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봉 축구 국가대표팀
가봉 | |||
---|---|---|---|
별칭 | Azingo Nationale | ||
연맹 | 가봉 축구 연맹 | ||
대륙 | 아프리카 축구 연맹 | ||
감독 | ![]() | ||
주장 | 피에르에므리크 오바메양 | ||
최다 출전자 | 디디에 오보노 (110) | ||
최다 득점자 | 피에르에므리크 오바메양 (25) | ||
홈 구장 | 스타드 오마르 봉고 | ||
FIFA 코드 | GAB | ||
| |||
FIFA 랭킹 | |||
현재 | 이 페이지에서 확인하세요 | ||
최고 순위 | 31위 (2009년 8월) | ||
최저 순위 | 125위 (2003년 4월) | ||
첫 국제 경기 출전 | |||
![]() ![]() (마다가스카르; 1960년 4월 13일) | |||
최다 점수차 승리 | |||
![]() ![]() (가봉 리브르빌; 1995년 4월 2일) | |||
최다 점수차 패배 | |||
![]() ![]() (기니; 1967년 7월 9일) ![]() ![]() (코트디부아르 아비장; 2006년 10월 8일, 2008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예선) | |||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 |||
출전 횟수 | 7회 (1994년에 처음 출전) | ||
최고 성적 | 8강 (1996년, 2012년) | ||
아프리카 네이션스 챔피언십 | |||
출전 횟수 | 3회 (2011년에 처음 출전) | ||
최고 성적 | 8강 (2014년) |
가봉 축구 국가대표팀은 가봉을 대표하는 축구 국가대표팀으로 가봉 축구 연맹에서 관리한다. 1960년 4월 13일 부르키나파소를 상대로 국제 A매치 첫 경기를 치렀으며 현재 스타드 오마르 봉고를 홈 구장으로 사용하고 있다.
국제 대회 경력[편집]
FIFA 월드컵[편집]
현재까지 가봉의 월드컵 본선 기록은 전무하나 그나마 월드컵 지역 예선에서 최고 성적을 거둔 대회는 2010년 FIFA 월드컵 아프리카 지역 예선으로 이 대회에서 최종 예선까지 올랐고 최종 예선에서도 3승 3패·A조 2위를 차지하는 기염을 토했다.
아프리카 네이션스컵[편집]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본선에는 7번 출전하여 이 가운데 1996년과 적도 기니와 공동 개최국 자격으로 참가한 2012년 대회에서 8강에 이름을 올리면서 가봉 축구 역사상 메이저 대회 최고 성적을 거두었다.
아프리카 네이션스 챔피언십[편집]
자국 리그에서 활동하는 선수들만 참가할 수 있는 아프리카 네이션스 챔피언십 본선에는 3번 출전하여 이 중 2014년 대회에서 8강에 이름을 올렸고 나머지 2번의 대회에서는 조별리그에서 탈락했다.
하계 올림픽[편집]
올림픽 축구 본선 기록은 현재까지 U-23 대표팀으로 출전한 2012년 대회가 유일하며 그나마도 2무 1패의 성적으로 조별리그 탈락의 고배를 마셨다.
기타 국제 대회 경력[편집]
CEMAC컵에서는 10번의 대회 가운데 2번의 대회에서 우승(2013년)과 준우승(2007년)을 각각 1번씩 거머쥐었고 1999년 UNIFAC컵에서도 우승을 거머쥐었으며 UDEAC컵에서도 7번의 대회 중 2번의 대회에서 정상에 올랐다.
FIFA 월드컵 (본선)[편집]
년도 | 결과 | 순위 | 경기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승점 |
---|---|---|---|---|---|---|---|---|---|
![]() |
독립 이전 | ||||||||
![]() | |||||||||
![]() | |||||||||
![]() | |||||||||
![]() | |||||||||
![]() | |||||||||
![]() |
없음[1] | ||||||||
![]() |
기권 | ||||||||
![]() |
불참 | ||||||||
![]() |
기권 | ||||||||
![]() |
불참 | ||||||||
![]() | |||||||||
![]() | |||||||||
![]() |
예선 탈락 | ||||||||
![]() | |||||||||
![]() | |||||||||
![]() ![]() | |||||||||
![]() | |||||||||
![]() | |||||||||
![]() | |||||||||
![]() | |||||||||
합계 |
FIFA 월드컵 (예선)[편집]
년도 | 경기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승점 | ||
---|---|---|---|---|---|---|---|---|---|
![]() |
독립 이전 | ||||||||
![]() | |||||||||
![]() | |||||||||
![]() | |||||||||
![]() | |||||||||
![]() | |||||||||
![]() |
없음[2] | ||||||||
![]() |
기권 | ||||||||
![]() |
불참 | ||||||||
![]() |
기권 | ||||||||
![]() |
불참 | ||||||||
![]() | |||||||||
![]() | |||||||||
![]() |
6 | 2 | 0 | 4 | 5 | 9 | 6 | ||
![]() |
4 | 2 | 1 | 1 | 7 | 5 | 7 | ||
![]() |
7 | 2 | 1 | 4 | 4 | 11 | 7 | ||
![]() ![]() |
2 | 1 | 0 | 1 | 1 | 2 | 3 | ||
![]() |
12 | 3 | 5 | 4 | 15 | 14 | 14 | ||
![]() |
12 | 7 | 0 | 5 | 17 | 10 | 21 | ||
![]() |
6 | 2 | 1 | 3 | 5 | 6 | 7 | ||
![]() |
8 | 2 | 3 | 3 | 3 | 8 | 9 | ||
합계 | 57 | 21 | 11 | 25 | 57 | 65 | 74 | ||
순위 | 월드컵 예선 승점 순위 : 97위 (아프리카 21위) |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본선)[편집]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본선 기록 | |||||||||
---|---|---|---|---|---|---|---|---|---|
년도 | 결과 | 순위 | 경기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승점 |
![]() |
독립 이전 | ||||||||
![]() | |||||||||
![]() |
불참 | ||||||||
![]() | |||||||||
![]() | |||||||||
![]() | |||||||||
![]() | |||||||||
![]() |
예선 탈락 | ||||||||
![]() |
기권 | ||||||||
![]() |
불참 | ||||||||
![]() |
예선 탈락 | ||||||||
![]() |
불참 | ||||||||
![]() |
기권 | ||||||||
![]() |
예선 탈락 | ||||||||
![]() | |||||||||
![]() | |||||||||
![]() | |||||||||
![]() | |||||||||
![]() |
조별리그 | 12위 | 2 | 0 | 0 | 2 | 0 | 7 | 0 |
![]() |
8강 | 7위 | 3 | 1 | 1 | 1 | 4 | 3 | 4 |
![]() |
예선 탈락 | ||||||||
![]() ![]() |
조별리그 | 16위 | 3 | 0 | 1 | 2 | 2 | 6 | 1 |
![]() |
예선 탈락 | ||||||||
![]() | |||||||||
![]() | |||||||||
![]() | |||||||||
![]() |
조별리그 | 10위 | 3 | 1 | 1 | 1 | 2 | 2 | 4 |
![]() ![]() |
8강 | 5위 | 4 | 3 | 1 | 0 | 7 | 3 | 10 |
![]() |
예선 탈락 | ||||||||
![]() |
조별리그 | 12위 | 3 | 1 | 0 | 2 | 2 | 3 | 3 |
![]() |
조별리그 | 9위 | 3 | 0 | 3 | 0 | 2 | 2 | 3 |
![]() |
예선 탈락 | ||||||||
총계 | 7회 진출(7/30[3]) | 8강(2회) | 21 | 6 | 7 | 8 | 19 | 26 | 25 |
순위 |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역대 순위 : 18위 |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예선)[편집]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예선 기록 | |||||||
---|---|---|---|---|---|---|---|
년도 | 경기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승점 |
![]() |
독립 이전 | ||||||
![]() | |||||||
![]() |
불참 | ||||||
![]() | |||||||
![]() | |||||||
![]() | |||||||
![]() | |||||||
![]() |
2 | 0 | 0 | 2 | 1 | 3 | 0 |
![]() |
기권 | ||||||
![]() |
불참 | ||||||
![]() |
2 | 0 | 1 | 1 | 5 | 6 | 1 |
![]() |
불참 | ||||||
![]() |
기권 | ||||||
![]() |
2 | 0 | 1 | 1 | 2 | 6 | 1 |
![]() |
2 | 0 | 1 | 1 | 1 | 3 | 1 |
![]() |
2 | 1 | 0 | 1 | 1 | 1 | 3 |
![]() |
6 | 3 | 0 | 3 | 6 | 6 | 9 |
![]() |
6 | 2 | 3 | 1 | 3 | 2 | 9 |
![]() |
6 | 4 | 2 | 0 | 10 | 2 | 14 |
![]() |
4 | 3 | 0 | 1 | 8 | 2 | 9 |
![]() |
6 | 1 | 4 | 1 | 5 | 5 | 7 |
![]() ![]() |
8 | 5 | 1 | 2 | 15 | 10 | 16 |
![]() |
8 | 3 | 3 | 2 | 13 | 10 | 12 |
![]() |
6 | 2 | 0 | 4 | 7 | 7 | 6 |
![]() |
12 | 3 | 5 | 4 | 15 | 14 | 14 |
![]() |
4 | 2 | 1 | 1 | 6 | 5 | 7 |
![]() |
12 | 7 | 0 | 5 | 17 | 10 | 21 |
![]() ![]() |
자동진출(개최국) | ||||||
![]() |
2 | 0 | 1 | 1 | 2 | 3 | 1 |
![]() |
6 | 3 | 3 | 0 | 9 | 4 | 12 |
![]() |
자동진출(개최국) | ||||||
![]() |
6 | 2 | 2 | 2 | 7 | 5 | 8 |
합계 | 102 | 41 | 28 | 33 | 133 | 104 | 151 |
하계 올림픽[편집]
올림픽 축구 기록 | |||||||||
---|---|---|---|---|---|---|---|---|---|
년도 | 결과 | 순위 | 경기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승점 |
![]() |
불참 | ||||||||
![]() | |||||||||
![]() | |||||||||
![]() |
진출 실패 | ||||||||
![]() |
불참 | ||||||||
![]() | |||||||||
![]() |
진출 실패 | ||||||||
![]() | |||||||||
![]() | |||||||||
![]() | |||||||||
![]() | |||||||||
![]() | |||||||||
![]() | |||||||||
![]() |
조별리그 | 12위 | 3 | 0 | 2 | 1 | 1 | 3 | 2 |
![]() |
진출 실패 | ||||||||
합계 | 1회 진출(1/15[5]) | 조별리그(1회) | 3 | 0 | 2 | 1 | 1 | 3 | 2 |
주요 선수 [편집]
- 피에르에므리크 오바메양
- 마리오 레미나
- 브뤼노 에퀴엘레 망가
- 로이 팔룽
- 아롱 아팽당고예
- 레비 마딩다
- 귀엘로 캉가
- 디디에 은동
- 말릭 에부나
- 앙드레 비요고 포코
- 디디에 오보노
- 프레데릭 뷜로
- 악셀 메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