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
![]() | 이 문서의 내용은 출처가 분명하지 않습니다. (2020년 10월) |
![]() | 이 문서의 일부는 오래된 정보를 가지고 있어 최신 정보로 교체하여야 합니다. 검토 후 최신 사건이 반영되도록 문서를 수정해 주세요. |

유고슬라비야 사회주의 연방 공화국 | |||||||||||||||||||
---|---|---|---|---|---|---|---|---|---|---|---|---|---|---|---|---|---|---|---|
| |||||||||||||||||||
표어 | Братство и јединство / Bratstvo i jedinstvo (세르보크로아트어: 형제애와 통일) | ||||||||||||||||||
국가 | 슬라브족이여 (Хеј Словени / Hej Sloveni) | ||||||||||||||||||
![]() | |||||||||||||||||||
수도 | 베오그라드 | ||||||||||||||||||
정치 | |||||||||||||||||||
정부 형태 | 레닌주의 일당제 연방공화국 | ||||||||||||||||||
입법부 |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의회 | ||||||||||||||||||
대통령 1945년 ~ 1953년 1953년 ~ 1980년 1980년 ~ 1991년 | 이반 리바르 요시프 브로즈 티토 스체판 메시치 | ||||||||||||||||||
지리 | |||||||||||||||||||
1989년 어림 면적 | 255,804 km2 | ||||||||||||||||||
인문 | |||||||||||||||||||
공용어 | 세르보크로아트어, 슬로베니아어, 마케도니아어 | ||||||||||||||||||
인구 | |||||||||||||||||||
1989년 어림 | 23,724,919명 | ||||||||||||||||||
인구 밀도 | 92.7명/km2 | ||||||||||||||||||
경제 | |||||||||||||||||||
통화 | 유고 디나르 | ||||||||||||||||||
|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 공화국(세르보크로아트어: Социјалистичка Федеративна Република Југославија / Socijalistička federativna republika Jugoslavija 소치얄리스티치카 페데라티브나 레푸블리카 유고슬라비야[*], 마케도니아어: Социјалистичка Федеративна Република Југославија, 슬로베니아어: Socialistična federativna republika Jugoslavija 소치알리스티치나 페데라티브나 레푸블리카 유고슬라비야)은 1945년에서 1992년까지 발칸반도에 존재했던 사회주의 국가였다.[1] 유고슬라비아 연방 공화국(신유고슬라비아)과 대비해서 구유고슬라비아 연방, 줄여서 구유고슬라비아 또는 구유고 연방이라고 부르기도 하였다. 유고슬라비아로 가장 많이 불리었다.
역사[편집]
1945년 11월 29일 요시프 브로즈 티토가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의 야이체에서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의 수립을 선언한 뒤부터 요시프 브로즈 티토가 이끄는 유고슬라비아 파르티잔이 유고슬라비아에서 저항 운동을 전개했다.
1945년 요시프 브로즈 티토는 소련의 지원을 통해 군주제를 폐지하고 크로아티아, 슬로베니아,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마케도니아, 몬테네그로, 세르비아 등 6개 공화국으로 이루어진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구유고슬라비아)을 수립했다. 1946년에는 공산주의 신헌법을 제정했으며 1974년에는 세르비아의 보이보디나와 코소보를 연방직할 자치주로 승격시켰다.
국가원수에 취임한 티토는 1948년 민족주의를 주장, 소련의 지도권을 부인하다가 코민포름에서 제명된 후 "독자적이고 민족주의적인 공산주의"를 지향하였다. 비동맹 중립주의, 미국·소련의 권력 정치 배격으로 대표되는 티토주의는 동구권에서 서방권 측과 관계 개선을 도모한 이단자로 규정되었으나 제3세계 비동맹 운동의 지도자로서의 위상을 점하였다.
유고슬라비아는 동유럽·중앙유럽의 여타 공산주의 국가와 달리 바르샤바 조약에도 경제상호원조회의에도 가입하지 않았고, 북대서양 조약기구에도 가입하지 않은 채 요시프 브로즈 티토의 지도 아래 비동맹 운동 노선을 걸었다. 그래서 티토의 자주적인 정치노선을 티토주의라고 부른다.
1971년부터 1973년 사이에 전개된 브레즈네프·코시긴 등 소련 수뇌부와 티토 간의 상호 교환 방문과 1977년 소련의 불간섭 원칙의 확인으로 양국 관계가 호전되었으며 1970년대 대서방 접근은 더욱 구체화되었다. 유고슬라비아는 기업의 영리·이윤제 등 시장경제 구조를 도입, 독자적인 공산주의 경제체제를 추진함으로써 1970년대에는 경제적 발전을 달성하기도 하였다. 이로써 유고슬라비아는 남유럽의 가장 부유한 공산 국가로 발전했다.
1980년 5월 요시프 브로즈 티토의 사망과 함께 분열 조짐을 보이며 연방 간부 회의 집단 지도 체제로 전환하였다. 연방의회는 연방원과 공화국·자치주원의 양원제였다. 1987년 공산당 서기장에 오른 슬로보단 밀로셰비치(Slobodan Milosevic)가 대세르비아 민족주의를 주창하면서 유고슬라비아 전쟁이 촉발되었다.
1980년대 말 사회주의 체제의 붕괴로 중앙유럽 공산주의 정권이 차례로 붕괴하자 유고 연방은 해체 수순을 밟았다. 1991년 유고슬라비아의 구성 공화국이었던 슬로베니아, 크로아티아, 북마케도니아,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가 차례로 분리 독립했다. 유고슬라비아 전쟁을 치른 후 1992년 남은 공화국인 세르비아와 몬테네그로가 유고슬라비아 연방공화국을 결성하면서 구유고슬라비아는 역사에서 사라졌다.
구성국[편집]
유고슬라비아의 공화국 | |||||||||||||||||||||||||||||||||||||||||||||||||||||||||||
---|---|---|---|---|---|---|---|---|---|---|---|---|---|---|---|---|---|---|---|---|---|---|---|---|---|---|---|---|---|---|---|---|---|---|---|---|---|---|---|---|---|---|---|---|---|---|---|---|---|---|---|---|---|---|---|---|---|---|---|
![]() |
![]() | ||||||||||||||||||||||||||||||||||||||||||||||||||||||||||
구성국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보이보디나¹ 자치주 |
|||||||||||||||||||||||||||||||||||||||||||||||||||||||||||
![]() |
![]() |
![]() |
![]() ![]() |
![]() |
![]() | ||||||||||||||||||||||||||||||||||||||||||||||||||||||
![]() | |||||||||||||||||||||||||||||||||||||||||||||||||||||||||||
![]() | |||||||||||||||||||||||||||||||||||||||||||||||||||||||||||
같이 보기[편집]
![]() |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 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 |
1918년 이전 | 1918년~1929년 | 1929년~1945년 | 1941년~1945년 | 1943년 ~1946년 |
1946년 ~1963년 |
1963년 ~1992년 |
1992년–2003년 | 2003년~2006년 | 2006년~2008년 | 2008년~현재 | |
슬로베니아 | 참조 슬로베니아인 크로아티아인 세르비아인국 1918년 프레크무레 공화국 1919년 바나트, 바츠카와 바라냐
1918년~1919년 |
나치 독일 및 이탈리아 왕국 에게 병합a |
유고슬라비아 민주 연방 1943년~1945년 유고슬라비아 연방인민공화국 1945년~1963년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 1963년~1992년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공화국의
구성 공화국 목록 |
![]() 10일 전쟁 | |||||||
달마티아 | ![]() 크로아티아 독립 전쟁 | ||||||||||
슬라보니아 | |||||||||||
크로아티아 | |||||||||||
보스니아 |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공화국c 보스니아 전쟁 |
![]() | |||||||||
헤르체고비나 | |||||||||||
보이보디나 | 헝가리 델비데크 지역의 일부 | 바나트 자치주d (세르비아 군정청의 일부)
|
유고슬라비아 연방공화국 |
세르비아 몬테네그로 |
세르비아 | ![]() 보이보디나 자치주 포함
| |||||
세르비아 | 세르비아 왕국 1882년 ~ 1918년 |
세르비아 군정청 1941년 ~ 1944년 e | |||||||||
코소보 | 세르비아 왕국의 일부 1912년 ~ 1918년 |
알바니아가 대부분을 합병 1941 ~ 1944 마케도니아 서부와 몬테네그로 동부 포함
|
![]() | ||||||||
메토히야 | 몬테네그로 왕국 1910년 ~ 1918년 1915년 ~ 1918년 오스트리아가 메토히야 통치
| ||||||||||
몬테네그로 | 보호령f 1941년 ~ 1944년 |
![]() | |||||||||
북마케도니아 | 세르비아 왕국의 일부 1912년 ~ 1918년 |
불가리아 왕국이 병합 1941년 ~ 1944년 |
![]() | ||||||||
|
|
![]() |
이 글은 유고슬라비아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
- ↑ Klemencic, Matjaz; Zagar, Mitja (2004년). 《The Former Yugoslavia's Diverse Peoples: A Reference Sourcebook》 (영어). ABC-CLIO. 267쪽. ISBN 978157607294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