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코페
스코페 | |||
Скопје | |||
스코페에 있는 고체 델체프와 다메 그루에프 동상 | |||
| |||
행정 | |||
국가 | ![]() | ||
---|---|---|---|
지역 | 스코페 지방 | ||
지역어 | 마케도니아어 | ||
인구 | |||
인구 | 506,926명(2002년) | ||
인구 밀도 | 890 명/km2 | ||
지리 | |||
면적 | 571 km2 | ||
해발 | 240 m | ||
기타 | |||
시간대 | UTC+01:00 | ||
우편번호 | 1000 | ||
지역번호 | +389 02 | ||
스코페(마케도니아어: Скопје 스코폐, 알바니아어: Shkupi 슈쿠피, 세르비아어: Skoplje 스콥례, 크로아티아어: Skoplje 스콥례, 불가리아어: Скопие 스코피에, 그리스어: Σκόπια 스코피아[*], 문화어: 스꼬뼤)는 북마케도니아의 수도로 인구는 약 44만 명(1994년)이다.
바르다르강 연안 스코페 분지에 위치한다. 교통의 요지이며 베오그라드-테살로니키 철도가 통한다. 공업 도시이며, 문화의 중심지이다.[1] 테레사 수녀의 출생지이기도 하다. 스코페 도시권은 10개 지방 자치체(아에로드롬시, 부텔시, 차이르시, 첸타르시, 가지바바시, 조르체페트로프시, 카르포시시, 키셀라보다시, 사라이시, 슈토오리자리시)로 구성되어 있다.
역사[편집]
고대 로마 시대에 건설되었는데 이름은 스쿠피(Skupi)로 알려졌다. 13세기에는 세르비아가 지배했지만, 1392년부터 1912년에 걸쳐 오스만 제국의 지배하에 들어가서 위스큅(Üsküp)이라는 이름으로 번영했다. 그 후 세르비아, 불가리아 등의 지배를 받았지만, 1944년에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의 구성국인 마케도니아 사회주의 공화국이 성립하면서 수도가 되었다. 1963년 7월 26일에 M6.1(지진 규모)의 지진이 발생, 스코페는 큰 피해를 받았다. 이 지진으로 1,000~1,100명이 사망했다. 도시는 단게 겐조를 중심으로 한 다국적 건축가들의 설계로 모더니즘에 맞춰 재건되었다.




기후[편집]
스코페 국제공항의 기후 | |||||||||||||
---|---|---|---|---|---|---|---|---|---|---|---|---|---|
월 | 1월 | 2월 | 3월 | 4월 | 5월 | 6월 | 7월 | 8월 | 9월 | 10월 | 11월 | 12월 | 년 |
최고 기온 기록 °C (°F) | 18.7 (65.7) |
24.2 (75.6) |
28.8 (83.8) |
32.4 (90.3) |
35.2 (95.4) |
41.1 (106.0) |
42.8 (109.0) |
43.7 (110.7) |
37.0 (98.6) |
33.9 (93.0) |
28.2 (82.8) |
22.1 (71.8) |
43.7 (110.7) |
평균 최고 기온 °C (°F) | 4.5 (40.1) |
8.3 (46.9) |
14.0 (57.2) |
19.1 (66.4) |
24.4 (75.9) |
28.8 (83.8) |
31.4 (88.5) |
31.5 (88.7) |
26.5 (79.7) |
19.8 (67.6) |
11.5 (52.7) |
5.5 (41.9) |
18.8 (65.8) |
일 평균 기온 °C (°F) | 0.1 (32.2) |
2.6 (36.7) |
7.6 (45.7) |
12.1 (53.8) |
17.3 (63.1) |
21.5 (70.7) |
23.8 (74.8) |
23.8 (74.8) |
18.8 (65.8) |
13.1 (55.6) |
6.5 (43.7) |
1.7 (35.1) |
12.4 (54.3) |
평균 최저 기온 °C (°F) | −3.8 (25.2) |
−2.3 (27.9) |
1.6 (34.9) |
5.4 (41.7) |
10.0 (50.0) |
13.7 (56.7) |
15.8 (60.4) |
15.7 (60.3) |
11.6 (52.9) |
7.2 (45.0) |
1.8 (35.2) |
−1.8 (28.8) |
6.2 (43.2) |
최저 기온 기록 °C (°F) | −25.8 (−14.4) |
−21.8 (−7.2) |
−10.8 (12.6) |
−5.8 (21.6) |
−1.0 (30.2) |
3.0 (37.4) |
7.0 (44.6) |
7.0 (44.6) |
−2.0 (28.4) |
−6.4 (20.5) |
−12.2 (10.0) |
−22.9 (−9.2) |
−25.8 (−14.4) |
평균 강수량 mm (인치) | 30 (1.2) |
29 (1.1) |
38 (1.5) |
40 (1.6) |
43 (1.7) |
54 (2.1) |
38 (1.5) |
36 (1.4) |
34 (1.3) |
49 (1.9) |
45 (1.8) |
48 (1.9) |
483 (19.0) |
평균 강수일수 | 10 | 9 | 10 | 10 | 11 | 10 | 7 | 6 | 6 | 7 | 9 | 11 | 106 |
평균 강설일수 | 5 | 5 | 3 | 0.2 | 0 | 0 | 0 | 0 | 0 | 0.1 | 2 | 5 | 20 |
평균 상대 습도 (%) | 83 | 75 | 68 | 66 | 66 | 61 | 56 | 56 | 63 | 74 | 82 | 85 | 70 |
평균 월간 일조시간 | 86.9 | 112.5 | 161.1 | 198.4 | 245.2 | 276.3 | 323.0 | 305.4 | 247.5 | 188.2 | 114.8 | 79.6 | 2,338.9 |
출처 1: Pogoda.ru.net,[2] World Meteorological Organization (precipitation days)[3] | |||||||||||||
출처 2: NOAA (sun, 1961–1990)[4] |
인구[편집]
연도 | 인구 | ±% p.a. |
---|---|---|
1921 | 41,000 | — |
1931 | 68,880 | +5.32% |
1948 | 88,355 | +1.48% |
1953 | 120,130 | +6.34% |
1961 | 166,870 | +4.19% |
1971 | 314,552 | +6.54% |
1981 | 448,200 | +3.60% |
1991 | 444,760 | −0.08% |
2002 | 506,926 | +1.20% |
출처: [5][6] |
각주[편집]
- ↑ 마케도니아[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글로벌세계대백과, 2009년 11월 8일
- ↑ “Skopje Climate”. pogoda.ru.net. 2012년 11월 11일에 확인함.
- ↑ “World Weather Information Service – Skopje”. World Meteorological Organization. 2012년 11월 11일에 확인함.
- ↑ “Climatological Information for Skopje, Macedonia”. 미국 해양대기청. 2013년 12월 10일에 확인함.
- ↑ “Census of Population, Households and Dwellings 2002, Book XIII:Total population, households and dwellings, According to the territorial organization of The Republic of Macedonia, 2004, 2002” (PDF). State Statistical Office of the Republic of Macedonia. 2012년 10월 14일에 확인함.
- ↑ Jasna Stefanovska et Janez Koželj (2012). 《Urban planning and transitional development issues: The case of Skopje, Macedonia》. Urbani izziv. 94쪽.
외부 링크[편집]
![]() |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 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 |
- (영어) 공식 홈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