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르비아 몬테네그로 축구 국가대표팀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세르비아 몬테네그로 | |||
---|---|---|---|
연맹 | 세르비아 몬테네그로 축구 연맹 | ||
대륙 | 유럽 축구 연맹 | ||
FIFA 코드 | SCG | ||
| |||
첫 국제 경기 출전 | |||
![]() ![]() (브라질 포르투알레그리; 1994년 12월 23일) | |||
마지막 국제 경기 출전l | |||
![]() ![]() (독일 뮌헨; 2006년 6월 21일, 2006년 FIFA 월드컵) | |||
최다 점수차 승리 | |||
![]() ![]() (페로 제도; 1996년 10월 6일, 1998년 FIFA 월드컵 유럽 지역 예선) | |||
최다 점수차 패배 | |||
![]() ![]() (독일 겔젠키르헨; 2006년 6월 16일, 2006년 FIFA 월드컵) | |||
월드컵 | |||
출전 횟수 | 2회 (1998년에 처음 출전) | ||
최고 성적 | 16강 (1998년) | ||
유럽축구선수권대회 | |||
출전 횟수 | 1회 (2000년에 처음 출전) | ||
최고 성적 | 8강 (2000년) |
세르비아 몬테네그로 축구 국가대표팀은 세르비아 몬테네그로를 대표하는 축구 국가대표팀이다. 1992년에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공화국이 붕괴되면서 유고슬라비아 연방 공화국이 구성되었을때 생겼으며, 2003년 국호 변경을 거쳐 연방이 해체된 2006년까지 존재했었다.
국제대회 기록[편집]
FIFA 월드컵[편집]
FIFA 월드컵 본선 기록 | FIFA 월드컵 본선 기록 | |||||||||||||||
---|---|---|---|---|---|---|---|---|---|---|---|---|---|---|---|---|
년도 | 결과 | 순위 | 경기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승점 | 경기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승점 |
![]() |
유고슬라비아로 참가 | 유고슬라비아로 참가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6강 | 10위 | 4 | 2 | 1 | 1 | 5 | 4 | 7 | 12[1] | 9 | 2 | 1 | 41 | 8 | 29 |
![]() ![]() |
예선 탈락 | 10[2] | 5 | 4 | 1 | 22 | 8 | 19 | ||||||||
![]() |
조별리그 | 32위 | 3 | 0 | 0 | 3 | 2 | 10 | 0 | 10[3] | 6 | 4 | 0 | 16 | 1 | 22 |
![]() |
없음[4] | 없음[5] | ||||||||||||||
합계 | 10회 진출(10/18) | 4강(4위 2회) | 40 | 16 | 8 | 16 | 62 | 56 | 56 | 98 | 58 | 25 | 15 | 209 | 85 | 199 |
UEFA 유럽 축구 선수권 대회[편집]
UEFA 유로컵 본선 기록 | UEFA 유로컵 예선 기록 | ||||||||||||||||||
---|---|---|---|---|---|---|---|---|---|---|---|---|---|---|---|---|---|---|---|
년도 | 결과 | 순위 | 경기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승점 | 경기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승점 | |||
![]() |
유고슬라비아로 참가 | 유고슬라비아로 참가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유고슬라비아 전쟁으로 인해 출전금지 | 유고슬라비아 전쟁으로 인해 출전금지 | |||||||||||||||||
![]() ![]() |
8강 | 8위 | 4 | 1 | 1 | 2 | 8 | 13 | 4 | 8 | 5 | 2 | 1 | 18 | 8 | 17 | |||
![]() |
예선 탈락 | 8 | 3 | 3 | 2 | 11 | 11 | 12 | |||||||||||
![]() ![]() |
없음[7] | ||||||||||||||||||
합계 | 5회 진출(5/12) | 준우승(2회) | 14 | 3 | 2 | 9 | 22 | 39 | 11 | 72 | 43 | 15 | 14 | 143 | 73 | 144 |
하계 올림픽[편집]
올림픽 축구 기록 | |||||||||
---|---|---|---|---|---|---|---|---|---|
년도 | 결과 | 순위 | 경기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승점 |
![]() |
불참 | ||||||||
![]() | |||||||||
![]() | |||||||||
![]() | |||||||||
![]() |
유고슬라비아로 참가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진출 실패 | ||||||||
![]() | |||||||||
![]() |
조별리그 | 16위 | 3 | 0 | 0 | 3 | 3 | 14 | 0 |
![]() |
없음[13] | ||||||||
합계 | 12회 진출(12/23) | 금메달(1회) | 45 | 23 | 4 | 18 | 118 | 95 | 73 |
지중해 게임[편집]
지중해 게임 기록 | |||||||||
---|---|---|---|---|---|---|---|---|---|
년도 | 결과 | 순위 | 경기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승점 |
![]() |
유고슬라비아로 참가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실격[14] | ||||||||
![]() |
조별리그 | 5위 | 2 | 1 | 1 | 0 | 3 | 1 | 4 |
![]() |
진출 실패 | ||||||||
![]() | |||||||||
![]() |
없음[15] | ||||||||
합계 | 5회 진출(5/15) | 금메달(2회) | 18 | 12 | 3 | 3 | 48 | 15 | 39 |
같이 보기[편집]
각주[편집]
- ↑ 스페인에 이어 7승 2무 1패로 조 2위를 차지, 플레이오프에서 헝가리를 원정에서 7:1, 안방에서 5:0으로 잡으며 총합 2전 2승 12:1로 본선진출에 성공했다. 세르비아 지역예선 사상 최다득점 예선이었다.
- ↑ 러시아와 슬로베니아에 밀려 조3위로 본선진출에 실패했다. 2위 슬로베니아와 1점 차이였는데 9번째 경기에서 1:1로 비김으로서 마지막 경기에서 룩셈부르크를 6:2로 눌렀지만 슬로베니아 역시 페로 제도를 3:0으로 잡아서 플레이오프 진출권을 놓치게 됐다.
- ↑ 스페인을 제치고 조 1위로 본선에 직행했다. 지역예선 10경기에서 단 한골밖에 허용하지 않으면서 최소실점 기록을 세웠는데, 막상 본선에 가서는 아르헨티나에게 0:6으로 지며 반대로 최다실점의 불명예를 안고 만다.
- ↑ 세르비아, 몬테네그로로 참가
- ↑ 세르비아, 몬테네그로로 참가
- ↑ 두 대회 연속 출전권을 박탈당하고 2000년에 와서야 금지가 풀려 본선 진출에 성공했다. 비교적 무난한 C조(스페인, 노르웨이, 슬로베니아)에서 2위를 차지하며 1승 1무 1패로 8강에 올랐으나 네덜란드에 1:6으로 대패하고 쓸쓸히 짐을 쌌다. 전반전 2:0, 후반전 6:0까지 벌어지며 끌려다니다 경기 종료 직전에서야 만회골을 넣고 영패는 면했다.
- ↑ 세르비아, 몬테네그로로 참가
- ↑ 모든 연령의 선수 참가에서 23세 이하로 변경
- ↑ 모든 연령의 선수 참가에서 23세 이하로 변경
- ↑ 모든 연령의 선수 참가에서 23세 이하로 변경
- ↑ 모든 연령의 선수 참가에서 23세 이하로 변경
- ↑ 모든 연령의 선수 참가에서 23세 이하로 변경
- ↑ 세르비아로 참가
- ↑ 유고슬라비아 내전이 발발하여 크로아티아, 보스니아계 주민들에게 대량 학살을 자행하자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의 제재로 인해 모든 국제대회의 자격이 정지되었다.
- ↑ 세르비아로 참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