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5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2015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 |
---|---|
개최국 | ![]() |
개최기간 | 1월 17일 ~ 2월 8일 |
참가팀 | 16 |
경기장 | 4 (4개 도시) |
결과 | |
우승 | ![]() |
준우승 | ![]() |
3위 | ![]() |
4위 | ![]() |
최다 득점 | ![]() ![]() ![]() ![]() ![]() (각 3골) |
최우수 선수 | ![]() |
통계 | |
총 경기 | 32경기 |
총 득점 | 68골 (경기당 2.13골) |
« 2013 2017 » |
2015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영어: 2015 Africa Cup of Nations)은 2015년 1월 17일부터 2월 8일까지 적도 기니에서 개최된 대회인 30번째 아프리카 네이션스컵이다.[1]
이 대회는 당초 모로코에서 개최될 예정이었으나, 2014년 10월 모로코가 서아프리카 에볼라 유행에 따른 우려로 아프리카 축구 연맹에 대회 개최 연기를 요청했다. 이에 따라 아프리카 축구 연맹은 11월 2일 집행위원회를 소집하여 이 문제에 대해 한 차례 논의를 거쳤다.[2] 아프리카 축구 연맹은 이 대회의 개최를 2016년으로 연기하기는 어렵다는 입장을 밝히며 11월 8일까지 모로코 축구 협회에 2015년 개최 의사를 전달할 것을 요청하였으나 모로코 축구 협회가 이에 응하지 않아 11월 11일에 이사회를 소집하여 이 문제에 대해 다시 논의하였다. 이에 따라 아프리카 축구 연맹은 모로코 축구 협회에 이 대회의 개최권을 박탈함과 동시에 출전 정지 징계를 내렸음을 통보하는 한편 모로코를 대신하여 이 대회를 개최할 국가를 선정하는 작업에 들어갔다. 그리고 11월 14일, 적도 기니에서 개최하기로 결정하였다.
개최를 희망했던 국가[편집]
여기에서 모로코가 개최 국가로 결정되었으나 모로코가 에볼라 유행을 이유로 개최를 연기하기를 원하자 아프리카 축구 연맹은 모로코의 개최권을 박탈하고 다른 국가에서 개최하기로 결정했다.
대체 개최국으로 거론되었던 국가[편집]
아프리카 축구 연맹은 몇 개 회원국을 선정하여 모로코를 대신하여 이 대회를 개최할 수 있는지의 여부를 사전에 조사하였다.
그 결과 다음 5개국은 개최 불가 의사를 전달하였다.
다음 1개국은 명확한 답변을 하지 않았다.
다음 3개국은 아프리카 축구 연맹에서 협상되었던 국가이다.
아프리카 축구 연맹은 적도 기니에서 2015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을 개최하기로 결정했다.
개최 도시 및 경기장[편집]
2015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의 개최 도시와 경기장은 다음과 같다.
- 바타 - 데 바타 경기장 (수용인원: 35,700)
- 말라보 - 데 누에보 말라보 경기장 (수용인원: 15,250)
- 몽고모 - 데 몽고모 경기장 (수용인원: 10,000)
- 에베비인 - 데 누에보 에베비인 경기장 (수용인원: 35,700)
예선[편집]
본선 진출 팀[편집]
팀 | 예선 결과 | 본선 진출 결정일 | 과거 본선 기록 |
---|---|---|---|
![]() |
개최국 | 2014년 11월 14일 | 1회 (2012) |
![]() |
A조 1위 | 2014년 11월 15일 | 8회 (1996, 1998, 2000, 2002, 2004, 2006, 2008, 2013) |
![]() |
B조 1위 | 2014년 10월 15일 | 15회 (1968, 1980, 1982, 1984, 1986, 1988, 1990, 1992, 1996, 1998, 2000, 2002, 2004, 2010, 2013) |
![]() |
C조 1위 | 2014년 11월 15일 | 5회 (1994, 1996, 2000, 2010, 2012) |
![]() |
D조 1위 | 2014년 11월 15일 | 16회 (1970, 1972, 1982, 1984, 1986, 1988, 1990, 1992, 1996, 1998, 2000, 2002, 2004, 2006, 2008, 2010) |
![]() |
E조 1위 | 2014년 11월 19일 | 19회 (1963, 1965, 1968, 1970, 1987, 1980, 1982, 1984, 1992, 1994, 1996, 1998, 2000, 2002, 2006, 2008, 2010, 2012, 2013) |
![]() |
F조 1위 | 2014년 10월 15일 | 1회 (2013) |
![]() |
G조 1위 | 2014년 11월 14일 | 16회 (1962, 1963, 1965, 1978, 1982, 1994, 1996, 1998, 2000, 2002, 2004, 2006, 2008, 2010, 2012, 2013) |
![]() |
A조 2위 | 2014년 11월 19일 | 6회 (1968, 1972, 1974, 1978, 1992, 2000) |
![]() |
B조 2위 | 2014년 11월 19일 | 8회 (1972, 1994, 2002, 2004, 2008, 2010, 2012, 2013) |
![]() |
C조 2위 | 2014년 11월 15일 | 9회 (1978, 1996, 1998, 2000, 2002, 2004, 2010, 2012, 2013) |
![]() |
D조 2위 | 2014년 11월 19일 | 20회 (1965, 1968, 1970, 1974, 1980, 1984, 1986, 1988, 1990, 1992, 1994, 1996, 1998, 2000, 2002, 2006, 2008, 2010, 2012, 2013) |
![]() |
E조 2위 | 2014년 11월 19일 | 10회 (1970, 1974, 1976, 1980, 1994, 1998, 2004, 2006, 2008, 2012) |
![]() |
F조 2위 | 2014년 11월 15일 | 16회 (1974, 1978, 1982, 1986, 1990, 1992, 1994, 1996, 1998, 2000, 2002, 2006, 2008, 2010, 2012, 2013) |
![]() |
G조 2위 | 2014년 11월 15일 | 12회 (1965, 1968, 1986, 1990, 1992, 1994, 2000, 2002, 2004, 2006, 2008, 2012) |
![]() |
D조 3위 | 2014년 11월 19일 | 16회 (1965, 1968, 1970, 1972, 1974, 1976, 1988, 1992, 1994, 1996, 1998, 2000, 2002, 2004, 2006, 2013) |
- 굵은 글씨는 우승한 대회를 의미한다.
시드 배정[편집]
이번 시드 배정은 2013년 대회와는 다르게 지난 3개 대회의 전적, 2012년 예선(0.5배의 가중치), 2013년 예선, 2015년 예선(2배의 가중치), 2014년 FIFA 월드컵 예선의 점수를 합산하여 시드를 배정했다.[3] 그 결과, 15년 만에 본선에 진출한 콩고 공화국은 최하위 시드를 배정받았다.
이 기준에 근거한 시드 배정 결과는 다음과 같다.
시드 1 | 시드 2 | 시드 3 | 시드 4 |
---|---|---|---|
조 추첨은 2014년 12월 3일, 적도 기니 말라보에서 열렸다.
조 추첨 결과[편집]
조 | 1시드 | 2시드 | 3시드 | 4시드 |
---|---|---|---|---|
A | ![]() |
![]() |
![]() |
![]() |
B | ![]() |
![]() |
![]() |
![]() |
C | ![]() |
![]() |
![]() |
![]() |
D | ![]() |
![]() |
![]() |
![]() |
선수 명단[편집]
조별 리그[편집]
- 모든 경기는 현지 시간(UTC+01)을 따름.
A조[편집]
팀 | 경기 | 승 | 무 | 패 | 득 | 실 | 차 | 승점 |
---|---|---|---|---|---|---|---|---|
![]() |
3 | 2 | 1 | 0 | 4 | 2 | +2 | 7 |
![]() |
3 | 1 | 2 | 0 | 3 | 1 | +2 | 5 |
![]() |
3 | 1 | 0 | 2 | 2 | 3 | -1 | 3 |
![]() |
3 | 0 | 1 | 2 | 1 | 4 | -3 | 1 |
2015년 1월 17일 17:00 | ||||||
적도 기니 ![]() |
1 – 1 | ![]() |
데 바타 경기장, 바타 관중: 40,245 심판: 바카리 가사마 ![]() | |||
은수에 ![]() |
리포트 | 비푸마 ![]() | ||||
2015년 1월 17일 20:00 | ||||||
부르키나파소 ![]() |
0 – 2 | ![]() |
데 바타 경기장, 바타 관중: 40,245 심판: 라진드라파르사드 시추른 ![]() | |||
리포트 | 오바메양 ![]() 에부나 ![]() | |||||
2015년 1월 21일 17:00 | ||||||
적도 기니 ![]() |
0 – 0 | ![]() |
데 바타 경기장, 바타 관중: 39,867 심판: 네앙 알리움 ![]() | |||
리포트 | ||||||
2015년 1월 21일 20:00 | ||||||
가봉 ![]() |
0 – 1 | ![]() |
데 바타 경기장, 바타 관중: 34,782 심판: 빅터 고메스 ![]() | |||
리포트 | 오니앤구에 ![]() | |||||
2015년 1월 25일 19:00 | ||||||
가봉 ![]() |
0 – 2 | ![]() |
데 바타 경기장, 바타 관중: 39.230 심판: 누망디에즈 두에 ![]() | |||
리포트 | 발보아 ![]() 이반 ![]() | |||||
2015년 1월 25일 19:00 | ||||||
콩고 공화국 ![]() |
2 – 1 | ![]() |
데 누에보 에베비인 경기장, 에베비인 관중: 7.945 심판: 조지프 램프티 ![]() | |||
비푸마 ![]() 온다마 ![]() |
리포트 | 반체 ![]() | ||||
B조[편집]
팀 | 경기 | 승 | 무 | 패 | 득 | 실 | 차 | 승점 |
---|---|---|---|---|---|---|---|---|
![]() |
3 | 1 | 2 | 0 | 4 | 3 | +1 | 5 |
![]() |
3 | 0 | 3 | 0 | 2 | 2 | 0 | 3 |
![]() |
3 | 0 | 3 | 0 | 1 | 1 | 0 | 3 |
![]() |
3 | 0 | 2 | 1 | 2 | 3 | -1 | 2 |
2015년 1월 18일 17:00 | ||||||
잠비아 ![]() |
1 – 1 | ![]() |
데 누에보 에베비인 경기장, 에베비인 관중: 7,319 심판: 게하드 그리샤 ![]() | |||
싱굴루마 ![]() |
리포트 | 볼라시 ![]() | ||||
2015년 1월 18일 20:00 | ||||||
튀니지 ![]() |
1 – 1 | ![]() |
데 누에보 에베비인 경기장, 에베비인 관중: 7,479 심판: 에리크 오토고카스탄 ![]() | |||
망세 ![]() |
리포트 | 헬돈 ![]() | ||||
2015년 1월 22일 17:00 | ||||||
잠비아 ![]() |
1 – 2 | ![]() |
데 누에보 에베비인 경기장, 에베비인 관중: 8,000 심판: 아부바카 방구라 ![]() | |||
마유카 ![]() |
리포트 | 아카치 ![]() 치하우이 ![]() | ||||
2015년 1월 22일 20:00 | ||||||
카보베르데 ![]() |
0 – 0 | ![]() |
데 누에보 에베비인 경기장, 에베비인 관중: 7,680 심판: 말랑 디에디우 ![]() | |||
리포트 | ||||||
2015년 1월 26일 19:00 | ||||||
카보베르데 ![]() |
0 – 0 | ![]() |
데 누에보 에베비인 경기장, 에베비인 관중: 7.950 심판: 네앙 알리움 ![]() | |||
리포트 | ||||||
2015년 1월 26일 19:00 | ||||||
콩고 민주 공화국 ![]() |
1 – 1 | ![]() |
데 바타 경기장, 바타 관중: 11.463 심판: 바카리 가사마 ![]() | |||
보킬라 ![]() |
리포트 | 아카치 ![]() | ||||
C조[편집]
팀 | 경기 | 승 | 무 | 패 | 득 | 실 | 차 | 승점 |
---|---|---|---|---|---|---|---|---|
![]() |
3 | 2 | 0 | 1 | 4 | 3 | +1 | 6 |
![]() |
3 | 2 | 0 | 1 | 5 | 2 | +3 | 6 |
![]() |
3 | 1 | 1 | 1 | 3 | 4 | -1 | 4 |
![]() |
3 | 0 | 1 | 2 | 3 | 6 | -3 | 1 |
- 가나와 알제리는 승점이 동률을 이루어 승자승 원칙에 따른 동률 팀간 전적에 따라 가나가 1위, 알제리가 2위가 되었다. (가나 1 – 0 알제리)
2015년 1월 19일 17:00 | ||||||
가나 ![]() |
1 – 2 | ![]() |
데 몽고모 경기장, 몽고모 관중: 13,569 심판: 베르나르 카미유 ![]() | |||
아유 ![]() |
리포트 | 디우프 ![]() 소우 ![]() | ||||
2015년 1월 19일 20:00 | ||||||
알제리 ![]() |
3 – 1 | ![]() |
데 몽고모 경기장, 몽고모 관중: 12,788 심판: 누망디에즈 두에 ![]() | |||
훌라짜요 ![]() 굴람 ![]() 슬리마니 ![]() |
리포트 | 팔라 ![]() | ||||
2015년 1월 23일 17:00 | ||||||
가나 ![]() |
1 – 0 | ![]() |
데 몽고모 경기장, 몽고모 관중: 12,387 심판: 코만 쿨리발리 ![]() | |||
잔 ![]() |
리포트 | |||||
2015년 1월 23일 20:00 | ||||||
남아프리카 공화국 ![]() |
1 – 1 | ![]() |
데 몽고모 경기장, 몽고모 관중: 13,674 심판: 알리 렘가이프리 ![]() | |||
마니사 ![]() |
리포트 | 음보지 ![]() | ||||
2015년 1월 27일 19:00 | ||||||
남아프리카 공화국 ![]() |
1 – 2 | ![]() |
데 몽고모 경기장, 몽고모 관중: 13.670 심판: 하마다 엘 무사 남피안드라자 ![]() | |||
마상고 ![]() |
리포트 | 보예 ![]() 아유 ![]() | ||||
2015년 1월 27일 19:00 | ||||||
세네갈 ![]() |
0 – 2 | ![]() |
데 누에보 말라보 경기장, 말라보 관중: 14.549 심판: 라진드라파르사드 시추른 ![]() | |||
리포트 | 마레즈 ![]() 벤탈렙 ![]() | |||||
D조[편집]
팀 | 경기 | 승 | 무 | 패 | 득 | 실 | 차 | 승점 |
---|---|---|---|---|---|---|---|---|
![]() |
3 | 1 | 2 | 0 | 3 | 2 | +1 | 5 |
![]() |
3 | 0 | 3 | 0 | 3 | 3 | 0 | 3 |
![]() |
3 | 0 | 3 | 0 | 3 | 3 | 0 | 3 |
![]() |
3 | 0 | 2 | 1 | 2 | 3 | -1 | 2 |
- 기니와 말리는 승점을 비롯하여 상대 전적에 따른 골 득실, 상대 전적에 따른 득점, 전체 골 득실, 전체 득점이 모두 동률을 이루어 추첨으로 8강 진출이 결정된다. 추첨 결과, 기니가 8강에 진출하게 되었다.
2015년 1월 20일 17:00 | ||||||
코트디부아르 ![]() |
1 – 1 | ![]() |
데 누에보 말라보 경기장, 말라보 관중: 14,875 심판: 메흐디 아비드-차레프 ![]() | |||
둠비아 ![]() |
리포트 | 야타라 ![]() | ||||
2015년 1월 20일 20:00 | ||||||
말리 ![]() |
1 – 1 | ![]() |
데 누에보 말라보 경기장, 말라보 심판: 재니 시카즈웨 ![]() | |||
야타바레 ![]() |
리포트 | 오용고 ![]() | ||||
2015년 1월 24일 17:00 | ||||||
코트디부아르 ![]() |
1 – 1 | ![]() |
데 누에보 말라보 경기장, 말라보 관중: 14,890 심판: 보샤이브 엘 아라치 ![]() | |||
그라델 ![]() |
리포트 | 사코 ![]() | ||||
2015년 1월 24일 20:00 | ||||||
카메룬 ![]() |
1 – 1 | ![]() |
데 누에보 말라보 경기장, 말라보 관중: 15,000 심판: 테세마 밤라크 ![]() | |||
무칸조 ![]() |
리포트 | 트라오레 ![]() | ||||
2015년 1월 28일 19:00 | ||||||
카메룬 ![]() |
0 – 1 | ![]() |
데 누에보 말라보 경기장, 말라보 관중: 15,230 심판: 에리크 오토고카스탄 ![]() | |||
리포트 | 그라델 ![]() | |||||
2015년 1월 28일 19:00 | ||||||
기니 ![]() |
1 – 1 | ![]() |
데 몽고모 경기장, 몽고모 관중: 13,470 심판: 메드 코르디 ![]() | |||
콘스탄트 ![]() |
리포트 | 마이가 ![]() | ||||
결선 토너먼트[편집]
8강 | 준결승 | 결승 | ||||||||
1월 31일 - 바타 | ||||||||||
![]() | 2 | |||||||||
2월 4일 - 바타 | ||||||||||
![]() | 4 | |||||||||
![]() | 1 | |||||||||
2월 1일 - 말라보 | ||||||||||
![]() | 3 | |||||||||
![]() | 3 | |||||||||
2월 8일 - 바타 | ||||||||||
![]() | 1 | |||||||||
![]() | 0(9) | |||||||||
2월 1일 - 말라보 | ||||||||||
![]() | 0(8) | |||||||||
![]() | 3 | |||||||||
2월 5일 - 말라보 | ||||||||||
![]() | 0 | |||||||||
![]() | 3 | |||||||||
1월 31일 - 바타 | ||||||||||
![]() | 0 | 3위 결정전 | ||||||||
![]() | 1 | |||||||||
2월 7일 - 말라보 | ||||||||||
![]() | 2 | |||||||||
![]() | 0(4) | |||||||||
![]() | 0(2) | |||||||||
8강전[편집]
2015년 1월 31일 17:00 | ||||||
콩고 공화국 ![]() |
2 – 4 | ![]() |
데 바타 경기장, 바타 관중: 31,670 심판: 베르나르 카미유 ![]() | |||
도레 ![]() 비푸마 ![]() |
리포트 | 음보카니 ![]() 보킬라 ![]() 킴와키 ![]() | ||||
2015년 1월 31일 20:30 | ||||||
튀니지 ![]() |
1 – 2 (연장전) |
![]() |
데 바타 경기장, 바타 관중: 41,000 심판: 라진드라파르사드 시추른 ![]() | |||
아카치 ![]() |
리포트 | 발보아 ![]() | ||||
2015년 2월 1일 17:00 | ||||||
가나 ![]() |
3 – 0 | ![]() |
데 누에보 말라보 경기장, 말라보 관중: 14,500 심판: 재니 시카즈웨 ![]() | |||
아츠 ![]() 아피아 ![]() |
리포트 | |||||
2015년 2월 1일 20:30 | ||||||
코트디부아르 ![]() |
3 – 1 | ![]() |
데 누에보 말라보 경기장, 말라보 관중: 15,000 심판: 바카리 가사마 ![]() | |||
보니 ![]() 제르비뉴 ![]() |
리포트 | 수다니 ![]() | ||||
준결승전[편집]
2015년 2월 4일 20:00 | ||||||
콩고 민주 공화국 ![]() |
1 – 3 | ![]() |
데 바타 경기장, 바타 관중: 30,000 심판: 네앙 알리움 ![]() | |||
음보카니 ![]() |
리포트 | 투레 ![]() 제르비뉴 ![]() 카논 ![]() | ||||
2015년 2월 5일 20:00 | ||||||
가나 ![]() |
3 – 0 | ![]() |
데 누에보 말라보 경기장, 말라보 관중: 15,250 심판: 에리크 오토고카스탄 ![]() | |||
아유 ![]() 무바라크 ![]() 아유 ![]() |
리포트 | |||||
3·4위전[편집]
2015년 2월 7일 17:00 | ||||||
콩고 민주 공화국 ![]() |
0 – 0 (연장전) |
![]() |
데 누에보 말라보 경기장, 말라보 심판: 게하드 그리샤 ![]() | |||
리포트 | ||||||
승부차기 | ||||||
마브와티 ![]() 마비디 ![]() 망우루 ![]() 몽공구 ![]() |
4 – 2 | ![]() ![]() ![]() ![]() |
||||
결승전[편집]
2015년 2월 8일 20:00 | ||||||
코트디부아르 ![]() |
0 – 0 (연장전) |
![]() |
데 바타 경기장, 바타 관중: 38,000 심판: 바카리 가사마 ![]() | |||
리포트 | ||||||
승부차기 | ||||||
보니 ![]() 가지 ![]() 오리에 ![]() 둠비아 ![]() Y. 투레 ![]() 칼루 ![]() K. 투레 ![]() 카논 ![]() 바이 ![]() 디에 ![]() 바리 ![]() |
9 – 8 | ![]() ![]() ![]() ![]() ![]() ![]() ![]() ![]() ![]() ![]() ![]() |
||||
우승국[편집]
2015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우승 |
---|
![]() 코트디부아르 2번째 우승 |
수상[편집]
최고 득점자 | 최우수 선수 | 최고의 골 | 선수 페어플레이 | 페어플레이 |
---|---|---|---|---|
![]() |
![]() |
![]() |
![]() |
![]() |
올스타 팀[편집]
골키퍼 | 수비수 | 미드필더 | 공격수 |
---|---|---|---|
최종 순위[편집]
순위 | 팀 | 경기수 | 승 | 무 | 패 | 득 | 실 | 득실차 | 승점 |
---|---|---|---|---|---|---|---|---|---|
1 | ![]() |
6 | 3 | 3 | 0 | 9 | 4 | +5 | 12 |
2 | ![]() |
6 | 4 | 1 | 1 | 10 | 3 | +7 | 13 |
3 | ![]() |
6 | 1 | 4 | 1 | 7 | 7 | 0 | 7 |
4 | ![]() |
6 | 2 | 3 | 1 | 5 | 5 | 0 | 9 |
5 | ![]() |
4 | 2 | 1 | 1 | 6 | 6 | 0 | 7 |
6 | ![]() |
4 | 2 | 0 | 2 | 6 | 5 | +1 | 6 |
7 | ![]() |
4 | 1 | 2 | 1 | 5 | 5 | 0 | 5 |
8 | ![]() |
4 | 0 | 3 | 1 | 3 | 6 | -3 | 3 |
9 | ![]() |
3 | 1 | 1 | 1 | 3 | 4 | +1 | 4 |
10 | ![]() |
3 | 0 | 3 | 0 | 3 | 3 | 0 | 3 |
11 | ![]() |
3 | 0 | 3 | 0 | 1 | 1 | 0 | 3 |
12 | ![]() |
3 | 1 | 0 | 2 | 2 | 3 | -1 | 3 |
13 | ![]() |
3 | 0 | 2 | 1 | 2 | 3 | -1 | 2 |
13 | ![]() |
3 | 0 | 2 | 1 | 2 | 3 | -1 | 2 |
15 | ![]() |
3 | 0 | 1 | 2 | 3 | 6 | -3 | 1 |
16 | ![]() |
3 | 0 | 1 | 2 | 1 | 4 | -3 | 1 |
- 우승에서 4위까지는 준결승, 3, 4위전 및 결승전 결과로 순위를 가린다. 이전 단계에서 탈락한 팀들의 순위는 조별 리그와 동일하게 승점-골득실차-다득점순으로 가리며 모두 같을 경우 공동 순위로 한다.
- 8강에서 탈락한 팀은 최고 5위에서 최하 8위까지이다.
- 조별 리그에서 탈락한 팀은 최고 9위에서 최하 16위까지이다.
- 토너먼트에서 승부차기로 경기가 가려진 경우에는 FIFA의 규정에 따라 무승부로 기재한다.
득점 선수[편집]
- 3골
- 2골
- 1골
나빌 벤탈렙
파우지 굴람
리야드 마레즈
이슬람 슬리마니
엘 아르비 힐렐 수다니
아리스티데 반체
벵자맹 무칸조
앙브루아즈 오용고
헬돈 라모스
페레보리 도레
파브리스 온다마
프린스 오니앤구에
야니크 볼라시
조엘 킴와키
에밀리오 은수에
이반 에듀
피에르에메리크 오바메양
말리크 에부나
크웨시 아피아
조르당 아유
존 보예
아사모아 잔
와카소 무바라크
케빈 콘스탄트
이브라히마 트라오레
모하메드 야타라
세이두 둠비아
윌프리드 카논
야야 투레
바카리 사코
모디보 마이가
삼부 야타바레
맘 비람 디우프
카라 음보지
무사 소우
오우파 마니사
만들라 마상고
투소 팔라
야시네 치하우이
모하메드 알리 망세
이매뉴얼 마유카
기븐 싱굴루마
- 자책골
툴라니 훌라짜요 (알제리 전)
각주[편집]
- ↑ 정성래 기자 (2014년 11월 14일). “적도기니, 모로코 대신해 아프리카네이션스컵 개최”. 스포탈코리아. 2014년 11월 14일에 확인함.
- ↑ “CAF Reaction on the Request of Morocco”. Confederation of African Football. 2014년 10월 11일.
- ↑ “2015 Africa Cup of Nations Draw” (PDF). Confederation of African Football. 2014년 12월 2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