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고슬라비아 축구 국가대표팀
유고슬라비아 | |||
---|---|---|---|
별칭 | Plavi ("Blues") | ||
협회 | 유고슬라비아 축구 협회 | ||
최다 출전자 | 드라간 자이치 (85) | ||
최다 득점자 | 스체판 보베크 (34) | ||
FIFA 코드 | YUG | ||
| |||
첫 국제 경기 출전 | |||
체코슬로바키아 7 - 0 세르비아인 크로아티아인 슬로베니아인 왕국 (벨기에, 안트베르펀; 1920년 8월 28일) | |||
마지막 국제 경기 출전l | |||
네덜란드 2 - 0 유고슬라비아 (네덜란드, 암스테르담; 1992년 3월 25일) | |||
최다 점수차 승리 | |||
유고슬라비아 10 - 0 베네수엘라 (브라질 쿠리치바; 1972년 6월 14일) | |||
최다 점수차 패배 | |||
체코슬로바키아 7 - 0 세르비아인 크로아티아인 슬로베니아인 왕국 (벨기에, 안트베르펀; 1920년 8월 28일) 우루과이 7 - 0 세르비아인 크로아티아인 슬로베니아인 왕국 (체코슬로바키아, 프라하; 1925년 10월 28일) | |||
FIFA 월드컵 | |||
출전 횟수 | 8회 (1930년에 처음 출전) | ||
최고 성적 | 4강 (1930년, 1962년) | ||
유럽축구선수권대회 | |||
출전 횟수 | 4회 (1960년에 처음 출전) | ||
최고 성적 | 준우승 (1960년, 1968년) |
메달 기록 | |||
---|---|---|---|
남자 축구 | |||
은 | 1948 런던 | 축구 | |
은 | 1952 헬싱키 | 축구 | |
은 | 1956 맬버른 | 축구 | |
금 | 1960 로마 | 축구 | |
동 | 1984 로스앤젤레스 | 축구 |
유고슬라비아 축구 국가대표팀은 유고슬라비아를 대표하는 축구 국가대표팀이었다. 발칸반도와 동구권의 강호로 명성을 떨쳤으며, 유고슬라비아가 해체된 후에는 세르비아가 유고슬라비아의 기록을 승계해 그 뒤를 잇고 있다. 1930년 월드컵 세계 4강을 시작으로 오랜 역사를 보유중이며 그만큼 화려한 기록을 보유하고 있다.
1930년 우루과이 월드컵에서 초청자 자격으로 자동 출전해서 손쉽게 4강에 들어섰지만 이후 1934년 이탈리아 월드컵과 1938년 프랑스 월드컵에서는 예선 탈락, 1950년 브라질 월드컵에서는 조별리그라는 수모를 겪기도 했다. 하지만 이후 1954년 스위스 월드컵, 1958년 스웨덴 월드컵에서는 2번 연속으로 8강에 올랐고, 이런 화려한 활약들을 통해 1962년 칠레 월드컵에서 세계 4위를 기록하는 기염을 토했다. 또한 1960년 유럽축구선수권대회, 1968년 유럽축구선수권대회에서 준우승하며 동구권의 강호로 군림했다.
그러나 오랜시간 동안 동유럽의 강호로 군림했던 유고슬라비아는 1960년대 중반부터 급격히 쇠퇴하기 시작하며 연이은 예선 탈락과 조별리그를 경험한다. 그래도 1974년 서독 월드컵에서 8강 진출에 성공해서 여기서 벗어나는 듯 싶었으나 이것도 잠시 뿐이었고, 이후 1986년 멕시코 월드컵까지 예선 탈락과 조별리그에서 머물렀다. 1990년 이탈리아 월드컵에서 16년만에 8강 진출에 성공하며 과거의 영광으로 회귀하는 것처럼 보였지만, 직후 유고슬라비아 전쟁이 발발했고 전쟁이 종전되자마자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은 붕괴되었다. 이 여파로 UEFA 유로 1992 출전권이 박탈되었고, 1994년 FIFA 월드컵 출전권이 박탈되면서 유고슬라비아 축구 국가대표팀은 역사속으로 사라졌다.
1992년 남은 공화국인 세르비아와 몬테네그로가 유고슬라비아 연방공화국을 결성하여 1995년 홍콩 칼스버그컵을 통해 복귀하였고[1] 세르비아 몬테네그로 축구 국가대표팀으로 명맥을 이어갔다. 세르비아와 몬테네그로가 분리됨에 따라 2006년 FIFA 월드컵 이후 몬테네그로 축구 국가대표팀도 분리되면서, 세르비아 축구 국가대표팀으로 명칭을 바꿈과 동시에 과거 유고슬라비아 축구 국가대표팀의 기록을 보유하게 되어 현재에 이른다.
국제대회 기록
[편집]FIFA 월드컵 본선 기록 | FIFA 월드컵 예선 기록 | |||||||||||||||
---|---|---|---|---|---|---|---|---|---|---|---|---|---|---|---|---|
년도 | 결과 | 순위 | 경기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승점 | 경기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승점 |
1930년 | 4강 | 4위 | 3 | 2 | 0 | 1 | 7 | 7 | 6 | 자동참가 | ||||||
1934년 | 예선 탈락 | 2 | 0 | 1 | 1 | 3 | 4 | 1 | ||||||||
1938년 | 2 | 1 | 0 | 1 | 1 | 4 | 3 | |||||||||
1950년 | 조별리그 | 5위 | 3 | 2 | 0 | 1 | 7 | 3 | 6 | 5 | 3 | 2 | 0 | 16 | 6 | 11 |
1954년 | 8강 | 7위 | 3 | 1 | 1 | 1 | 2 | 3 | 4 | 4 | 4 | 0 | 0 | 4 | 0 | 12 |
1958년 | 8강 | 5위 | 4 | 1 | 2 | 1 | 7 | 7 | 5 | 4 | 2 | 2 | 0 | 7 | 2 | 8 |
1962년 | 4강 | 4위 | 6 | 3 | 0 | 3 | 10 | 7 | 9 | 4 | 3 | 1 | 0 | 11 | 4 | 10 |
1966년 | 예선 탈락 | 6 | 3 | 1 | 2 | 10 | 8 | 10 | ||||||||
1970년 | 6 | 3 | 1 | 2 | 19 | 7 | 10 | |||||||||
1974년 | 8강 | 7위 | 6 | 1 | 2 | 3 | 12 | 7 | 5 | 5 | 3 | 2 | 0 | 8 | 4 | 11 |
1978년 | 예선 탈락 | 4 | 1 | 0 | 3 | 6 | 8 | 3 | ||||||||
1982년 | 조별리그 | 16위 | 3 | 1 | 1 | 1 | 2 | 2 | 4 | 8 | 6 | 1 | 1 | 22 | 7 | 19 |
1986년 | 예선 탈락 | 8 | 3 | 2 | 3 | 7 | 8 | 11 | ||||||||
1990년 | 8강 | 5위 | 5 | 3 | 1 | 1 | 8 | 6 | 10 | 8 | 6 | 2 | 0 | 16 | 6 | 20 |
1994년 | 출전 금지 | 출전 금지 | ||||||||||||||
1998년 이후 | 없음[2] | 없음[3] | ||||||||||||||
합계 | 8회 진출(8/15) | 4강(4위 2회) | 33 | 14 | 7 | 12 | 55 | 42 | 49 | 66 | 38 | 15 | 13 | 130 | 68 | 129 |
UEFA 유로컵 본선 기록 | UEFA 유로컵 예선 기록 | |||||||||||||||
---|---|---|---|---|---|---|---|---|---|---|---|---|---|---|---|---|
년도 | 결과 | 순위 | 경기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승점 | 경기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승점 |
1960년 | 준우승 | 2위 | 2 | 1 | 0 | 1 | 6 | 6 | 3 | 4 | 2 | 1 | 1 | 9 | 4 | 7 |
1964년 | 예선 탈락 | 4 | 2 | 1 | 1 | 6 | 5 | 7 | ||||||||
1968년 | 준우승 | 2위 | 3 | 1 | 1 | 1 | 2 | 3 | 4 | 6 | 4 | 1 | 1 | 14 | 5 | 13 |
1972년 | 예선 탈락 | 8 | 3 | 4 | 1 | 7 | 5 | 13 | ||||||||
1976년 | 4강 | 4위 | 2 | 0 | 0 | 2 | 4 | 7 | 0 | 8 | 6 | 1 | 1 | 15 | 5 | 19 |
1980년 | 예선 탈락 | 6 | 4 | 0 | 2 | 14 | 6 | 12 | ||||||||
1984년 | 조별리그 | 8위 | 3 | 0 | 0 | 3 | 2 | 10 | 0 | 6 | 3 | 2 | 1 | 12 | 11 | 11 |
1988년 | 예선 탈락 | 6 | 4 | 0 | 2 | 13 | 9 | 12 | ||||||||
1992년 | 예선 통과 후 실격 | 8 | 7 | 0 | 1 | 24 | 4 | 21 | ||||||||
1996년 이후 | 없음[4] | 없음[5] | ||||||||||||||
합계 | 4회 진출(4/9) | 준우승(2회) | 10 | 2 | 1 | 7 | 14 | 26 | 7 | 56 | 35 | 10 | 11 | 114 | 54 | 115 |
올림픽 축구 기록 | |||||||||
---|---|---|---|---|---|---|---|---|---|
년도 | 결과 | 순위 | 경기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승점 |
1920년[6] | 1라운드 | 13위 | 2 | 0 | 0 | 2 | 2 | 11 | 0 |
1924년[7] | 예비라운드 | 21위 | 1 | 0 | 0 | 1 | 0 | 7 | 0 |
1928년[8] | 1라운드 | 10위 | 1 | 0 | 0 | 1 | 1 | 2 | 0 |
1936년 | 불참 | ||||||||
1948년 | 은메달 | 준우승 | 4 | 3 | 0 | 1 | 13 | 6 | 9 |
1952년 | 은메달 | 준우승 | 6 | 4 | 1 | 1 | 26 | 13 | 13 |
1956년 | 은메달 | 준우승 | 3 | 2 | 0 | 1 | 13 | 3 | 6 |
1960년 | 금메달 | 우승 | 5 | 3 | 2 | 0 | 17 | 6 | 11 |
1964년 | 8강 | 6위 | 5 | 2 | 0 | 3 | 14 | 12 | 6 |
1968년 | 진출 실패 | ||||||||
1972년 | |||||||||
1976년 | |||||||||
1980년 | 4강 | 4위 | 6 | 3 | 1 | 2 | 9 | 7 | 10 |
1984년 | 동메달 | 3위 | 6 | 5 | 0 | 1 | 16 | 10 | 15 |
1988년 | 조별리그 | 10위 | 3 | 1 | 0 | 2 | 4 | 4 | 3 |
1992년[9] | 진출 실패 | ||||||||
1996년 이후[10] | 없음[11] | ||||||||
합계 | 11회 진출(11/16) | 금메달(1회) | 42 | 23 | 4 | 15 | 115 | 81 | 73 |
지중해 게임
[편집]지중해 게임 기록 | |||||||||
---|---|---|---|---|---|---|---|---|---|
년도 | 결과 | 순위 | 경기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승점 |
1951년 | 불참 | ||||||||
1955년 | |||||||||
1959년 | 진출 실패 | ||||||||
1963년 | |||||||||
1967년 | |||||||||
1971년 | 금메달 | 우승 | 3 | 2 | 1 | 0 | 8 | 2 | 7 |
1975년 | 조별리그 | 5위 | 4 | 2 | 1 | 1 | 8 | 3 | 7 |
1979년 | 금메달 | 우승 | 5 | 5 | 0 | 0 | 16 | 4 | 15 |
1983년 | 진출 실패 | ||||||||
1987년 | |||||||||
1991년 | 4강 | 4위 | 4 | 2 | 0 | 2 | 13 | 5 | 6 |
1993년 이후 | 없음[12] | ||||||||
합계 | 4회 진출(4/11) | 금메달(2회) | 16 | 11 | 2 | 3 | 45 | 14 | 35 |
유명 선수 (최소 15경기 이상 출전 선수)
[편집]역대 감독
[편집]감독 | 임기 |
---|---|
밀랸 밀랴니치 | 1965 ~ 1966 |
부야딘 보슈코브(공동) | 1966 |
부야딘 보슈코브 | 1971 ~ 1973 |
토미슬라브 이비치 | 1973 ~ 1974 |
밀랸 밀랴니치 | 1973 ~ 1974 |
밀랸 밀랴니치 | 1979 ~ 1982 |
토도르 베셀리노비치 | 1982 ~ 1984 |
밀로시 밀루티노비치 | 1984 ~ 1985 |
이비차 오심 | 1986 ~ 1992 |
밀랸 밀랴니치 | 1992 |
슬로보단 산트라치 | 1994 ~ 1998 |
일리야 페트코비치 | 2000 ~ 2001 |
각주
[편집]- ↑ “<홍콩국제축구> 3년만에 국제무대 복귀한 유고”. 연합뉴스. 1995년 2월 2일.
- ↑ 유고슬라비아 연방 공화국 → 세르비아 몬테네그로 → 세르비아로 참가
- ↑ 유고슬라비아 연방 공화국 → 세르비아 몬테네그로 → 세르비아로 참가
- ↑ 유고슬라비아 연방 공화국 → 세르비아 몬테네그로 → 세르비아로 참가
- ↑ 유고슬라비아 연방 공화국 → 세르비아 몬테네그로 → 세르비아로 참가
- ↑ 세르비아인 크로아티아인 슬로베니아인 왕국으로 참가
- ↑ 세르비아인 크로아티아인 슬로베니아인 왕국으로 참가
- ↑ 세르비아인 크로아티아인 슬로베니아인 왕국으로 참가
- ↑ 모든 연령의 선수 참가에서 23세 이하로 변경
- ↑ 모든 연령의 선수 참가에서 23세 이하로 변경
- ↑ 유고슬라비아 연방 공화국 → 세르비아 몬테네그로 → 세르비아로 참가
- ↑ 유고슬라비아 연방 공화국 → 세르비아 몬테네그로 → 세르비아로 참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