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토주의
레닌주의 |
---|
![]() |
역사 • 러시아 사회민주노동당 제2차 당대회 (1903년) • 피의 일요일 (1905년) • 8월 블록 사건 (1912년) • 러시아 2월 혁명 (1917년 3월) • 4월 테제 (1917년 4월) • 러시아 10월 혁명 (1917년 11월 7일) • 러시아 내전 (1917년 11월 7일) • 1917년 러시아 총선 (1917년 11월 25일) • 체카 설립 (1917년 12월 20일) • 핀란드 내전 (1918년 1월) • 헝가리 평의회 공화국 성립 (1918년 3월 2일) • 브레스트-리토프스크 조약 (1918년 3월 3일) • 전시공산주의 (1918년 6월) • 스파르타쿠스 동맹 봉기 (1919년 1월) • 폴란드-소비에트 전쟁 (1919년 2월) • 코민테른 (1919년 3월) • 몽골 독립 혁명 (1921년 3월 1일) • 크론시타트 반란 (1921년 3월 7일) • 신경제정책 (1921년 3월 21일) • 중국공산당 창건 (1921년 7월 23일) • 소비에트 연방 성립 (1922년) |
핵심 요소
|
관련 문헌 • 《인민의 벗이란 무엇인가?》 (1893년) • 《경제 낭만주의의 특성에 관하여》 (1897년) • 《러시아에 있어서 자본주의의 발전》 (1899년) • 《무엇을 할 것인가?》 (1902년) • 《일보 전진 이보 후퇴》 (1904년) • 《민주주의혁명에서 사회민주주의당의 두 가지 전술》 (1905년) • 《사회주의와 종교》 (1905년) • 《아나키즘인가? 사회주의인가?》 (1906년) • 《농업문제와 소위 '마르크스 비판'》 (1907년) • 《볼셰비키와 소부르주아》 (1907년) • 《마르크스주의와 수정주의》 (1908년) • 《유물론과 경험비판론》 (1909년) • 《마르크스주의와 민족 문제》 (1913년) • 《마르크스주의의 세 가지 원천과 세 가지 구성 요소》 (1913년) • 《철학 노트》 (1913년) • 《사회주의와 전쟁》 (1915년) • 《제2국제당의 붕괴》 (1915년) • 《제국주의론》 (1916년) • 《국가와 혁명》 (1917년) • 《우리 혁명에서 프롤레타리아의 임무》 (1917년) • 《이중권력》 (1917년) • 《프롤레타리아 혁명과 배신자 카우츠키》 (1918년) • 《공산주의청년여성론》 (1919년) • 《소비에트 정부는 무엇인가?》 (1919년) • 《프롤레타리아 독재론》 (1919년) • 《공산주의에서의 좌익소아병》 (1920년) • 《공산주의청년학생론》 (1920년) • 《농업 문제에 관한 테제》 (1920년) • 《우리 혁명에 관하여》 (1923년) • 《협동조합에 관하여》 (1923년) • 《10월 혁명과 러시아 공산주의자들의 전략》 (1924년) |
관련 조직
|
주요 인물 ![]() ![]() ![]() ![]() ![]() ![]() ![]() ![]() ![]() ![]() ![]() ![]() ![]() ![]() ![]() ![]() ![]() ![]() |
티토주의(Titoism)는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의 대통령 요시프 브로즈 티토가 주장한 독자적인 공산주의를 말한다.
역사[편집]
이 문단의 내용은 출처가 분명하지 않습니다. (2013년 7월) |
티토주의의 성립배경[편집]
1948년 6월 루마니아 부쿠레슈티에서 개최된 코민포름 대회는 티토가 이끄는 유고슬라비아 공산당을 코민포름에서 제명할 것을 결의하였다. 그 원인은 스탈린이 이끌던 소련과의 불화 때문이었다. 그 후 소련을 비롯한 중앙유럽 옛 공산국가들과의 정치적·경제적 교류가 중단되면서 유고슬라비아는 큰 위기를 맞게 된다. 당시 유고슬라비아는 모든 면에서 소련과 중앙유럽 국가들에 의존하고 있던 상황에서 모든 원조와 교류의 중단은 엄청난 타격이었던 것이다. 결국 모든 교류를 서방으로 돌리지 않을 수 없게 된 유고슬라비아는 독자적 공산주의, 적극적 중립주의, 비동맹주의를 기본원칙으로 하는 새로운 노선을 선택하게 되었다.
티토주의의 실행[편집]
1950년 이후 유고슬라비아에서는 노동자 자주관리에 중점을 둔 신경제정책이 실시되었고, 이를 위해 경제조직이 개편되었다. 1952년 11월 유고슬라비아 공산당 제6차 전당대회에서 당의 명칭이 ‘유고슬라비아 공산주의자동맹’으로 변경되었고, 1953년 1월에는 새로운 헌법이 공표되어 자주관리체제가 본격화되었다. 스탈린 사후 소련과 동유럽 국가들과의 관계가 회복되었으나 이데올로기적으로는 많은 견해 차가 있었다. 1958년 4월 ‘유고슬라비아 공산주의자동맹’ 제7차 전당대회에서 채택된 새로운 강령은 유고슬라비아의 이데올로기적인 입장을 명확하게 표현한 것인데, 코민포름에 의해 수정주의라고 신랄하게 비판받았다. 그러나 유고슬라비아는 그 후에도 꾸준히 독자노선을 견지하였다. 1961년 9월 베오그라드에서 제1차 비동맹국회의를 개최하였으며, 1963년 4월에는 독자노선을 굳히는 새 헌법을 제정하고 국명을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으로 바꾸었다. 1964년 제7차 전당대회를 통해 티토를 서기장에 재선시키고, 경제발전과 당조직의 민주화·자유화 등의 개혁을 추진하기 시작했다.
평가[편집]
인간의 얼굴을 한 사회주의[편집]
엄격하고 경직된 관료조직 중심의 스탈린식 공산주의 체제를 거부한 유고슬라비아의 독자적 공산주의 노선은 서유럽의 많은 지식인들과 여론으로부터 ‘인간의 얼굴을 한 사회주의’라는 긍정적인 평가를 받았다.
노동자 자주경영[편집]
또한 티토의 노동자 자주관리 이론은 노동자들이 회사에서 시키는 대로 일하는 것이 아니라 노동자들이 산 경험에 근거한 지혜로써 직접 회사를 꾸리고, 회사의 살림살이에 참여하는 민주적 경영방식이라고 할 수 있다. 한국에서는 부도난 경동산업을 인수하여 노동자 자주 경영으로써 연매출 20억원에 달하는 우량기업으로 되살린 인천 키친아트[1], 대구 달구벌 교통, 청주 우진교통이 노동자 자주경영을 하고 있다. 아르헨티나에서는 노동자들이 무능한 경영진을 법원 점유권 실행 허가로 퇴출시키고 스스로 경영하는 회사가 백여개에 달한다.[2]이와 유사한 경영방식으로는 노동자들이 경영에 참여하는 공동경영이 있는데 이미 사회민주주의 나라들과 폴크스바겐에서 실천하고 있다.