콩고 민주 공화국 축구 국가대표팀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콩고 민주 공화국
별칭The Leopards
연맹콩고 민주 공화국 축구 연맹
대륙아프리카 축구 연맹
감독프랑스 세바스티앙 드사브르
주장유수프 물룸부
최다 출전자이사마 음페코 (71)
최다 득점자디에우메르시 음보카니 (17)
홈 구장스타드 드 마르티르
FIFA 코드COD
FIFA 랭킹
현재이 페이지에서 확인하세요
최고 순위28위 최고 FIFA 랭킹 순위 날짜 = 2017년 8월
최저 순위133위 (2011년 10월)
첫 국제 경기 출전
Flag of Congo Free State.svg 벨기에령 콩고 5 - 1 Flag of Northern Rhodesia (1939–1953, 1963–1964).svg 북로지디아
(벨기에령 콩고; 1948년)
최다 점수차 승리
콩고 민주 공화국 콩고킨샤사 10 - 1 잠비아 잠비아
(콩고킨샤사, 킨샤사; 1969년 11월 22일)
최다 점수차 패배
Flag of Yugoslavia (1946-1992).svg 유고슬라비아 9 - 0 자이르 자이르
(서독 겔젠키르헨; 1974년 6월 18일, 1974년 FIFA 월드컵)
월드컵
출전 횟수1회 (1974년에 처음 출전)
최고 성적조별리그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출전 횟수18회 (1965년에 처음 출전)
최고 성적우승 (1968년, 1974년)

콩고 민주 공화국 축구 국가대표팀콩고 민주 공화국을 대표하는 축구 국가대표팀으로 콩고 민주 공화국 축구 연맹에서 관리하고 있다. '표범군단'이라는 별칭으로 알려져 있으며 1948년 잠비아와의 국제 A매치 데뷔전에서 5-1의 완승을 거두었다. 홈 구장으로는 스타드 드 마르티르를 사용하고 있으며 감독은 엑토르 쿠페르이다.

국제 대회 경력[편집]

FIFA 월드컵[편집]

콩고 민주 공화국은 자이르 시절이던 1974년 FIFA 월드컵 아프리카 지역 예선 11경기에서 8승 1무 2패의 성적으로 생애 첫 월드컵 본선 무대를 밟았다. 그러나 예선에서의 성적과는 다르게 본선에서는 스코틀랜드, 유고슬라비아, 브라질을 상대로 단 1승·1무·1골도 거두지 못한 채 3전 전패·무득점·2조 최하위로 조별리그에서 탈락했고 최종 순위에서도 본선에 출전한 16팀 가운데 16위로 꼴찌에 머물렀다. 특히 유고슬라비아(현 세르비아)전에서 기록한 0-9 패배는 1954년 대회에서 헝가리에 0-9로 대패한 대한민국, 1982년 대회에서 헝가리에 1-10으로 대패한 엘살바도르와 함께 역대 월드컵 본선에서 최다 점수차로 패한 팀으로 기록되었고 또한 이 경기는 팀 역사상 최다 점수차로 패한 경기로 남아 있다. 이후 콩고 민주 공화국의 월드컵 본선 기록은 현재까지 전무한 상태이다.

아프리카 네이션스컵[편집]

월드컵과 달리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본선에는 무려 19번 출전했고 이 가운데 1968년1974년 대회에서 사상 첫 메이저 대회 우승컵을 들어올리는 등 무려 12번의 대회에서 16강 혹은 8강 이상 진출하면서 지역 내의 대회에서만큼은 준수한 성적을 거두었다.

아프리카 네이션스 챔피언십[편집]

자국 리그에서 활동하는 선수들만 참가할 수 있는 아프리카 네이션스 챔피언십 본선에는 5번 출전하여 이 중 초대 대회인 2009년 대회2016년 대회에서 우승을 차지하면서 이 대회의 최다 우승국 타이틀을 가지고 있다.

기타 국제 대회 경력[편집]

올아프리카 게임 축구에는 1965년 대회에 유일하게 참가했지만 1승 1무 1패·2조 3위로 아쉽게 조별리그에서 탈락했다. 다만 마다가스카르와의 첫 경기에서 무려 7-0의 대승을 거두었다.

FIFA 월드컵[편집]

FIFA 월드컵 본선 기록 FIFA 월드컵 예선 기록
년도 결과 순위 경기 무* 득점 실점 승점 경기 무* 득점 실점 승점
우루과이 1930년 불참 불참
이탈리아 왕국 1934년
프랑스 1938년
브라질 1950년
스위스 1954년
스웨덴 1958년
칠레 1962년 없음[1] 없음[2]
잉글랜드 1966년 불참 불참
멕시코 1970년 FIFA로부터 참가를 거절당함 FIFA로부터 참가를 거절당함
서독 1974년[3] 조별리그 16위 3 0 0 3 0 14 0 11 8 1 2 20 4 25
아르헨티나 1978년[4] 기권 기권
스페인 1982년[5] 예선 탈락 6 4 1 1 13 12 13
멕시코 1986년[6] 불참 불참
이탈리아 1990년[7] 예선 탈락 6 2 2 2 7 7 8
미국 1994년[8] 3 0 1 2 1 3 1
프랑스 1998년[9][10] 8 2 2 4 11 10 8
대한민국일본 2002년 10 4 2 4 17 18 14
독일 2006년 10 4 4 2 14 10 16
남아프리카 공화국 2010년 6 3 0 3 14 6 9
브라질 2014년 8 3 3 2 11 5 12
러시아 2018년 8 6 1 1 20 9 19
합계 1회 진출(1/14[11]) 조별리그(1회) 3 0 0 0 3 14 0 76 36 17 23 128 84 125
순위 FIFA 월드컵 역대 순위 : 78위 월드컵 예선 승점 순위 : 72위 (아프리카 10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편집]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본선 기록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예선 기록
년도 결과 순위 경기 무* 득점 실점 승점 경기 무* 득점 실점 승점
수단 1957년 독립 이전 독립 이전
아랍 연합 공화국 1959년
에티오피아 1962년 비회원국 비회원국
가나 1963년
튀니지 1965년 조별리그 5위 2 0 0 2 2 8 0 4 2 0 2 8 8 6
에티오피아 1968년 우승 1위 5 4 0 1 10 5 12 3 2 0 1 5 4 6
수단 1970년 조별리그 7위 3 0 1 2 2 5 1 자동참가(전 대회 우승국)
카메룬 1972년[12] 4강 4위 5 1 2 2 9 11 5 4 3 0 1 9 3 9
이집트 1974년[13] 우승 1위 6 4 1 1 14 8 13 4 3 0 1 12 3 9
에티오피아 1976년[14] 조별리그 7위 3 0 1 2 3 6 1 자동참가(전 대회 우승국)
가나 1978년[15] 불참 불참
나이지리아 1980년[16] 예선 탈락 4 2 0 2 10 10 6
리비아 1982년[17] 4 1 2 1 8 8 5
코트디부아르 1984년[18] 기권 기권
이집트 1986년[19] 예선 탈락 6 2 3 1 8 2 9
모로코 1988년[20] 조별리그 7위 3 0 2 1 2 3 2 4 1 2 1 3 1 5
알제리 1990년[21] 예선 탈락 2 0 1 1 0 2 1
세네갈 1992년[22] 8강 6위 3 0 2 1 2 3 2 6 3 1 2 6 4 10
튀니지 1994년[23] 8강 7위 3 1 1 1 2 3 4 6 3 2 1 13 3 11
남아프리카 공화국 1996년[24] 8강 8위 3 1 0 2 2 3 3 6 3 1 2 10 5 10
부르키나파소 1998년 4강 3위 6 3 1 2 10 9 10 6 2 3 1 6 5 9
가나나이지리아 2000년 조별리그 12위 3 0 2 1 0 1 2 6 3 1 2 7 6 10
말리 2002년 8강 8위 4 1 1 2 3 4 4 8 3 3 2 10 10 12
튀니지 2004년 조별리그 15위 3 0 0 3 1 6 0 6 3 2 1 9 5 11
이집트 2006년 8강 8위 4 1 1 2 3 6 4 10 4 4 2 14 10 16
가나 2008년 예선 탈락 6 2 3 1 8 6 9
앙골라 2010년 6 3 0 3 14 6 9
적도 기니가봉 2012년 6 2 1 3 10 11 7
남아프리카 공화국 2013년 조별리그 10위 3 0 3 0 3 3 3 4 3 0 1 12 2 9
적도 기니 2015년 4강 3위 6 1 4 1 7 7 7 6 3 0 3 10 9 9
가봉 2017년 8강 6위 4 2 1 1 7 5 7 6 5 0 1 16 10 5
이집트 2019년 16강 14위 4 1 1 2 6 6 4 6 2 3 1 8 6 9
카메룬 2021년 예선 탈락 6 2 3 1 4 5 9
합계 19회 진출(19/31[25]) 우승(2회) 73 20 24 29 88 102 84 135 32 35 38 220 144 211
순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역대 순위 : 10위

주목할 만한 선수[편집]

각주[편집]

  1. 콩고민주공화국 축구협회 창설 이전
  2. 콩고민주공화국 축구협회 창설 이전
  3. 자이르로 참가
  4. 자이르로 참가
  5. 자이르로 참가
  6. 자이르로 참가
  7. 자이르로 참가
  8. 자이르로 참가
  9. 자이르로 참가
  10. 예선 도중인 1997년에 국호를 콩고 민주 공화국으로 변경했다.
  11. 본선 진출 횟수 비율. 독립 이후로 계산
  12. 자이르로 참가
  13. 자이르로 참가
  14. 자이르로 참가
  15. 자이르로 참가
  16. 자이르로 참가
  17. 자이르로 참가
  18. 자이르로 참가
  19. 자이르로 참가
  20. 자이르로 참가
  21. 자이르로 참가
  22. 자이르로 참가
  23. 자이르로 참가
  24. 자이르로 참가
  25. 본선 진출 횟수 비율. 독립 이후로 계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