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0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2010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Copa das Nações Africanas de 2010 | |
---|---|
개최국 | ![]() |
개최기간 | 1월 10일 ~ 1월 31일 |
경기장 | 4개 |
참가국 | 15개개국 |
결과 | |
3위 | ![]() |
4위 | ![]() |
최다 득점 | ![]() |
최우수 선수 | ![]() |
총 경기 | 29경기 |
총 득점 | 71골 (경기당 2.45골) |
총 관중 | 543,500명 (경기당 18,741명) |
« 2008 2012 » |
2010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포르투갈어: Copa das Nações Africanas de 2010)은 27번째 네이션스컵으로 아프리카 축구의 최강자를 가리는 대회로 앙골라에서 2010년 1월 10일부터 1월 31일까지 개최하였다. 이집트가 후반 40분에 터진 모하메드 나기의 결승골을 잘 지켜 가나를 이기고 3연속 우승이자 사상 일곱 번째 우승을 달성하였다.
예선[편집]
2010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의 예선전은 2007년 10월부터 2009년 11월까지의 시행되었다. 이번 대회의 예선은 2006년 대회와 마찬가지로 2010년 FIFA 월드컵 예선과 겸해서 치러져서 2010년 FIFA 월드컵 개최국인 남아프리카 공화국과 2010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의 개최국인 앙골라도 참여하였다. 참가팀들은 모두 1, 2차 예선을 치러 15개의 출전국을 가려낸다. 1차 예선에서는 45개국이 12개 그룹으로 나뉘어 각 조 1위 팀 12개 팀과 1조부터 12조의 2위 팀 중 상위 8개 팀이 2라운드에 진출한다. 2라운드에 진출한 20개 팀은 5개의 그룹으로 나뉘어 각 조의 4위 팀들을 제외한 15개국이 2010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의 출전권을 갖게되고, 동시에 조 1위팀 5개국은 월드컵 출전권도 갖게된다.
본선 진출 확정 팀[편집]

결과:
2010년 FIFA 월드컵과 2010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진출에 성공한 팀들
2010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진출에 성공한 팀들
2010년 FIFA 월드컵과 2010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진출에 실패한 팀들
기권하였거나 실격된 팀들
■ 2010년 FIFA 월드컵의 개최국
◆ 2010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의 개최국
◆ 2010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의 개최국
국가 | 본선 자격 | 과거 본선 진출 횟수와 연도 |
---|---|---|
![]() |
개최국 자동 진출 | 4회 (1996, 1998, 2006, 2008) |
![]() |
A조 1위 | 15회 (1970, 1972, 1982, 1984, 1986, 1988, 1990, 1992, 1996, 1998, 2000, 2002, 2004, 2006, 2008) |
![]() |
A조 2위 | 3회 (1994, 1996, 2000) |
![]() |
A조 3위 | 6회 (1972, 1984, 1998, 2000, 2002, 2006) |
![]() |
B조 1위 | 15회 (1963, 1976, 1978, 1980, 1982, 1984, 1988, 1990, 1992, 1994, 2000, 2002, 2004, 2006, 2008, ) |
![]() |
B조 2위 | 13회 (1962, 1963, 1965, 1978, 1982, 1994, 1996, 1998, 2000, 2002, 2004, 2006, 2008) |
![]() |
B조 3위 | 3회 (1986, 1996, 1998) |
![]() |
C조 1위 | 13회 (1968, 1980, 1982, 1984, 1986, 1988, 1990, 1992, 1996, 1998, 2000, 2002, 2004) |
![]() |
C조 1위 | 21회 (1957, 1959, 1962, 1963, 1970, 1974, 1976, 1980, 1984, 1986, 1988, 1990, 1992, 1994, 1996, 1998, 2000, 2002, 2004, 2006, 2008) |
![]() |
C조 3위 | 13회 (1974, 1978, 1982, 1986, 1990, 1992, 1994, 1996, 1998, 2000, 2002, 2006, 2008) |
![]() |
D조 1위 | 16회 (1963, 1965, 1968, 1970, 1978, 1980, 1982, 1984, 1992, 1994, 1996, 1998, 2000, 2002, 2006, 2008) |
![]() |
D조 2위 | 2회 (2004, 2008) |
![]() |
D조 3위 | 5회 (1972, 1994, 2002, 2004, 2008) |
![]() |
E조 1위 | 17회 (18회 (1965, 1968, 1970, 1974, 1980, 1984, 1986, 1988, 1990, 1992, 1994, 1996, 1998, 2000, 2002, 2006, 2008) |
![]() |
E조 2위 | 6회 (1978, 1996, 1998, 2000, 2002, 2004) |
![]() |
E조 3위 | 1회 (1984) |
2010년 FIFA 월드컵 본선에도 진출한 팀
- 참고
- 앙골라는 예선에서 탈락하여 2010년 FIFA 월드컵 진출에 실패하였으나, 개최국 자격으로 자동으로 진출하였다.
- 알제리와 이집트는 완전한 동률을 이루어 최종 예선 C조 공동 1위가 되었으며 2010년 FIFA 월드컵 진출팀은 중립 지역인 수단에서 별도로 플레이오프를 치러서 가려졌다.
- 토고는 이 대회에 출전할 자격을 얻었으나 대회 직전인 2010년 1월 8일에 토고 선수단이 콩고 공화국에서 전지훈련을 마치고 루안다로 이동하던 중 카빈다에서 무장괴한에 의해 총격 테러를 당한 사건으로 인해 기권하였다. 한편 이 사고로 인해 버스 운전 기사와 팀 대변인, 그리고 보조 코치 등 3명이 숨졌고, 골키퍼 코조비 오빌랄레와 감독 등 9명이 부상을 입었다.[1]
경기장[편집]
도시 | 경기장 | 수용 인원 | 조별 리그 경기수 | 결선 토너먼트 경기수 | 합계 | ||||||
---|---|---|---|---|---|---|---|---|---|---|---|
A조 | B조 | C조 | D조 | 8강전 | 4강전 | 3.4위전 | 결승전 | ||||
루안다 | 도스 코케이로스 경기장 | 50,000 | 5 | 1 | - | - | 1 | 1 | - | 1 | 9 |
카빈다 | 시만델라 경기장 | 20,000 | 1 | 5* | - | - | 1 | - | - | - | 7* |
벵겔라 | 벵겔라 음바카 스타디움 | 35,000 | - | - | 5 | 1 | 1 | 1 | 1 | - | 9 |
루방구 | 알토 다 셀라 경기장 | 20,000 | - | - | 1 | 5 | 1 | - | - | - | 7 |
- 참고: 카빈다 경기장에서는 조별 예선 5경기를 포함한 총 7경기를 치르기로 계획되어 있었으나, B조에 속해 있던 토고의 기권으로 인해 실제로는 조별 예선 2경기를 포함한 총 4경기만 치르게 되었다.
시드 배정[편집]
시드 1 | 시드 2 | 시드 3 | 시드 4 |
---|---|---|---|
선수 명단[편집]
조별 리그[편집]
- 모든 시간은 현지 시간을 기준으로 합니다. (UTC +1)
조별리그 1~2위 (결선 토너먼트 진출) | |
조별리그 3~4위 (탈락) |
A조[편집]
팀 | 승점 | 경기 | 승 | 무 | 패 | 득 | 실 | 득실차 |
---|---|---|---|---|---|---|---|---|
![]() |
5 | 3 | 1 | 2 | 0 | 6 | 4 | +2 |
![]() |
4 | 3 | 1 | 1 | 1 | 1 | 3 | –2 |
![]() |
4 | 3 | 1 | 1 | 1 | 7 | 6 | +1 |
![]() |
3 | 3 | 1 | 0 | 2 | 4 | 5 | –1 |
- 알제리와 말리는 승자승 원칙에 따라 순위가 결정되었으며, 1-0으로 승리한 알제리가 2위로 16강에 진출하였다.
2010년 1월 10일 20:00 | ||||||
앙골라 ![]() |
4 – 4 | ![]() |
도스 코케이로스 경기장, 루안다 관중수: 45,000명 심판: Essam Abd El Fatah (이집트) | |||
아마두 ![]() 질베르투 ![]() 마누슈 ![]() |
리포트 | 케이타 ![]() 카누테 ![]() 야타바레 ![]() | ||||
2010년 1월 11일 14:45 | ||||||
말라위 ![]() |
3 – 0 | ![]() |
도스 코케이로스 경기장, 루안다 관중수: 1,000명 심판: Badara Diatta (세네갈) | |||
음와풀리어와 ![]() 카포테카 ![]() 반다 ![]() |
리포트 | |||||
2010년 1월 14일 17:00 | ||||||
말리 ![]() |
0 – 1 | ![]() |
도스 코케이로스 경기장, 루안다 관중수: 4,000명 심판: Muhmed Ssegonga (우간다) | |||
리포트 | 할리체 ![]() | |||||
2010년 1월 14일 19:30 | ||||||
앙골라 ![]() |
2 – 0 | ![]() |
도스 코케이로스 경기장, 루안다 관중수: 50,000명 심판: Desire Doue Normandiez (코트디부아르) | |||
플라비오 ![]() 마누슈 ![]() |
리포트 | |||||
2010년 1월 18일 17:00 | ||||||
앙골라 ![]() |
0 – 0 | ![]() |
도스 코케이로스 경기장, 루안다 관중수: 40,000명 심판: Jerome Damon (남아프리카 공화국) | |||
리포트 | ||||||
2010년 1월 18일 17:00 | ||||||
말리 ![]() |
3 – 1 | ![]() |
시만델라 경기장, 카빈다 관중수: 21,000명 심판: Rajindraparsad Seechurn (모리셔스) | |||
카누테 ![]() 케이타 ![]() 바가요코 ![]() |
리포트 | 음와풀리어와 ![]() | ||||
B조[편집]
팀 | 승점 | 경기 | 승 | 무 | 패 | 득 | 실 | 득실차 |
---|---|---|---|---|---|---|---|---|
![]() |
4 | 2 | 1 | 1 | 0 | 3 | 1 | +2 |
![]() |
3 | 2 | 1 | 0 | 1 | 2 | 3 | –1 |
![]() |
1 | 2 | 0 | 1 | 1 | 0 | 1 | –1 |
![]() |
기권 |
- B조에서는 토고의 기권으로[2] 3팀만이 참가해 상위 두 팀이 8강전에 진출하게 되었으며, 토고와의 모든 경기는 취소되었다.
2010년 1월 11일 17:00 | ||||||
코트디부아르 ![]() |
0 – 0 | ![]() |
시만델라 경기장, 카빈다 관중수: 5,000명 심판: Kacem Bennaceur (튀니지) | |||
리포트 | ||||||
2010년 1월 11일 19:30 | ||||||
가나 ![]() |
취소됨 | ![]() |
시만델라 경기장, 카빈다 | |||
2010년 1월 15일 17:00 | ||||||
부르키나파소 ![]() |
취소됨 | ![]() |
시만델라 경기장, 카빈다 | |||
2010년 1월 15일 19:30 | ||||||
코트디부아르 ![]() |
3 – 1 | ![]() |
시만델라 경기장, 카빈다 관중수: 23,000명 심판: Jerome Damon (남아프리카 공화국) | |||
칼루 ![]() 티에네 ![]() 드로그바 ![]() |
리포트 | 기안 ![]() | ||||
2010년 1월 19일 17:00 | ||||||
부르키나파소 ![]() |
0 – 1 | ![]() |
도스 코케이로스 경기장, 루안다 관중수: 8,000명 심판: Eddy Maillet (셰이셸) | |||
리포트 | 아유 ![]() | |||||
2010년 1월 19일 17:00 | ||||||
코트디부아르 ![]() |
취소됨 | ![]() |
시만델라 경기장, 카빈다 | |||
C조[편집]
팀 | 승점 | 경기 | 승 | 무 | 패 | 득 | 실 | 득실차 |
---|---|---|---|---|---|---|---|---|
![]() |
9 | 3 | 3 | 0 | 0 | 7 | 1 | +6 |
![]() |
6 | 3 | 2 | 0 | 1 | 5 | 3 | +2 |
![]() |
1 | 3 | 0 | 1 | 2 | 2 | 5 | –3 |
![]() |
1 | 3 | 0 | 1 | 2 | 2 | 7 | –5 |
2010년 1월 12일 17:00 | ||||||
이집트 ![]() |
3 – 1 | ![]() |
벵겔라 음바카 스타디움, 벵겔라 관중수: 18,000명 심판: Rajindraparsad Seechurn (모리셔스) | |||
모테압 ![]() 하산 ![]() 게도 ![]() |
리포트 | 오바시 ![]() | ||||
2010년 1월 12일 19:30 | ||||||
모잠비크 ![]() |
2 – 2 | ![]() |
벵겔라 음바카 스타디움, 벵겔라 관중수: 15,000명 심판: 칼리드 압델 라만 (수단) | |||
미루 ![]() 푸무 ![]() |
리포트 | 오모토요시 ![]() 칸 ![]() | ||||
2010년 1월 16일 17:00 | ||||||
나이지리아 ![]() |
1 – 0 | ![]() |
벵겔라 음바카 스타디움, 벵겔라 관중수: 8,000명 심판: Hélder Martins de Carvalho (수단) | |||
야쿠부 ![]() |
리포트 | |||||
2010년 1월 16일 19:30 | ||||||
이집트 ![]() |
2 – 0 | ![]() |
벵겔라 음바카 스타디움, 벵겔라 관중수: 16,000명 심판: Kokou Djaoupe (토고) | |||
칸 ![]() 게도 ![]() |
리포트 | |||||
2010년 1월 20일 17:00 | ||||||
이집트 ![]() |
2 – 0 | ![]() |
벵겔라 음바카 스타디움, 벵겔라 관중수: 12,500명 심판: Daniel Bennett (남아프리카 공화국) | |||
알 무하마디 ![]() 모타브 ![]() |
리포트 | |||||
2010년 1월 20일 17:00 | ||||||
나이지리아 ![]() |
3 – 0 | ![]() |
알토 다 셀라 경기장, 루방구 관중수: 10,000명 심판: 코만 쿨리발리 (말리) | |||
오뎀윈지 ![]() 마틴스 ![]() |
리포트 | |||||
D조[편집]
잠비아, 카메룬, 가봉 3개 팀 간의 순위표는 다음과 같다.
결선 토너먼트[편집]
8강전[편집]
준결승전[편집]
3·4위전[편집]
결승전[편집]
우승 팀[편집]
최종 순위[편집]
득점자[편집]
팀 득점 기록[편집]* 무장 괴한의 총기 난사 사건으로 기권한 토고 축구 국가대표팀의 B조에 포함된 팀. 각주[편집]
외부 링크[편집]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