[4] | 1 | 0 | 2 | 1 | 3 | 3 | |||||||||
![]() |
2[5] | 0 | 1 | 1 | 2 | 4 | 1 | |||||||||
![]() |
조별리그 | 17위 | 3 | 0 | 3 | 0 | 1 | 1 | 3 | 8[6] | 5 | 1 | 2 | 16 | 5 | 16 |
![]() |
예선 탈락 | 2[7] | 0 | 1 | 1 | 2 | 5 | 1 | ||||||||
![]() |
8강 | 7위 | 5 | 3 | 0 | 2 | 7 | 9 | 9 | 8[8] | 6 | 1 | 1 | 12 | 6 | 19 |
![]() |
조별리그 | 22위 | 3 | 0 | 1 | 2 | 3 | 11 | 1 | 8[9] | 5 | 2 | 1 | 14 | 4 | 17 |
![]() |
조별리그 | 25위 | 3 | 0 | 2 | 1 | 2 | 5 | 2 | 6[10] | 4 | 2 | 0 | 10 | 4 | 14 |
![]() ![]() |
조별리그 | 20위 | 3 | 1 | 1 | 1 | 2 | 3 | 4 | 10[11] | 8 | 1 | 1 | 20 | 4 | 25 |
![]() |
예선 탈락 | 10[12] | 6 | 3 | 1 | 18 | 10 | 21 | ||||||||
![]() |
조별리그 | 31위 | 3 | 0 | 0 | 3 | 2 | 5 | 0 | 12[13] | 9 | 2 | 1 | 23 | 4 | 29 |
![]() |
조별리그 | 32위 | 3 | 0 | 0 | 3 | 1 | 9 | 0 | 8[14] | 5 | 2 | 1 | 12 | 4 | 17 |
![]() |
예선 탈락 | 8[15] | 2 | 5 | 1 | 10 | 9 | 11 | ||||||||
합계 | 7회 진출(7/14[16]) | 8강(1회) | 23 | 4 | 7 | 12 | 18 | 43 | 19 | 87 | 51 | 22 | 14 | 143 | 66 | 175 |
순위 | FIFA 월드컵 역대 순위 : 33위 | 월드컵 예선 승점 순위 : 47위 (아프리카 4위) |
아프리카 네이션스컵[편집]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본선 기록 |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예선 기록 | |||||||||||||||
---|---|---|---|---|---|---|---|---|---|---|---|---|---|---|---|---|
년도 | 결과 | 순위 | 경기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승점 | 경기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승점 |
![]() |
독립 이전 | 독립 이전 | ||||||||||||||
![]() | ||||||||||||||||
![]() |
불참 | 불참 | ||||||||||||||
![]() | ||||||||||||||||
![]() | ||||||||||||||||
![]() |
예선 탈락 | 3 | 1 | 0 | 2 | 3 | 6 | 3 | ||||||||
![]() |
조별리그 | 5위 | 3 | 2 | 0 | 1 | 7 | 6 | 6 | 4 | 2 | 2 | 0 | 7 | 4 | 8 |
![]() |
4강 | 3위 | 5 | 3 | 1 | 1 | 10 | 5 | 10 | 자동참가(개최국) | ||||||
![]() |
예선 탈락 | 2 | 1 | 0 | 1 | 2 | 3 | 3 | ||||||||
![]() |
2 | 1 | 0 | 1 | 3 | 4 | 3 | |||||||||
![]() |
2 | 1 | 0 | 1 | 2 | 4 | 3 | |||||||||
![]() |
2 | 1 | 0 | 1 | 3 | 3 | 3 | |||||||||
![]() |
조별리그 | 5위 | 3 | 0 | 3 | 0 | 1 | 1 | 3 | 4 | 2 | 1 | 1 | 12 | 5 | 7 |
![]() |
우승 | 1위 | 5 | 3 | 1 | 1 | 9 | 3 | 10 | 4 | 2 | 0 | 2 | 9 | 5 | 6 |
![]() |
준우승 | 2위 | 5 | 3 | 2 | 0 | 8 | 5 | 11 | 자동참가(전 대회 우승국) | ||||||
![]() |
우승 | 1위 | 5 | 3 | 2 | 0 | 4 | 1 | 11 | 4 | 2 | 0 | 2 | 8 | 5 | 6 |
![]() |
조별리그 | 5위 | 3 | 1 | 0 | 2 | 2 | 3 | 3 | 자동참가(전 대회 우승국) | ||||||
![]() |
4강 | 4위 | 5 | 2 | 2 | 1 | 4 | 3 | 8 | 6 | 3 | 3 | 0 | 5 | 1 | 12 |
![]() |
예선 탈락[17] | 6 | 3 | 3 | 0 | 7 | 0 | 12 | ||||||||
![]() |
조별리그 | 9위 | 3 | 1 | 1 | 1 | 5 | 7 | 4 | 6 | 3 | 1 | 2 | 7 | 7 | 10 |
![]() |
8강 | 8위 | 4 | 2 | 1 | 1 | 5 | 4 | 7 | 6 | 2 | 4 | 0 | 8 | 3 | 10 |
![]() ![]() |
우승 | 1위 | 6 | 3 | 2 | 1 | 11 | 5 | 11 | 4 | 3 | 1 | 0 | 8 | 1 | 10 |
![]() |
우승 | 1위 | 6 | 5 | 1 | 0 | 9 | 0 | 16 | 자동참가(전 대회 우승국) | ||||||
![]() |
8강 | 6위 | 4 | 1 | 2 | 1 | 7 | 6 | 5 | 자동참가(전 대회 우승국) | ||||||
![]() |
8강 | 5위 | 4 | 3 | 1 | 0 | 8 | 2 | 10 | 10 | 6 | 3 | 1 | 18 | 10 | 21 |
![]() |
준우승 | 2위 | 6 | 4 | 0 | 2 | 14 | 8 | 12 | 6 | 5 | 0 | 1 | 13 | 4 | 15 |
![]() |
8강 | 8위 | 4 | 1 | 1 | 2 | 6 | 8 | 4 | 12 | 9 | 2 | 1 | 23 | 4 | 29 |
![]() ![]() |
예선 탈락 | 6 | 3 | 2 | 1 | 12 | 5 | 11 | ||||||||
![]() |
4 | 3 | 0 | 1 | 4 | 3 | 9 | |||||||||
![]() |
조별리그 | 13위 | 3 | 0 | 2 | 1 | 2 | 3 | 2 | 6 | 4 | 2 | 0 | 9 | 1 | 14 |
![]() |
우승 | 1위 | 6 | 3 | 3 | 0 | 7 | 3 | 12 | 6 | 4 | 2 | 0 | 7 | 2 | 14 |
![]() |
16강 | 13위 | 4 | 1 | 2 | 1 | 4 | 3 | 5 | 6 | 3 | 2 | 1 | 6 | 3 | 11 |
합계 | 19회 진출(19/30[18]) | 우승(5회) | 84 | 41 | 27 | 16 | 123 | 76 | 150 | 111 | 64 | 28 | 19 | 176 | 83 | 223 |
순위 |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역대 순위 : 4위 |
FIFA 컨페더레이션스컵[편집]
FIFA 컨페더레이션스컵 기록 | |||||||||
---|---|---|---|---|---|---|---|---|---|
년도 | 결과 | 순위 | 경기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승점 |
![]() |
진출 실패 | ||||||||
![]() | |||||||||
![]() | |||||||||
![]() | |||||||||
![]() ![]() |
조별리그 | 6위 | 3 | 1 | 0 | 2 | 2 | 4 | 3 |
![]() |
준우승 | 2위 | 5 | 3 | 1 | 1 | 3 | 1 | 10 |
![]() |
진출 실패 | ||||||||
![]() | |||||||||
![]() | |||||||||
![]() |
조별리그 | 7위 | 3 | 0 | 1 | 2 | 2 | 6 | 1 |
합계 | 3회 진출(3/10) | 준우승(1회) | 11 | 4 | 2 | 5 | 7 | 11 | 14 |
순위 | FIFA 컨페더레이션스컵 역대 순위: 11위 |
하계 올림픽[편집]
올림픽 축구 기록 | |||||||||
---|---|---|---|---|---|---|---|---|---|
년도 | 결과 | 순위 | 경기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승점 |
![]() |
진출 실패 | ||||||||
![]() | |||||||||
![]() | |||||||||
![]() |
불참 | ||||||||
![]() |
진출 실패 | ||||||||
![]() |
조별리그 | 11위 | 3 | 1 | 0 | 2 | 3 | 5 | 3 |
![]() |
진출 실패 | ||||||||
![]() | |||||||||
![]() | |||||||||
![]() |
금메달 | 우승 | 6 | 3 | 3 | 0 | 11 | 8 | 12 |
![]() |
진출 실패 | ||||||||
![]() |
8강 | 8위 | 4 | 1 | 2 | 1 | 2 | 3 | 5 |
![]() |
진출 실패 | ||||||||
![]() | |||||||||
합계 | 3회 진출(3/14[27]) | 금메달(1회) | 13 | 5 | 5 | 3 | 16 | 16 | 20 |
주목할 만한 선수[편집]
- 로제 밀라(1978-1994)
- 프랑수아 오맘비크(1986-1998)
- 토마 은코노(1976-1994)
- 이드리스 카를로스 카메니(2001- )
- 티모테 에투바(1999- 현재)
- 세바스티앵 바송(2009- 현재)
- 제레미 은지타프(1996-2010)
- 리고베르 송(1994-2010)
- 사뮈엘 에토(1997-2014)
- 장 마쿤(2003- 현재)
- 모데스트 음바미(2005- 현재)
- 스테판 음비아(2005- )
- 알렉상드르 송(2008- )
- 에리크 막심 슈포모팅(2010- )
특이 사항[편집]
카메룬은 2000년대에 들어서 특이한 유니폼을 착용한 것으로 유명하다. 특히 2002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에서 민소매 유니폼을 착용하여 우승을 차지했고 이후에 열린 2002년 FIFA 월드컵에서도 착용하려고 하였으나 국제축구연맹에서 규정 위반이라는 이유로 반대하였으며 본 대회에서는 소매가 있는 셔츠를 받쳐입고 참가하였다.[28] 이후, 2004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에서는 원피스형 유니폼을 착용하였으나 이 또한 국제축구연맹이 반대를 하였고 심지어는 월드컵 예선 승점 삭감 및 벌금 부과까지 검토하기도 하였다.[29]
각주[편집]
- ↑ 카메룬 축구협회 창립 이전
- ↑ 카메룬 축구협회 창립 이전
- ↑ 1차예선에서 나이지리아에게 1무 1패(원정 1:1, 홈 2:3)으로 패하면서 2차예선 진출이 좌절되었다.
- ↑ 1차예선에서 가봉의 기권으로 2차예선 자동 진출, 자이르와 맞붙어 1승 1패(홈 0:1, 원정 1:0)로 비기면서 재경기를 치른 끝에 0:2 패, 최종예선 진출에 실패했고 반대로 자이르는 본선까지 올라갔다.
- ↑ 1차예선에서 콩고인민공화국과 1무 1패(원정 2:2, 홈 0:2)를 기록하며 2차예선 진출이 좌절되었다. 콩고인민공화국과의 홈 경기에서 1:2로 끌려가자 82분경 카메룬 관중들이 난동을 일으켰고 결국 FIFA에서 0:2 몰수패 처리했다.
- ↑ 1차예선에서 말라위에 1승 1무(홈 3:0, 원정 1:1)로 앞서 2차예선에 진출, 짐바브웨를 만나 1승 1패(홈 2:0, 원정 0:1)로 골득실에 앞서 3차예선에 진출, 자이르와 1승 1패(원정 0:1, 홈 6:1) 골득실에 앞서 최종라운드까지 올라가, 모로코를 2승(원정 2:0, 홈 2:1)로 누르고 사상 첫 월드컵 진출에 성공했다.
- ↑ 이 대회에서는 2차예선부터 참여했다. 2차예선에서 잠비아에 1무 1패(원정 1:4, 홈 1:1)로 밀려 3차예선 진출에 실패했다.
- ↑ 이 대회에서도 2차예선부터 참여했다. 2차예선 C조(나이지리아, 앙골라, 가봉)에서 4승 1무 1패 조 1위로 최종라운드에 진출해, 튀니지를 2승(홈 2:0, 원정 1:0)으로 누르고 본선에 진출했다.
- ↑ 1차예선 B조(스와질랜드, 자이르, 기권 - 라이베리아)에서 2승 2무 조 1위로 최종예선에 진출, C조(짐바브웨, 기니)에서 3승 1패로 또다시 조 1위를 차지하며 2연속 본선진출에 성공했다.
- ↑ 1차예선 없이 곧바로 최종예선부터 참여했다. 최종예선 4조(앙골라, 짐바브웨, 토고)에서 4승 2무 조 1위를 차지하며 3연속 본선진출에 성공했다.
- ↑ 1차예선 D그룹에서 소말리아에 2승(합계 6:0, 두 경기 모두 카메룬 홈에서 열림)을 거두고 최종예선 진출, A조(앙골라, 잠비아, 토고, 리비아)에서 6승 1무 1패 조 1위를 차지하며 4연속 본선진출에 성공했다. 2018년 대회 기준으로도 아프리카 대륙에서 4연속 본선에 진출한 국가는 카메룬이 유일하다.
- ↑ 1차예선 없이 곧바로 최종예선부터 참여했다. 최종예선 3조(코트디부아르, 이집트, 리비아, 수단, 베냉)에서 6승 3무 1패로 코트디부아르에 승점 1점이 밀려 본선 진출에 실패 드록바의 코트디부아르,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우승팀 이집트와 한 팀이 되어 이 중 하나만 올라가는 죽음의 조였으며, 마지막 라운드를 앞두고 조 1위에 랭크되어 있어 홈 경기에서 이집트만 잡으면 본선진출이 확정되는 상황이었고 실제로 1:0으로 앞서갔지만, 후반 막판 동점골을 내주고 종료 직전 PK를 날려버린 데다 코트디부아르가 수단을 3:1로 잡아 순위가 역전당해 4연속 진출에서 멈추게 되었다.
- ↑ 1차예선 없이 2차부터 참여했다. 2차예선 1조(카보베르데, 탄자니아, 모리셔스)에서 5승 1무 조 1위로 최종예선에 진출, A조(가봉, 토고, 모로코)에서 4승 1무 1패 최종 1위를 하여 8년 만에 본선에 진출했다.
- ↑ 1차예선 없이 2차부터 참여했다. 2차예선 I조(리비아, 콩고민주공화국, 토고)에서 4승 1무 1패를 기록하며 1위를 했지만 2차예선이 10개조로 이루어져 있어 플레이오프를 거쳐야 했다. 플레이오프에서 튀니지와 만나 1승 1무(원정 0:0, 홈 4:1)로 앞서 본선 진출에 성공했다.
- ↑ 2차예선부터 참여해 니제르를 1승 1무(3:0)로 잡고 최종예선에 진출하였다. 최종예선 B조(나이지리아, 알제리, 잠비아)에 편성되었는데, 이 조는 잠비아를 제외한 세 나라가 전 대회에서 본선에 모두 진출했었고, 그리고 16강에 진출했던 나라가 둘이나 끼어 있는 죽음의 조였다. 초반 네 경기 연속으로 한 번도 승리하지 못하는 와중에 나이지리아가 연승행진을 달리는 바람에 두 경기를 남겨두고 일찌감치 본선 진출이 좌절되었고, 5차전에 와서야 홈에서 알제리를 2:0으로 잡는 등 극심한 부진을 보이고 있다.
- ↑ 본선 진출 횟수 비율. 독립 이후로 계산
- ↑ 단 한 경기도 지지 않고 심지어 무실점을 했는데 본선에 가지 못했다.
- ↑ 본선 진출 횟수 비율. 독립 이후로 계산
- ↑ 콜롬비아와의 4강전 도중 마르크비비앙 푀가 사망했으며, 이를 계기로 컨페드컵 개최 주기가 월드컵 개최 전후 2년에서 월드컵 개최전 4년으로 조정되었다.
- ↑ 모든 연령의 선수 참가에서 23세 이하로 변경
- ↑ 모든 연령의 선수 참가에서 23세 이하로 변경
- ↑ 모든 연령의 선수 참가에서 23세 이하로 변경
- ↑ 모든 연령의 선수 참가에서 23세 이하로 변경
- ↑ 모든 연령의 선수 참가에서 23세 이하로 변경
- ↑ 모든 연령의 선수 참가에서 23세 이하로 변경
- ↑ 모든 연령의 선수 참가에서 23세 이하로 변경
- ↑ 본선 진출 횟수 비율. 독립 이후로 계산
- ↑ 민소매-반소매 절충 카메룬 ‘튀는’ 유니폼
- ↑ FIFA "원피스 유니폼 카메룬 축구팀 징계 풀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